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 군단(미국)
V Corps (United States)V 군단 | |
---|---|
![]() V 군단 어깨 소매 기장 | |
활동적인 |
|
나라 | ![]() |
나뭇가지 | ![]() |
역할 | 본부 |
크기 | 군단 |
수비대/HQ | 포트 녹스 |
닉네임 | "승리군단" |
모토 | 그것은 끝날 것이다. |
컬러스 | 파란색과 흰색 |
3월 | "승리!" |
장식 | 공로부대 표창(2), 육군 우수부대상(2) |
캠페인 | 제1차 세계 대전 |
지휘관 | |
현재 지휘관 | LTG 존 S. 콜래시스키 |
휘장 | |
특색 휘장 |
미국 군단(1939–현재) | |
---|---|
이전 | 다음 |
IV 군단(미국) | 6군단(미국) |
이전에 5군단으로 알려져 있던 V 군단은 포트 녹스에 있는 미군의 정규 군단이다.[1] 이전에는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냉전, 코소보, 테러와의 전쟁 때 활동했다.[2]
어깨 소매 기장
직경 2 1/8인치(5.40cm)의 상상의 원 위에 포인트가 놓여 있는 펜타곤으로, 가장자리는 가로 3/16인치(48cm)의 흰색 선이고 방사선은 세로 1/8인치(32cm)의 흰색 선으로 1918년 12월 3일 승인되었다. 이렇게 흰색으로 윤곽을 나타낸 삼각형은 파란색 국기다. 펜타곤은 군단의 수를 나타내며, 파란색과 흰색은 군단 깃발과 관련된 색이다.[3]
역사
제1차 세계 대전
V 군단은 1918년 7월 12일 프랑스 정규군에서 미국 원정대의 일부로 조직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그 군단은 세 번의 명명된 캠페인에서 싸웠다.
본사 V 군단은 1933년 10월 1일 조직적 예비군에서 철수하여 정규군에 할당되었다.[4] 동시에 OH 포트헤이즈에서 HQ, 5군단 구역의 정규 인력과 군단 구역의 예비 인력으로 군단 HQ가 부분적으로 활성화되었다. 1927년부터 1940년까지 정규군, 비활성군, 부대였지만, 군단 HQ, 5군단 구역에서 할당된 예비역 장교와 참모들을 사용하여 임시로 편성되었다. 이러한 잠정적 현역 복무 기간은 일반적으로 지휘소 훈련과 주요 기동 훈련을 위한 것이었다. HQ, V 군단은 1940년 10월 20일 LA의 캠프 보어가르드에서 예비군 인원을 줄인 채 완전히 활성화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1941년 12월 11일 나치 독일이 미국에 선전포고를 한 후, 이 군단은 최초의 미군 병사들을 유럽극장 미 육군에 배치했다(42년 1월). 그 초기 배치는 미 육군 북아일랜드 포스 또는 마그넷으로 알려져 있었다. 1944년 6월 6일 V 군단은 노르망디 오마하 해변을 습격했다. 그 후 군단 병사들은 해변가에서 탈출하여 파리와 세단 아르덴을 해방시키고 독일 국경으로 달려갔다. 룩셈부르크를 해방시킨 후, V 군단은 불게 전투에서 싸웠고 라이프치히를 사로잡았으며, 토르가우에서 붉은 군대와 첫 접촉을 했으며, 체코슬로바키아 남부에서는 1945년 5월까지 플제조를 해방시켰다.
냉전
1947년 3월, 미국 유럽사령부는 자국의 전투부대를 "점령 임무"로 전환하도록 지시했다. 1950년 12월 1일 한국 전쟁 중 소련이 서유럽에 위협을 가할 것을 우려하여 유럽의 야전군으로서 제7군이 활성화되었다. 7군단은 당시 독일에서 두 개의 주요 점령군인 1사단과 미국 경찰관을 흡수했다.
1948년 중반까지 유럽 사령부 내에서 제한된 전투 훈련이 복원되었다.
