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대폭풍 와시

Tropical Storm Washi
심한 열대성 폭풍 와시(센동)
심한 열대성 폭풍(JMA 규모)
열대성 폭풍(SSHWS)
2011 Washi.jpg
12월 16일 민다나오에 접근하는 혹독한 열대성 폭풍 와시
형성된2011년 12월 13일
흩어졌다2011년 12월 19일
최고풍10분 지속: 95km/h (60mph)
1분 지속: 95km/h (60mph)
최저 압력992 hPa (mbar), 29.29 inHg
사망률1268~1472명 사망, 181~1074명 실종
손상9,780만달러(2011년 미국 달러)
영향을 받는 지역미크로네시아, 팔라우, 필리핀
2011년 태풍

필리핀에서 열대성 폭풍 센동으로 알려진 심각한 열대성 폭풍 와시는 2011년 말 필리핀에서 약 1,200명에서 1,500명의 사망자와 재앙적인 피해를 입힌 늦은 계절의 열대성 사이클론이었다.와시는 12월 16일 필리핀의 주요 지역인 민다나오 상공에 상륙했다.와시는 민다나오를 지나 약간 쇠약해졌지만 술루해에서 기력을 회복해 12월 17일 팔라완 상공에 다시 상륙했다.

기상사

사피르-심슨 척도에 따른 폭풍의 궤적과 강도를 나타내는 지도
지도 키
열대 저기압(3838mph, 6262km/h)
열대성 폭풍(39~73mph, 63~118km/h)
카테고리 1(74~95mph, 119~153km/h)
카테고리 2(96~110mph, 154~177km/h)
카테고리 3(111~129mph, 178~208km/h)
카테고리 4(130~156mph, 209~251km/h)
카테고리 5(15157mph, 25252km/h)
불명
스톰 타입
▲ 온대저기압/잔존저기압/열대교란/장마저기압

12월 12일 합동태풍경보센터(JTWC)저기압의 발달 지역이 괌 남남동쪽 약 945km(585mi) 부근에 머물고 있다고 밝혔다.아열대 능선의 남쪽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한 이 시스템은 필리핀을 향해 서쪽으로 꾸준히 이동했다.확산성이 좋고 적당한 윈드시어 지역에 위치한 심층 대류는 순환을 통해 유지될 수 있었다.밴딩 기능의 발달과 유출의 개선은 강화될 가능성이 [1]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다음 날 JTWC는 12월 [2]13일 새벽 열대성 사이클론 생성 경보를 발령했다.6시간도 채 지나지 않아 JTWC와 일본기상청(JMA)은 이 시스템을 열대저압으로 분류했으며 전자는 이 시스템[3]27W로 지정했다.서쪽 궤도를 유지하며, 그 후 3일 [4]동안 경기 침체는 서서히 심화될 것으로 예측되었다.12월 13일 상당 기간 동안, 저기압의 중심에서 천둥번개 활동이 약간 증가하여 집중이 지연되었다.12월 14일까지 대류가 저기압에서 재개발되었고 JTWC는 그 후 열대성 폭풍 상태에 [5]도달했다고 평가했다.

12월 15일 새벽, 이 시스템은 135°E 서쪽을 가로질러 필리핀 대기, 지구물리 및 천문 서비스국(PAGASA)의 책임 영역에 진입했다.PAGASA는 주의보를 발령하기 시작했고 사이클론 이름을 센동(Sendong)[6]으로 지정했다.그 직후, 폭풍은 팔라우 근처나 [7]상공을 지나갔습니다.JMA는 0600 UTC까지 시스템을 열대성 폭풍 상태로 업그레이드하여 Washi라는 [8]이름을 할당했습니다.Washi는 서쪽의 빠른 궤도를 유지하며 서서히 조직화되었고,[9] 12월 15일 후반에는 낮은 수준의 유입이 개선되었다.12월 16일, 와시는 심한 열대성 폭풍으로 최고조에 달해 민다나오 동쪽 해안을 따라 첫 상륙을 했다.

민다나오를 통과한 후, 와시는 육지의 상호작용으로 세력이 약화되었지만, 술루 해에서 폭풍은 빠르게 세력을 회복했다.12월 17일 늦게, 와시는 팔라완건너 남중국해에 도착했고, 그 시스템은 12월 18일 PAR를 벗어났다.와시는 북동 몬순과 연관된 시원하고 건조한 공기로 인해 열대 저기압으로 약화되어 12월 19일에 소멸되었다.

