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토르퀴바이러스

Alphatorquevirus
알파토르퀴바이러스
바이러스 분류 e
(순위 미지정): 바이러스
영역: 무첨정맥
왕국: 무첨정맥
문: 무첨정맥
클래스: 무첨정맥
주문: 무첨정맥
패밀리: 아넬로바이러스과
속: 알파토르퀴바이러스

알파토르케바이러스(Alphatorquevirus)는 볼티모어 분류 그룹 II에 속하는 아넬로바이러스과 바이러스이다.그것은 이전에 TTV, 수혈 전염 바이러스 또는 토크 테노 바이러스, SENV,[1] SANBAN 등으로 알려진 많은 종류의 바이러스를 포함합니다.이 속은 26종을 포함하고 있다.

분류법

이 속은 다음 [2]종을 포함하고 있다.

역사

수혈 바이러스 또는 토크 테노 바이러스인 TTV는 1997년 연구 과학자 T에 의해 일본인 환자에게서 처음 보고되었다.니시자와[3]바이러스는 건강한 사람에게도 매우 흔합니다.일부 국가에서는 100%에 달하며 영국과 미국에서는 헌혈자의 약 10%가 감염됩니다.그 자체로는 간염의 증상을 일으키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4] 간질환 환자에게서 종종 발견됩니다.대부분의 경우, TTV 감염은 증상이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원인 불명의 일본인 간염 환자에게서 처음 발견된 TTV는 헌혈자를 포함한 병리학이 입증되지 않은 다양한 집단에서 검출되었다.이 신종 바이러스는 1997년 일본인 환자의 혈장(수혈 후 간염)에서 RDA(대표 차이 분석)를 통해 처음 발견되었다.500 뉴클레오티드(nt)의 배열(N22)이 최초로 특징지어져 약 3700nt(TA278 클론)[5]까지 확장되었다.당시 염기서열 분석 결과 TTV는 Parvoviridae 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998년 말, 두 개의 독립적인 연구에서 약 120nt의 추가적인 GC 풍부 영역이 존재함을 입증했고, 이는 TTV 게놈의 원형 특성(약 3800nt)을 발견하게 되었다.이 발견은 TTV와 [6]Circoviridae과의 관계를 확립했다.

어원학

처음에 바이러스는 T.T. 이니셜을 가진 환자의 이름을 따서 TTV로 명명되었습니다.나중에 토크(목걸이) 테노 바이러스(라틴어 tenuis - "thin"에서 유래)라는 명칭이 원래의 [7]약자를 보존하기 위해 채택되었다.

바이러스 확산

많은 역학 연구는 농촌과 도시 인구에서 바이러스(아프리카, 북미남미, 아시아, 유럽, 오세아니아)의 세계적 분포를 명확히 지적할 수 있도록 허용되었다.TTV 감염과 특정 병리 사이의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바이러스 부하와 숙주의 면역 상태 사이의 관계에 대한 가설이 제시되었다.게다가 초기에는 [8]수혈만으로 전염되는 것으로 의심되지만, 집단 내 바이러스의 글로벌 확산과 다양한 생물학적 샘플(플라즈마, 침, 대변 등)에서의 검출은 복합 확산 모드, 특히 침 [9]방울에 의한 확산을 시사한다.성적인 전염 또한 [10]제안되었다.

침팬지, 유인원, 아프리카 원숭이, 투파이아, 닭, 돼지, 소, 양, [11]개에서 관련 바이러스가 발견되었다.

돼지에게서 [12][13]수직 전염이 보고되었다.

게놈

TTV의 게놈은 약 3.8kb 길이의 음의 원형의 외가닥 DNA 조각이다; 그것은 직경 약 40nm의 바이러스 이온을 가진 비포장 바이러스이다.Circoviridae 그룹의 멤버들과 어느 정도 유사하지만, 알려진 바이러스와는 배열 상동성이 없다.아넬로바이러스과로 분류된다.

그것의 게놈은 770과 202개의 아미노산을 코드하는 2개의 열린 읽기 프레임과 여러 개의 작은 ORF를 포함합니다.게놈 영역 -154/-76에는 임계 프로모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분리주들은 5개의 주요 계층으로 분류되어 있는 5개의 주요 계층으로 분류된다.TTV 유전자군 3은 또한 SENV-A~H로 알려진 8개의 바이러스주를 포함한다.

임상

이 바이러스들은 현재 인간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여겨지지 않는다.이러한 바이러스의 감염은 평생 바이러스혈증으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질병과의 연관성은 여전히 연구 중에 있다.평소보다 높은 바이러스 부하는 심각한 특발성 염증성 근병증, 암, 낭창과 관련이 있다.