1950년 12월 트루먼 대통령은 한국전쟁으로 인해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했으며, 4개 사단이 파견되어 국가방위군 제28사단과 제43보병사단을 포함한 유럽 내 미군 증원 활동을 전개하였다. 1951년 5월 제4보병사단이 독일에 있는 미 육군 유럽(USAREUR)에 도착하였고, 1951년 8월 3일 V군단이 재활성화되어 미 육군 제7군단에 배속되었다. 7월에 2d 기갑사단이 독일에 도착하였고, 1951년 8월 25일 4보병사단(HQ: 프랑크푸르트)과 2d 기갑사단(HQ: Bad Kreuznach)이 V군단으로 배속되었다.
미국 4개 사단 증원군이 독일에 도착하자 경찰관이 불활성화되었다. V 군단은 독일 점령지 북부 지역(풀다갑 포함)에, V 군단은 미국 구역 남부 지역에 배치되었다(National Guard segments 중 1개 군단(43위)은 뮌헨과 슈투트가르트 사이에 배치되었다. 몇 년 후 새로 결성된 서독군은 서독의 극남부에 주둔하고 있는 일부 미군 부대의 GDP 위치를 대체했다. 그 결과 미 7군단의 전시 남방 경계선(미군 부대가 원래 KASERnes에 남아 있었음에도 불구하고)과 마찬가지로 미 7군단의 GDP 위치가 더욱 북쪽으로 이동되었다. 이러한 이동 조치는 모든 7군 부대가 ROAD 조직으로 여름과 가을의 전환과 같은 시기와 일치할 가능성이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1951년 1사단이 새로이 활성화된 VII 군단에 배속되었지만, 풀다 갭과 마이닝엔 갭(AKA 그랩펠트 갭) 방어가 할당된 V 군단의 중요성은 1952년 2월 2일 우에르츠부르크 본부의 1사단을 V 군단에 재배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10월 1일에까지 영향을 미쳤다.r 1953년 프랑크푸르트에 본부를 두고 새로 결성된 19기갑군단을 V군단에 배정하였다.
1954년 6월 현재 V군단에 대한 주요 부대 배치는 제1보병사단, 제4보병사단, 제2기갑사단, 제19기갑집단(19기갑군단)이었다. The first U.S. armored division to be stationed east of the Rhine River in the Cold War, namely V Corps' 3d Armored Division, arrived in May/June 1956. (The 3d Armored Div. replaced the 4th Infantry Div.; later, the 2d Armored Div. was replaced by the Bad Kreuznach arriving 8th Infantry Div.) 1955년 7월 1일 제19아머 그룹(HQ 프랑크푸르트)이 제4아머 그룹으로 대체되었다(제4아머 그룹은 제19아머 그룹과 거의 같은 크기였다). 제4아머 그룹은 1963년 ROAD 변환에서 비활성화되었다. 1958년 제1보병사단은 CONUS로 자이로스코프를 하였고, CONUS로부터 제3보병사단에 의해 V군단에서 교체되었다.
1963년 USARUR의 ROAD 조직 개편으로 인해 V 군단은 결국 배정된 2개 부대를 잃었다. (1) 제4 아머 그룹이 비활성화되었다. (2) 우에르츠부르크에 본부를 둔 제3 보병사단은 7군단에 재배치되었다.[5]
바르샤바 조약의 냉전 붕괴 후, V군단은 걸프전을 위해 사우디 아라비아에 부대와 개인 모두를 배치했고, 쿠웨이트, 이라크 북부, 크로아티아, 소말리아, 마케도니아 공화국, 르완다, 자이레의 다른 작전에도 배치했다.
조직 1989
1989년 냉전 말기에 V군단은 다음과 같은 부대로 구성되었다.
