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란스옥시아나
Transoxiana
트란스옥시아나(Transoxiana) 또는 트란스옥시아나(Transoxania)는 오늘날 우즈베키스탄 동부, 타지키스탄 서부, 카자흐스탄 남부 일부, 투르크메니스탄 및 키르기스스탄 남부 일부에 대략적으로 해당하는 중앙아시아 하부에 위치한 지역과 문명을 가리키는 라틴어 이름이다.지리적으로 이곳은 남쪽으로 아무다리아 강과 북쪽으로 [1]시르다리아 강 사이의 지역이다.
Historically known in Persian as Farā-rūd (Persian: فرارود, [fæɾɒːˈɾuːd̪] – 'beyond the [Amu] river'), Faro-rüd (Tajik: Фарорӯд) and Varaz-rüd (Tajik: Варазрӯд), the area had been known to the ancient Iranians as Turan, a term used in the Persian national epic Shahnameh.[2]이 지역에 대응하는 중국 용어는 Hezhong이다.The Arabic term Mā Warāʾ an-Nahr (Arabic: ما وراء النهر, [ˈmaː waˈraːʔ anˈnahr] – 'what is beyond the [Jayhūn] river') passed into Persian literary usage and stayed on until post-Mongol times.[3]
그 지역은 소그디아라는 이름으로 페르시아의 아케메네스 제국의 사트라피 중 하나였다.비록 초기 아랍 역사학자들과 지리학자들이 느슨하게 정의된 "호라산"[4][5][6][7]이라는 용어 안에 지역을 포함시키는 경향이 있었지만, 이란의 고유 지역, 특히 북동부 호라산 지방과 구별하기 위해 이란 내에서 정의되었다.화라즘, 소그디아나, 차가니얀, 그리고 쿠탈의 영토는 트란스옥시아나의 남부에 위치했고 차흐, 오스루샤나, 파르가나는 [8]북부에 위치했습니다.
역사
이슬람 이전 시대
트란스옥시아나라는 이름은 기원전 4세기 그리스 침략으로 그리스 문화를 이 지역으로 확장시킨 알렉산더 대왕의 위업 때문에 서양의 의식 속에 남아 있었다.알렉산더의 후계자들은 200년 이상 존재했던 트란스옥시아나 내에서 그리스 문화의 존재감을 보여주며 그리스-박트리아 왕국을 계속해서 설립할 것이다.아프가니스탄 북부 옥수스 강변에 위치한 아이카눔은 그라에코 박트리아 도시 중 유일하게 발견되고 광범위하게 [9]발굴되었다.
사산 제국 동안, 그것은 종종 아케메네스 제국으로부터 따온 지방 이름인 Sogdia로 불렸고, 인근 박트리아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기원전 126년 트란스옥시아나와 함께 박트리아와 파르티아를 방문한 중국 탐험가 장첸은 이 지역에 대해 처음으로 알려진 중국 보고서를 만들었다.장첸은 파르티아를 곡식과 포도를 재배하고 은화와 가죽제품을 [10]만드는 선진 도시 문명으로 분명히 인식한다.셀레우코스 왕조, 그리스-박트리아 왕국, 파르티아 제국, 쿠샨 제국이 사산 왕국을 통치했다.
사산 시대에는 북방 실크로드의 풍요로 인해 이 지역은 주요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다.사산제 통치는 5세기 말에 헤프탈라이트의 침략으로 중단되었고 565년까지 사산제로 돌아오지 않았다.
이슬람 시대
이슬람의 페르시아 정복 이후 많은 페르시아 귀족들과 지주들이 이 지역으로 탈출했다.705년에서 715년 사이에 아랍이 정복할 때까지 이 지역은 또한 Gökturks에 의해 통치되었고, 아랍어 문구인 "Ma war- al-Nahr "강 너머에 있는 것"으로 알려지게 되었고, 때때로 "강 너머에 있는 것"으로 불리게 되었다.
트란스옥시아나의 주요 도시와 문화의 중심지는 사마르칸트와 부하라입니다.둘 다 트란스옥시아나의 남쪽 부분(아직도 아무다리아 강 북쪽에 있지만 자라프샨 강에 있음)과 우즈베키스탄에 있으며, 대부분의 지역은 건조하지만 비옥한 평원이었다.두 도시 모두 이슬람의 이란 정복 이후에도 페르시아 문화와 문명의 중심지로 남아 있었으며, 사만 제국이 세워지면서 페르시아 문화의 부활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지역의 일부는 706년에서 715년 사이에 쿠타이바 이븐 이슬람교도들에 의해 정복되었고 715년에서 738년까지 우마야드들에 의해 느슨하게 지배되었다.이 정복은 738년에서 740년 사이에 나스르 이븐 사야르에 의해 통합되었고, 750년까지 우마이야드족의 지배 하에 있었고, 그 후 아바스 왕국으로 대체되었다.당 왕조는 또한 안루산 반란으로 알려진 내전이 일어나기 전까지 그 지역의 동부를 지배했다.