위장염에 걸린 브라질인 135명을 대상으로 분변 검체를 검사한 결과 121명(91%)[14]에서 바이러스의 징후가 나타났다.여러 유전자형의 존재는 흔했다.

급성 폐손상과 특발성 폐섬유증의 악화에 이 바이러스의 존재가 [15]보고되었다.

선천성 만노오스 결합 렉틴 결핍의 경우 바이러스 부하가 증가한 것으로 [16]보고되었다.

간염에 의한 재생불량성 빈혈의 가능성이 [17]보고되고 있다.

이식 후 간염의 한 사례가 [18]보고되었다.

두경부암과의 연관성이 [19]제안되었다.

TTV 바이러스 부하는 면역억제 환자에게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예를 들어 [20]패혈증에서 TTV의 수치가 증가했다.

TTV는 어디에나 존재하며 바이러스 복제는 면역 상태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TTV는 이식 대상자의 세계적인 기능 면역 능력을 평가하는 유망한 지표로 연구되어 왔다.[21]

레플리케이션

TTV의 복제에 대해서는 많이 알려져 있지 않지만, 동물 서코바이러스 연구에 따르면 이중 가닥 복제 구조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일부 연구는 다양한 조직과 장기에서 이중 가닥 TTV DNA의 존재를 설명하여 이러한 [22]국부적 위치에서 활발한 복제를 시사한다.이러한 발견들은 또한 간 질환에서 TTV의 가설적 영향을 최소화한다.현재 TLMV(TTV 유사 Mini Virus – 인간을 감염시키는 변종)에 대한 다른 데이터는 없습니다.