영향

12월 17일 술루해의 열대성 폭풍 와시

카가얀오로 강 유역 전역에서 열대성 폭풍 와시가 [10]통과하는 동안 국지성 호우 현상이 발생했다.카가얀 드 오로 강이 흐르는 마카잘라르 만에서 흘러나와 마카투링 산, 칼라퉁간 산, 키탕글라드 의 가파른 지형으로 흘러들어 강수량을 지형적으로 증가시켰다.카가얀 드 오로 강의 지류인 부부나완 강을 따라 위치한 카파한의 기상 관측소는 24시간 [11]동안 475mm(18.7인치)를 기록했다.많은 미사미스 [12]오리엔탈 지역에서 강우 행사 자체가 20년 중 1년 행사였다.룸비아에는 24시간 동안 180.9mm([10]7.12인치)의 비가 내렸는데, 이는 12월 평균 강수량의 60% 이상에 해당한다.NASA와 JAXA공동으로 운영하는 열대우 측정 임무의 추정치에 따르면 Cagayan de Oro 강 주변의 축적이 400mm(16인치)[13]를 넘었다.Talakag의 관측 결과, 시간당 누적량이 60.6mm(2.39인치)에 달하면서 와시와 관련된 강우량이 포착되었다.민다나오에서도 비슷한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지만 규모 면에서는 그다지 이상적이지 않았다.위성 추정치에 따르면 와시가 [13]상륙한 해안 지역을 따라 200~250mm(7.9~9.8인치)의 축적이 있었다.히나투안에서는 [10]총 180.4mm(7.10인치)가 관측되었다.

위성은 필리핀 상공에 심한 열대성 폭풍 '와시'로 인한 강우량을 추정했다.빨간색 지역은 400mm(16인치) 이상의 비가 내렸을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지류에서 시작해 나중에 카가얀 데 오로, 이포난, 만둘로그 강까지 번개치는 홍수가 극적인 [11]속도로 나타났다.일부 지역에서는 홍수가 [14]1시간도 안 돼 3.3m(11피트) 증가했다.강우 영향과 함께, Macajalar Bay의 만조는 홍수 이벤트를 더욱 강화시켰고, 썰물 때 안전했을 지역에 물이 범람하게 했다.강은 7~9m(23~30ft)에 달해 일부 지역에서는 75년 동안 홍수가 발생했으며,[10][11] 이로 인해 재앙적인 결과를 초래했다.이는 2009년 1월 열대 저기압 아우링에 이은 이전의 홍수 사건보다 훨씬 높은 수치였다.태풍띠 밖에 위치한 피해지역 주민들은 열대성 사이클론 관련 재해로 인한 잘못된 안전의식에 시달렸다.대부분의 사람들이 잠들어 PAGASA의 경고를 들을 수 없었던 현지 시간으로 오전 2시 30분경에 강에서 홍수가 발생했다.가장 큰 타격을 입은 도시는 엄청난 인명 피해가 발생한 카가얀오로일리건이다.카가얀 드 오로 내에서는 발랑, 카르멘, 마카산디그바랑가이가 사실상 전멸했다.두 도시 사이에서는 1,147명이 목숨을 잃었고 1,993명이 [11]부상을 입었다.홍수로 피해를 입은 주민들은 90km/h(55mph)의 바람이 부는 가운데 지붕으로 대피해야 했다.일리건의 시장은 홍수가 도시 [15]역사상 최악의 홍수라고 생각했다.

피해 지역 전체에서 약 4만 채의 가옥이 파손되었고, 그 중 11,463채가 파괴되었다.거의 70만 명의 사람들이 [11]폭풍의 영향을 받았다.국가재해위험저감관리위원회의 2012년 2월 최종보고서에 사망자 1,268명, 실종자 181명, [10]부상자 6,071명으로 집계되는 등 이번 사건으로 인한 전체 인명피해는 불확실하다.그 해 12월 세계기상기구에 의한 그 후의 보고에 의하면, 사망자는 1,292명, 행방불명자는 1,049명, 부상자는 2,[11]002명이었다.국제 적십자적신월사 연맹은 2013년 [16][17][18][better source needed]8월 21일 최종 보고서에서 총 2,546명의 사망자를 발표했다.태풍과 직접 관련된 피해액은 20억6800만 파운드(2012 PhP, 4840만 달러)에 달했다.피해의 절반 이상이 도로와 [10]교량의 파손으로 인한 것이었다.총 사회 경제적 손실은 미화 [11]9780만 달러에 달했다.

