토마스 군단

Thomas' Legion
토마스 인디언과 하이랜더스 군단
노스캐롤라이나 보병 제69연대
WilliamHollandThomas.jpg
윌리엄 H 대령토마스.
활동적인1862년 9월 27일 ~ 1865년 5월 10일
얼리전스 아메리카 연합국
분점 남부 연합군
유형군단/연대
역할.연합군 편대 / 보병
크기1,125명(초기 체력)[1]
계약남북 전쟁
지휘관
주목할 만한
지휘관
윌리엄 홀랜드 토마스 대령

토마스 군단은 토마스 체로키 인디언과 하이랜더스 군단, 토마스 인디언과 하이랜더스 군단, 그리고 제69 노스캐롤라이나 [2]연대로도 알려져 있으며 남북전쟁에서 남부군의 부대였다.1862년 윌리엄 홀랜드 토마스에 의해 조직되어 1865년 [2]5월에 항복하기 전에 노스캐롤라이나에서 벌어진 전쟁의 마지막 교전에서 싸웠다.

그 연대는 몇 가지 점에서 특이했다.체로키 [3]인디언의 유일한 백인 추장인 토마스는 상당한 수의 체로키 족을 고용했다.게다가, 그것은 다른 남북전쟁의 편대와 마찬가지로 보병, 기병, 포병으로 구성된 연합군 부대인 진정한 군단이었다.

윌리엄 홀랜드 토마스는 체로키족으로 하여금 연방을 위해 싸우게 하는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홍보했다.1862년, 그는 200명의 체로키 인디언들을 주날루스카 주브스로 조직했는데, 주날루스카 족장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4월에 그는 노스캐롤라이나 체로키 [4]대대를 키웠다.체로키족과 백인을 추가로 모집하기 위한 그의 청원은 남부연합 당국에 의해 승인되었고 그는 [4]군단을 모집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았다.

1862년 9월 27일 [2]테네시주 녹스빌에서 공식적으로 조직되었으며, 주로 노스캐롤라이나 서부와 테네시 동부에서 신병들이 왔다.새로 선출된 윌리엄 홀랜드 토마스 대령이 지휘하는 이 부대는 처음에는 보병 연대와 기병 [2][5]대대의 1125명으로 구성되었다.보병은 2개의 체로키 중대와 [2]8개의 백인 중대로 구성된 10개 중대로 제임스 R 중령 휘하에 사랑의 연대로 알려지게 되었다.사랑 II.워커의 대대는 노스캐롤라이나 체로키 카운티에서 윌리엄[6] 스트링필드에 의해 길러졌고 윌리엄 C 중령이 이끌었다.워커.세 번째 요소는 400명의 [5][6]체로키로 구성된 체로키 대대였다.존 T.리바이스 경포병 포대는 1863년 [2][5]4월 1일에 추가되었다.

그 부대는 주로 그 지역을 방어하기 위해 배치되었다.군단의 일부는 1862년 말에 파월의 계곡으로 보내졌고 침례교 갭에서 매복 공격을 받았다.체로키족 중위 아스투가 스토가가 반격을 주도하다 사살되자, 격분한 인디언 동지들은 죽거나 다친 북군 [2][4]병사 몇 명을 로 찔렀다.상황을 완화하기 위해 토마스 대령은 연방에 [4]메스를 돌려보내 사과했다.

1864년 버지니아주[4]셰난도 계곡에서 열린 계곡 캠페인주발 장군과 합류하기 위해 군단은 동쪽으로 파견되었다.이 시점에서, 군단은 500명으로 [4]줄었다.그것은 [2]1864년 10월 19일 시더 크릭 전투에서 싸웠다.군단이 노스캐롤라이나로 다시 옮겨질 무렵에는 100명도 안 되는 [4]군인들을 소집했다.고마운 장군 가브리엘 C. 와튼은 "당신의 용감한 지휘 수행은 노스캐롤라이나에서 당신의 지휘권에 다시 합류하려는 노력을 무산시켰습니다. 그리고 당신의 많은 전근 신청에 대한 끊임없는 거절은 당신이 존경받고 있는 것에 대한 칭찬의 증거이자 당신이 [4]할 수 있는 일에 대한 감사의 표시입니다."라고 말했다.

1903년 뉴올리언스에서 열린 U.C.V. 재결합에서 체로키 연합군(토마스 군단)

고국으로 돌아온 토마스는 1865년 [4]4월 1일까지 400명의 체로키를 포함한 1200명의 병력을 동원했다.하지만 8일 후, 로버트 E.율리시스 그랜트에게 그의 군대를 내주었다.토마스와 그의 군단은 5월 [4]10일 노스캐롤라이나 웨인즈빌에서 북군에 항복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Thomas' North Carolina Legion". NPS Soldiers and Sailors System. Retrieved 19 August 2015.
  2. ^ a b c d e f g h "69th North Carolina Infantry Thomas' Legion". Excerpt of Histories of the Several Regiments and Battalions from North Carolina in the Great War 1861–65. (Volume 3) (1901), Walter Clark (ed.), posted by the Jackson County Genealogical Society. Retrieved February 1, 2011.
  3. ^ "Will Thomas". Eastern Band of the Cherokee Nation (cherokee-nc.com). Retrieved February 10, 2011.
  4. ^ a b c d e f g h i j Timothy N. Osment (2008). "Thomas Legion". Digital Heritage.org (relinked: learnnc.org). Retrieved August 19, 2015.
  5. ^ a b c "Thomas' Legion : The 69th North Carolina Regiment". thomaslegioncherokee.tripod.com. Retrieved January 31, 2011.
  6. ^ a b "Thomas' Legion". stoppingpoints.com. Retrieved January 31, 2011.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