레퍼런스

  1. ^ Biagini P (2009). "Classification of TTV and related viruses (anelloviruses)". Curr. Top. Microbiol. Immunol. Current Topics in Microbiology and Immunology. 331: 21–33. doi:10.1007/978-3-540-70972-5_2. ISBN 978-3-540-70971-8. PMID 19230555.
  2. ^ "Virus Taxonomy: 2020 Release".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 (ICTV). March 2021. Retrieved 23 May 2021.
  3. ^ Nishizawa, T; Okamoto, H; Konishi, K; Yoshizawa, H; Miyakawa, Y; Mayumi, M (8 December 1997). "A novel DNA virus (TTV) associated with elevated transaminase levels in posttransfusion hepatitis of unknown etiology".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241 (1): 92–7. doi:10.1006/bbrc.1997.7765. PMID 9405239.
  4. ^ Biagini, P: "인간 서코바이러스." 95-101페이지.동물 미생물학, 2004.
  5. ^ Nishizawa, T.; Okamoto, H.; Konishi, K.; Yoshizawa, H.; Miyakawa, Y.; Mayumi, M. (1997). "A novel DNA virus (TTV) associated with elevated transaminase levels in posttransfusion hepatitis of unknown etiology". Biochem. Biophys. Res. Commun. 241 (1): 92–97. doi:10.1006/bbrc.1997.7765. PMID 9405239.
  6. ^ Miyata, H.; Tsunoda, H.; Kazi, A.; Yamada, A.; Khan, M.A.; Yeung, B.J.; Murakami, J.; Kamahora, T.; Shiraki, K.; Hino, S. (1999). "Identification of a novel GC-rich 113-nucleotide region to complete the circular, single-stranded DNA genome of TT virus, the first human circovirus". J. Virol. 73 (5): 3582–3586. doi:10.1128/JVI.73.5.3582-3586.1999. PMC 104131. PMID 10196248.
  7. ^ "AABB website" (PDF). Retrieved December 25, 2017.
  8. ^ Biagini, P.; Gallian, P.; Cantaloube, J.F.; De Micco, P.; de Lamballerie, X. (1998). "Presence of TT virus in French blood donors and intravenous drug users". J. Hepatol. 29 (4): 684–685. doi:10.1016/s0168-8278(98)80167-0. PMID 9824281.
  9. ^ Gallian, P.; Biagini, P.; Zhong, S.; Louinssi, M.; Yeo, W.; Cantaloube, J.F.; Attoui, H.; de Micco, P.; Johnson, P.J.; de Lamballerie, X. (2000). "TT virus: a study of molecular epidemiology and transmission of genotypes 1, 2 and 3". J. Clin. Virol. 17 (1): 43–49. doi:10.1016/s1386-6532(00)00066-4. PMID 10814938.
  10. ^ Zheng, MY; Lin, Y; Li, DJ; Ruan, HB; Chen, Y; Wu, TT (2010). "TTV and HPV co-infection in cervical smears of patients with cervical lesions in littoral of Zhejiang province". Zhonghua Shi Yan He Lin Chuang Bing du Xue Za Zhi. 24 (2): 110–112. PMID 21110428.
  11. ^ Hino, S; Miyata, H (2007). "Torque teno virus (TTV): current status". Rev Med Virol. 17 (1): 45–57. doi:10.1002/rmv.524. PMID 17146841. S2CID 25965110.
  12. ^ Martínez-Guinó, L; Kekarainen, T; Segalés, J (2009). "Evidence of Torque teno virus (TTV) vertical transmission in swine". Theriogenology. 71 (9): 1390–1395. doi:10.1016/j.theriogenology.2009.01.010. PMID 19249089.
  13. ^ Pozzuto, T; Mueller, B; Meehan, B; Ringler, SS; McIntosh, KA; Ellis, JA; Mankertz, A; Krakowka, S (2009). "In utero transmission of porcine torque teno viruses". Vet Microbiol. 137 (3–4): 375–379. doi:10.1016/j.vetmic.2009.02.001. PMID 19282113.
  14. ^ Pinho-Nascimento, CA; Leite, JP; Niel, C; Diniz-Mendes, L (2011). "Torque teno virus in fecal samples of patients with gastroenteritis: Prevalence, genogroups distribution, and viral load". J Med Virol. 83 (6): 1107–11. doi:10.1002/jmv.22024. PMID 21503927. S2CID 2296541.
  15. ^ Wootton SC, Kim DS, Kondo Y, Chen E, Lee JS, Song JW, Hu JW, Taniguchi H, Chiu C, Boushey H, Lancaster LH, Wolters PJ, Derisi J, Ganem D, Collard HR 급성 바이러스 감염 악화(2011년)Am J Respirit Crit Care Med.
  16. ^ Maggi F, Pifferi M, Michelucci A, Albani M, Sbranti S, Lanini L, Simi P, Macchia P, Pistello M, Bendinelli M(2011) 선천성 면역결함이 선택된 환자의 토크 테노 바이러스 바이러스 부하 크기.임상백신 임노롤. 18(4): 692~694.
  17. ^ 유전자형 1a 토크테노 바이러스의 1차 감염 시 이시무라 M, 오가 S, 이치야마 M, 쿠스하라 K, 다카다 H, 하라 T, 다카하시 M, 오카모토 H(2010) 간염 관련 재생불량성 빈혈.Er J 소아과2010년 7월 169일 (7): 899 ~ 902
  18. ^ 피아지오 F, 도디 F, 보티노 G, 안도르노 E, 젠틸레 R, 페라리 C, 바라비노 G, 지안노 A, 임모르디노 G, 미기노 M, 마고니 로시 A, 모라글리아 E, 가슬롤리 G, 겔리, 만테 모어이식 절차 41(4): 1378~1379
  19. ^ Hettmann, A; Demcsák, A; Bach, Á; Decsi, G; Dencs, Á; Pálinkó, D; Rovó, L; Nagy, K; Minarovits, J; Takács, M (2016). "Detection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Torque Teno Virus in salivary and tumor biopsy samples from head and neck carcinoma patients". Intervirology. 59 (2): 123–129. doi:10.1159/000452974. PMID 27924796.
  20. ^ Walton, Andrew H.; Muenzer, Jared T.; Rasche, David; Boomer, Jonathan S.; Sato, Bryan; Brownstein, Bernard H.; Pachot, Alexandre; Brooks, Terrence L.; Deych, Elena; Shannon, William D.; Green, Jonathan M.; Storch, Gregory A.; Hotchkiss, Richard S. (11 June 2014). "Reactivation of Multiple Viruses in Patients with Sepsis". PLOS ONE. 9 (6): e98819. doi:10.1371/journal.pone.0098819. PMC 4053360. PMID 24919177.
  21. ^ Jaksch, Peter; Kundi, Michael; Görzer, Irene; Muraközy, Gabriella; Lambers, Christopher; Benazzo, Alberto; Hoetzenecker, Konrad; Klepetko, Walter; Puchhammer-Stöckl, Elisabeth (5 November 2018). "Torque Teno Virus as a Novel Biomarker Targeting the Efficacy of Immunosuppression After Lung Transplantation". The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218 (12): 1922–1928. doi:10.1093/infdis/jiy452. PMID 30053048.
  22. ^ Okamoto, H.; Nishizawa, T.; Takahashi, M.; Asabe, S.; Tsuda, F.; Yoshikawa, A. (2001a). "Heterogeneous distribution of tt virus of distinct genotypes in multiple tissues from infected humans". Virology. 288 (2): 358–368. doi:10.1006/viro.2001.1097. PMID 1160190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