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러브 팡

Those Love Pangs
더 러브 팡
Those Love Pangs (poster).jpg
극장판 발매포스터
연출자찰리 채플린
생산자맥 세넷
주연찰스 채플린
체스터 콘클린
세실 아놀드
비비안 에드워즈
시네마토그래피프랭크 D. 윌리엄스
생산
동행이
배포자뮤추얼 필름
출시일자
  • 1914년 10월 10일 (1914-10-10)
러닝타임
16분
나라미국
언어들무성 영화
영어(원제 제목)

The Love Pangs, The Love Pangs는 라이벌 마저로도 알려져 있으며 미국의 무성 코미디 영화다. 1914년 세실 아놀드, 비비안 에드워즈, 헬렌 카루더스 등이 참여한 가운데 찰리 채플린, 체스터 콘클린이 주연한 키스톤 스튜디오가 제작했다.

더 러브 팡

플롯

찰리 채플린이 연기한 마셔는 영화 초반 체스터 콘클린이 연기한 라이벌이 집주인의 관심을 끌기 위해 싸운다. 라이벌이 먼저 시도한다. 가 헬렌 캐러더스가 연기한 랜디레이디와 이야기를 하는 동안 마셔는 커튼 뒤에서 포크로 그를 찌른다. 라이벌이 화가 나서 테이블로 돌아온다. 마셔는 라이벌에게 손짓을 하고 집주인에게 말을 걸어간다. 마셔가 마셔에게 상냥한 말을 할 때, 라이벌이 마셔가 그에게 했던 것과 같은 행동을 한다. 집주인은 화가 나서 마셔에게서 도망친다. 화가 난 마셔는 테이블로 돌아와 동점자를 밖으로 데리고 나간다.[1]

그들은 결국 마셔가 바에 들어가고 라이벌이 공원을 향해 계속 걸어갈 때 각자의 길을 간다. 마셔가 술집에 들어가기 전에, 그는 그에게 눈을 깜박이는 금발 소녀(세실 아놀드)에게 정신이 팔려 있다. 소녀는 돌아서고 마셔는 키가 큰 남자친구가 나타날 때까지 따라다닌다. 마셔는 달아난다.[1]

마셔는 공원에서 브루넷트 소녀(비비아 에드워즈)와 라이벌을 찾는다. 마셔가 전에 만났던 소녀는 남자친구와 함께 공원에서 만나게 된다. 마셔는 질투가 난다. 그는 두 소녀를 따라 그 사이에 앉아 있는 극장으로 간다. 그는 마침내 소녀와 구역 모두의 관심을 받았다. 남자 친구와 라이벌이 각자의 여자친구와 함께 마셔를 찾기 위해 극장으로 들어온다. 소녀들은 남자친구를 보고 극장을 뛰쳐나간다. 마셔는 자신의 세계에 있으며, 그 소녀들이 키가 큰 남자 친구와 라이벌이 대체했다는 것을 깨닫지 못했다. 그는 눈을 뜨고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깨닫는다. 그가 재빨리 뛰어오르자 화가 난 두 남자가 그와 싸운다. 마셔는 스크린에 던져진다.[1]

캐스트

Chaplin looking at the happy couples.
그 영화의 배역

필름의 참조 사항

해리 A. 그레이스는 채플린의 영화를 분석한 '미학과 예술 비평 저널'에 찰리 채플린의 영화와 미국 문화 패턴이라는 기사를 실었다. 그는 채플린의 각 영화를 미국의 한 시대에 해당하는 범주로 분류한다.[2] 그레이스에 따르면 채플린 감독의 영화 주제 중 79%는 남녀 관계에 관한 것이라고 한다. Love Pangs는 이 범주에 속했다.[2] 남녀 사이에 모종의 전투가 있다. 채플린은 영화에서 다른 신사들과 함께 소녀들을 위한 마셔 비행을 연기한다.[3]

리뷰

영화계의 한 비평가는 "Charles Chaplin과 Chester Conklin은 이 수에서 더 많은 연애 사건에 자신을 비하한다"고 썼다.

바이오스코프의 한 평론가는 "변덕스러운 찰리는 한 그림쇼에서 두 명의 숙녀에게 상냥하게 대하는데 성공하지만 경쟁자들은 평소처럼 그를 정신적 육체적 붕괴 상태로 전락시키는 데 성공한다"고 썼다.

참고 항목

참조

  1. ^ Jump up to: a b c "Charlie Chaplin's "The Rival Mashers" aka Those Love Pangs". Internet Archive. 15 October 2017. Retrieved 15 October 2017.
  2. ^ Jump up to: a b Grace, Harry A. (1 January 1952). "Charlie Chaplin's Films and American Culture Patterns". The Journal of Aesthetics and Art Criticism. 10 (4): 353–363. doi:10.2307/426065. JSTOR 426065.
  3. ^ "The IBM tramp by Stephen Papson". Ejumpcut.org. Retrieved 15 October 2017.

참고 문헌 목록

  • 네이바우르, 제임스 L. "키스톤의 채플린" 시네스트 36번, 2번(2011년 봄): 65-6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