최고 공공 폭풍 경고 신호

PSWS 번호 루손 비자야스 민다나오
2 팔라완 남부 레이테, 보홀, 세부 남부, 네그로스 오리엔탈 남부, 네그로스 옥시덴탈 남부, 시키조르 Surigao del Norte 포함.Siargao 섬, Surigao del Sur, Dinagat 주, Agusan del Norte, Davao del Norte, Davao Oriental, Lanao del Norte, Lanao del Sur, Misamis Occidentalsental, Dambo, Del Zambo, Norte Norte, Dambo, Del Zambo
1 마스바테, 소르소곤, 티카오 제도, 쿠요 제도, 코로나 동사마르, 사마르 서부, 레이테 북부, 세부 나머지, 네그로스 오리엔탈, 네그로스 옥시덴탈 나머지, 카피즈, 앤틱, 아크란, 일로일로, 기마라스 없음.

여파

열대폭풍 '와시' 여파에 따른 민다나오'
열대폭풍 와시로 인한 홍수
카가얀 데 오로시 가스통 공원 내 센동 위령비

2011년 12월 17일 아침, 10만 명의 대피를 포함한 대규모 구호 활동이 일어났다.약 20,000명의 군인들이 복구 노력과 [15]대피를 돕기 위해 동원되었다.필리핀 해안경비대는 마을이 바다로 휩쓸려 나간 것으로 알려지자 실종자 수색에 투입됐다.엘살바도르, 미사미스 오리엔탈 해안에서 60명이 구조됐고 오폴 마을 [19]인근 해역에서 120명이 구조됐다.베니그노 아키노 3세 대통령은 2011년 12월 20일 카가얀오로일리건을 방문해 피해 [20]지역에 국가 재난을 선포했다.대통령은 또한 크리스마스 [21]메시지를 통해 희생자들을 도와달라고 호소했다.

그 직후 렙토스피라증이 발생해 400명 이상이 감염됐고 22명이 사망했다.정확한 숫자는 [11]알려지지 않았지만, 자살로 인한 추가 사망자가 대피소에서 발생했다.

와시 이후 3년 동안, 8개 지역에 220km/h(140mph)의 바람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30,438개의 대피소를 짓는데 25억7천만 파운드(5800만 달러)가 할당되었다.Cagayan de Oro와 Iligan의 건설은 대체로 [22]완료되었지만, 2014년 12월까지 이 총수의 절반 미만이 건설되었습니다.

국제 원조 및 지원

필리핀 북부 민다나오에서 발생한 극심한 열대폭풍 센동(와시) 피해자들을 위한 해외 인도적 지원이 쏟아지고 있다.

호주 정부는 100만 호주 달러(101만 달러)의 재정 [23]지원을 제공했다.

덴마크 정부는 식량, 물, 위생 자재, 매트리스, [24]담요와 같은 구호품을 위해 30만 DKK(53,000달러)의 긴급 자금을 지원했다.

유럽위원회[25]폭풍으로 피해를 입은 수만 명의 사람들을 긴급 구호하기 위해 300만 유로(390만 달러)를 배정했다.

프랑스 정부는 긴급 자금으로 50,000유로(65,000달러)[26]를 제공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5만 달러를 지원했으며 수색 구조대와 의료팀을 [23]파견하겠다고 제안했다.

일본 정부는 태풍 [26]피해자들에게 물탱크와 발전기와 같은 2500만엔 상당의 구호품을 제공했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구호와 [26]재활을 위해 10만 달러의 재정 지원을 제공했다.

중국 정부는 110만 달러의 재정 [23]지원을 제공했다.

싱가포르 정부는 5만 싱가포르달러(3만9천달러)의 자금과 2만7천800싱가포르달러(2만2천달러) 상당의 [23]구호품을 제공했다.