초기 이슬람 시대에 트란스옥사니아 사람들은 소그드어(이란어)를 사용했고 여러 [11]공국으로 나뉘었다.아랍의 정복은 아랍 엘리트 문화를 확산시켰고, 더 역설적이게도 페르시아어를 "구어체로, 그리고 결국 문자로써" 이 [11]지역에 확산시켰다.아랍의 정복은 또한 이란의 [11]아랍인 정복 이후 사산 지배 엘리트들의 파편들이 은신처였던 당나라와도 접촉하는 결과를 낳았다.그러나 트란스옥사니아가 중국 [11]문화와 큰 상호작용을 하게 된 것은 아니다.
몽골 제국의 창시자인 징기스칸은 1219년 화레즘을 정복하는 동안 트란스옥시아나를 침략했다.1227년 사망하기 전, 그는 중앙아시아 서부의 땅을 차남 차가타이에게 양도했고, 이 지역은 차가타이 칸국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369년, Barlas 부족의 Timur는 효과적인 통치자가 되었고 사마르칸트를 그의 미래 제국의 수도로 만들었다.트란스옥시아나는 14세기 [12]중반에 번성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교
역사학자 마크 디킨스는 다음과 같이 [8]말한다.
트란스옥시아나의 주요 이슬람 이전의 종교는 비록 지역적인 표현이지만 조로아스터교였다.그러나 불교, [네스토리안] 기독교, 마니차이교, 마즈다크교 또한 많은 신봉자들이 있었고, 특히 도시 지역에 있었다.이러한 초기의 종교적 다양성은 아랍 정복 이후 점차 약화되었다.
무슬림들은 7-8세기에 트란스옥시아나를 정복했다.이슬람 세계에는 이 땅을 정복한 여러 명의 사람들이 있었다.일부에는 현재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을 점령한 우마이야드와 압바스 왕조 아랍인들이 포함되어 있다.
트란스옥사니아는 이슬람 문명의 중심지였고 티무르 제국의 중심지였고 위대한 오구즈 칸과 같은 지도자들도 있었다.
"오구즈 칸은 한 살 때 말을 할 수 있었고 그의 첫 단어는 "알라"였습니다.그는 "트란스옥시아나와 투르케스탄"[13]에 이슬람을 불러온 일련의 정복에 나서기 전에 그의 아버지에게 반기를 들어 결국 그를 죽였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Transoxania (historical region, Asia)".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2017-11-10.
- ^ Sabloff, Paula L.W. (2011). Mapping Mongolia: Situating Mongolia in the World from Geologic Time to the Present.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Museum of Archaeology and Anthropology. p. 62. ISBN 978-1934536186. OCLC 794700604.
- ^ C. Edmund Bosworth, (2002), 'CENTUL ASIA iv'. 이슬람 시대에 몽골 백과사전까지의 이라니카 (온라인)
- ^ Svat Soucek, A History of Inner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페이지 4
- ^ "Khorāsān". britannica.com.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Retrieved 14 November 2018.
- ^ C. Edmund Bosworth, (2002), 'CENTUL ASIA iv'. 몽골의 백과사전 이라니카까지의 이슬람 시대 초기 페르시아인들은 호라산 북동쪽의 모든 땅과 페르도스의 샤흐나마 지역에 있는 투란 지역과 옥수스 강 너머의 모든 땅을 동일시하는 경향이 있었다.그러나 처음에는 아랍인들에게 친숙한 중앙아시아 인근 지역은 종종 광활하고 불명확한 호라산 지방에 속했고, 레이, 제발, 팔스의 동쪽에 있는 모든 땅을 수용했다.(온라인)
- ^ C. Edmund Bosworth, (2011), 'MA WARA al AL-NAHR' Encyclopedia Iranica'는 초기 아랍 역사학자들과 지리학자들에 의해 이란의 고유 지방인 카산 지방과 대조적으로 중상부 옥수스 또는 아무다리야의 북쪽에 위치한 이슬람 지배하에 있는 땅으로 정의되었다."강의 이쪽에 무엇이 놓여 있는가") 비록 멀리 이라크에서 쓴 아랍 역사학자들의 관점에서, "호라산"이라는 용어는 화라즘과 트란스옥시아나를 포함한 옥서스 강 너머의 모든 땅으로 확장될 수 있다(온라인).
- ^ a b 디킨스 2018, 1531–1532페이지.
- ^ 레이첼 메어스, 헬레니즘 극동
- ^ 실크로드, 중국 북부, C.마이클 호건, 거석 포털, 에디A. 번햄 (2007)
- ^ a b c d Cook, Michael (2015). "The centrality of Islamic civilization". In Kedar, Benjamin Z.; Wiesner-Hanks, Merry E. (eds.). The Cambridge World History (Vol. V): Expanding Webs of Exchange and Conflict, 500 CE–1500 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401. ISBN 978-0-521-19074-9.
- ^ Timurid Empire 2009-08-16 Wayback Machine 아카이브
- ^ Khalid, Adeeb (2014-02-08). 1. Islam in Central As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doi:10.1525/9780520957862-004/html. ISBN 978-0-520-95786-2.
원천
- Dickens, Mark (2018). "Transoxiana". In Nicholson, Oliver (ed.). The Oxford Dictionary of Late Antiquit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86627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