-
서독[6] 프랑크푸르트 V 군단
프랑크푸르트 3기갑사단
4 보병사단(기계화), 콜로라도주 포트카슨(Reforger 작전부대)
8보병사단(기계화), 배드 크루즈나흐
- 프랑크푸르트
V군단 포병대
풀다 제11기갑연대
켄터키주 포트녹스 194기갑여단(리퍼거 작전부대)
조지아 포트 베닝, 제197보병여단(기계화) (Reforger 작전부대)
비즈바덴 12 항공여단
하나우 130 공병여단
프랑크푸르트 18 헌병여단
제22신호여단(코프르트), 프랑크푸르트
프랑크푸르트 제205 군사정보여단
비즈바덴 3군단 지원사령부
1990년대
1994년 12월, 미군 재편성의 일환으로 V군단은 IG 파르벤 빌딩에서 하이델베르크의 캠벨 막사로 이전하면서 프랑크푸르트와 43년 무승부를 끊었다. 그 군단은 더 긴밀한 유대관계와 더 나은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수많은 계획으로 동유럽의 군대에 손을 내밀었다. NATO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1994년 V 군단은 독일과 함께 2개의 2개 국가 군단을 창설했다. 사령부 구성요소 랜드 하이델베르크 임무를 위해 13(독일) 기갑사단을 지휘했고, 2(독일) 군단은 1기갑사단을 지휘했다.[citation needed]
1995년 12월 V군단은 제1기갑사단과 6개 독립여단(IFOR)의 요소를 배치하였다. 군단 본부와 본사, 3d지원사령부, 별개 여단은 헝가리에 본부를 둔 보스니아에 있는 미군을 위한 국가지원요소 구성을 도왔다. 두 사단의 여단은 보스니아에서 수년간 평화 집행 임무에서 순환했다. 본부 및 본부 회사인 V 군단은 1998년 이 부대의 이행력(IFOR)을 인정받아 육군 우수 부대상을 수상하였다. 1999년 4월 V군단은 현재 진행 중인 코소보 사태와 관련된 부대인 태스크포스 호크로 본부와 부하 부대를 알바니아에 배치했다. 1사단은 코소보에서 두 차례, 1기갑사단은 V군단 별여단 외에 한 차례 복무했다.
테러와의 전쟁
2002년 말, V 군단은 이라크 전쟁을 위해 미국 중앙 사령부 산하의 쿠웨이트에 배치되었다. 미국 주도의 연합은 이라크에 정권 교체를 가져왔고 이라크와 대량살상무기에 대한 국제적 우려를 만족시켰다. 이 군단과 기동여단은 2003년 3월 21일 주요 노력으로 이라크로 건너갔다. 16일간의 전투 끝에 V군단은 쿠웨이트에서 바그다드까지 직선거리로 540마일 이상 진격해 이라크 국군을 단호히 격파하고 사담 후세인 정권을 무너뜨렸다.[citation needed]
2003년 6월 15일, 이 군단은 바그다드에 본부를 둔 연합 합동 태스크포스 7을 창설하고, 이라크의 나머지 지역을 평정하고, 나라를 재건하고, 민주적인 기관을 만들기 위한 군사작전을 계속했다. 연합 합동 태스크포스 7 임무의 일환으로 V군단 병사들은 이전 이라크 정권의 주요 인물들을 색출하여 체포하거나 살해함으로써 사담 후세인을 직접 체포하는 데 최고점을 찍었다. 2004년 2월 1일, V군단은 3군단에 의해 연합합동 태스크포스 7에 성공하여 독일 하이델베르크에 있는 본국으로 재배치되었다. 육군성은 이라크에서의 전투 성과를 인정받아 2004년 본부와 본부에 공로부대 표창(육군)을 수여했다.[citation needed]
2006년 1월, 이 군단은 이라크에 배치되었고, 다국적군-이라크의 지휘통제 요소로 16세 공수군단을 대체했다. 2006년 12월 14일에 종료된 2년간의 배치 기간 동안 V 군단은 연합군을 계속 이끌고 광범위한 반란을 진압하며 대대적인 재건 활동을 펼쳤다.[citation needed]
V군단은 2012년부터 2013년까지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공화국에서 복무하면서 아프가니스탄에 주둔하고 있는 모든 미 지상군을 지휘통제하는 임무를 수행했다.[7] 2012년 2월 16일, 본부와 본부의 V 군단은 같은 해 초 육군성이 발표한 지침에 따라 아프가니스탄에서 재배치되면 활동을 중단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8] 2013년 6월 12일, V 군단은 독일 비에즈바덴 비브리히 궁에서 공로부대 표창인 육군 우수부대상을 수여받았다.[9]
재활성화
2020년 2월 11일, 미국 육군성은 군단 사령부(V군단)의 활성화를 발표했다. V 군단 사령부는 약 635명의 군인을 보유하게 되며, 약 200명의 군인이 유럽에 작전 지휘소를 지원할 예정이다. 군단 본부는 2020년 가을까지 운영될 것으로 예상된다.