한국 정부는 50만 달러의 재정 [23]지원을 제공했다.

스위스 인도주의 지원부대의 6명이 깨끗한 [27]식수에 접근할 수 있도록 민다나오에 파견되었다.

영국 적십자사는 구호 [28]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14만 파운드(22만 달러)의 자금을 제공했다.

12월 21일, 유엔 긴급 구호 기구는 물과 위생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3백만 달러의 기금을 내놓았다.12월 22일, 유엔 인도주의부는 심각한 열대성 폭풍 '와시' 피해자들을 위해 2,680만 달러를 모금할 계획을 발표했다.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필리핀 정부에 동조하며 "유엔은 [26]재난으로 피해를 입은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모든 도움을 제공할 것이다"라고 말했다.유엔난민고등판무관도 42톤을 북한에 [23]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유엔아동기금은 [29]또한 필리핀에 420만 달러를 보내달라고 호소했다.

미국은 구호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10만 달러를 지원했다.그 나라의 대사, 해리 K. 토마스 주니어는 폭풍의 피해를 입은 사람들에게 "마음의 애도와 위로"를 표했다.즉각적인 원조는 미국 국제개발청의 해외 재난 지원 사무소에 의해 제공되었다.위생 키트, 정수제, 용기 등 비식품품은 필리핀으로 [30]보내기로 했다.

은퇴.

높은 사망자 수 때문에 PAGASA는 센동이라는 이름을 열대성 사이클론 이름 [31]목록에서 삭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2012년 2월 ESCAP/WMO 태풍 위원회는 와시도 명단에서 은퇴하고 하토라는 이름으로 대체될 것이라고 발표했다.그러나 하토라는 이름도 2017년에 퇴역하고 야마네코[32]대체되었다.2012년 6월, PAGASA는 2015시즌의 Sendong을 대체할 Sarah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그러나 그 시즌에는 열대성 저기압의 유입이 적었기 때문에 2019년 [citation needed]시즌에 처음 사용되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레퍼런스

  1. ^ "Significant Tropical Weather Outlook for the Western and South Pacific Oceans".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United States Navy. December 12,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13, 2011. Retrieved December 23, 2011.{{cite web}}: CS1 유지보수: 부적합한 URL(링크)
  2. ^ "Tropical Cyclone Formation Alert".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United States Navy. December 13,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21, 2011. Retrieved December 23, 2011.{{cite web}}: CS1 유지보수: 부적합한 URL(링크)
  3. ^ "High Seas Forecast". Japan Meteorological Agency. December 13,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9, 2011. Retrieved December 23, 2011.{{cite web}}: CS1 유지보수: 부적합한 URL(링크)
  4. ^ "Tropical Depression 27W Advisory Number 001".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United States Navy. December 13,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13, 2011. Retrieved December 23, 2011.{{cite web}}: CS1 유지보수: 부적합한 URL(링크)
  5. ^ "Tropical Storm 27W Advisory Number 005".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United States Navy. December 14,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14, 2011. Retrieved December 23, 2011.{{cite web}}: CS1 유지보수: 부적합한 URL(링크)
  6. ^ "Tropical Depression Sendong Advisory One".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December 15,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15, 2011. Retrieved December 24, 2011.{{cite web}}: CS1 유지보수: 부적합한 URL(링크)
  7. ^ "Tropical Depression 27W Advisory Number 008".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United States Navy. December 15,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15, 2011. Retrieved December 24, 2011.{{cite web}}: CS1 유지보수: 부적합한 URL(링크)
  8. ^ "Tropical Storm Washi Tropical Cyclone Advisory". Japan Meteorological Agency. December 15,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15, 2011. Retrieved December 24, 2011.{{cite web}}: CS1 유지보수: 부적합한 URL(링크)
  9. ^ "Tropical Storm 27W (Washi) Advisory Number 011".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United States Navy. December 15,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16, 2011. Retrieved December 24, 2011.{{cite web}}: CS1 유지보수: 부적합한 URL(링크)
  10. ^ a b c d e f Final Report on the Effects and Emergency Management re Tropical Storm "Sendong" (Washi) (PDF) (Report). National Disaster Risk Reduction and Management Council. February 10, 2012. Retrieved May 1, 2015.
  11. ^ a b c d e f g h Olavo Rasquinho; Jae Hyun Shim; Yun Tae Kim; Jae Chan Ahn; Chi Hun Lee; In Sung Jung; Gmma Dalena; Preminda Joseph Fernando; Susan R. Espinueva; Socrates F. Paat Jr.; Nivagine Nievares & Tess Pajarillo (December 2012). Assessment Report of the Damages Caused by Tropical Storm Washi (PDF) (Report). ESCAP/WMO Typhoon Committee. ISBN 978-99965-817-6-2. Retrieved May 1, 2015.
  12. ^ Initial Assessment of the Development of Tropical Storm Sendong (Washi) over the Philippines (PDF) (Report). DHI Water & Environment. December 2011. Retrieved May 1, 2015.
  13. ^ a b Rob Gutro; Steve Lang; Zhong Liu & Hal Pierce (December 21, 2011). "Hurricane Season 2011: Tropical Storm Washi (Western North Pacific Ocean)". NASA. Retrieved May 1, 2015.
  14. ^ "Storm-triggered floods ravage southern Philippines, kill at least 436". The Washington Post. Associated Press. December 17,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22, 2011. Retrieved December 17, 2011.
  15. ^ a b "Hundreds die as tropical storm Washi sweeps across Philippines". The Telegraph. Associated Press. December 17, 2011. Retrieved December 17, 2011.
  16. ^ Emergency appeal final report - Philippines: Tropical Storm Washi (PDF) (Report). International Federation of Red Cross and Red Crescent Societies. August 21, 2013. Retrieved May 1, 2015.
  17. ^ Padua, David M (2011). "Tropical Cyclone Logs: Sendong (Washi) 2011". Typhoon 2000. Retrieved December 31, 2011.
  18. ^ Ramos, Benito T. Final Report on the Effects and Emergency Management re Tropical Storm "Sendong" (Washi) (PDF) (Report). National Disaster Risk Reduction and Management Cent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January 16, 2013. Retrieved February 24, 2012.
  19. ^ "Storms pound Philippines in the thick of night, kill at least 436". NBC News. December 17, 2011. Retrieved December 17, 2011.
  20. ^ 태양별 아키노, 국가재난 선포
  21. ^ "PNoy airs Christmas aid call for Sendong victims". ABS-CBN News. Retrieved 26 December 2011.
  22. ^ "More than 12,700 shelter units built for survivors of 'Sendong' despite challenges". Government of the Philippines. ReliefWeb. December 29, 2014. Retrieved April 23, 2015.
  23. ^ a b c d e f Noemi M. Gonzales & Johanna Paola D. Poblete (December 22, 2011). "UN issues $28.6-million international appeal for victims". BusinessWorld. Retrieved December 23, 2011.
  24. ^ "Denmark sends emergency aid to disaster areas in the Philippines". ScandAsia. December 23, 2011. Retrieved December 23, 2011.
  25. ^ "EC mobilizes funds to help 'Sendong' victims". Philippine Daily Inquirer. December 23, 2011. Retrieved December 23, 2011.
  26. ^ a b c d Roy C. Mabasa (December 22, 2011). "UN launches revised aid program". Manila Bulletin. Retrieved December 23, 2011.
  27. ^ "Switzerland sends experts to the Philippine disaster area". Government of Switzerland. ReliefWeb. December 22, 2011. Retrieved December 23, 2011.
  28. ^ "British Red Cross sends funds to support typhoon stricken Philippines". British Red Cross. ReliefWeb. December 22, 2011. Retrieved December 23, 2011.
  29. ^ "$4.2 million UNICEF appeal for Philippine flood victims". Philippine Daily Inquirer. Agence France-Presse. December 20, 2011. Retrieved December 23, 2011.
  30. ^ "U.S. provides aid to support Tropical Storm Sendong relief effort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ReliefWeb. December 22, 2011. Retrieved December 23, 2011.
  31. ^ "Government will no longer use Sendong to name typhoons". Sun Star Manilla. 2011-12-2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8-04. Retrieved 2011-12-26.
  32. ^ "Forty-Fourth Session of Typhoon Committee" (PDF). Typhoon Committee. February 2012. Retrieved 2012-02-28.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