2020년 2월 12일 육군은 V군단의 새 사령부가 켄터키주 포트 녹스에 위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0]
"군단 사령부의 추가 활성화는 유럽에서 운용되는 미 육군, 연합군, 파트너 국가의 전술적 형성을 동기화하는 데 초점을 맞춘 필요한 수준의 지휘와 통제를 제공한다. 동맹국 및 파트너와 함께 지역의 안정과 안보를 증진하기 위해 협력함에 따라 미 육군의 유럽과 유럽사령부를 강화시킬 것이다."
V 군단 창설은 지휘통제 능력 증대에 대한 미국 유럽사령부의 요청을 뒷받침한다.[11]
2020년 5월 새롭게 재활성화된 V군단을 지휘할 MG 존 콜래시스키 1사단 사령관이 지명됐다. 일단 원로원에 의해 확인되면 그는 제3의 별을 받게 될 것이다.[12] 콜래시키는 2020년 5월 21일 중장으로 확정되었다.[13][14] 그는 제임스 C 육군참모총장에 의해 진급되었다. 2020년 8월 4일 폴란드 크라쿠프에서 열린 맥콘빌. 맥콘빌은 2020년 10월 1일부터 다음 회계연도가 시작되는 다음 회계연도 이후 폴란드에 V군단 포워드 본부가 설립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15] 예상 본부 직원 630명 중 200명이 포즈난에 순환 배치될 예정이다.[16][15] [17] 전방 본부는 "유럽의 회전력에 대한 작전 계획, 임무 지휘 및 감독"을 수행하고, 동맹국 및 파트너와 협력하여 준비태세를 구축하고 상호운용성을 강화한다.[17]
2021년 7월 21일 MG J. 브로드워터가 DCG, V 군단으로 발표되었다.[18] 2021년 5월, 폴란드 포즈난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DCG-Mantle에 매튜 판 와게넨 소장이 임명되었다.[19]
참고 항목
참조
- ^ 미 육군(2020년 2월 11일) 육군이 부대 본부 추가 활성화 발표
- ^ 2011년 5월 25일 미국 육군 소장, 리니지 및 명예훈장, 본부 및 본부 대대, V 군단,
- ^ "Shoulder Sleeve Insignia".
- ^ 클레이 2010a, 페이지 154.
- ^ 참고: 일부 날짜는 올리버 J. 프레데릭센의 1953년 저서 "독일의 미군 점령 1945-1953"(역사사단, 본부, 유럽)에서 유래한다.
- ^ Army - The Magazine of Landpower - October 1989 (1989). "Command and Staff". Association of the US Army. Retrieved 26 June 2020.
- ^ "V Corps colors return to Wiesbaden". Eur.army.mil. 2 May 2013. Retrieved 12 June 2013.
- ^ "European Posture Changes" (PDF). Department of Defense (US).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 November 2013. Retrieved 13 March 2018.
- ^ "V Corps inactivates after nearly a century of service to U.S. Army". Eur.army.mi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June 2013. Retrieved 12 June 2013.
- ^ Sheroan, Ben (12 February 2020). "Fort Knox lands new U.S. Army corps". 'The News-Enterprise'.
- ^ "Army announces activation of additional corps headquarters". United States Army.
- ^ "Kolasheski tapped to lead newly reactivated Fifth Corps". ausa.org. Retrieved 19 May 2020.
- ^ "DA announces Fort Knox-related general officer promotions, assignments". Fort Knox. 21 May 2020. Retrieved 1 June 2020.
- ^ "PN1757 — Maj. Gen. John S. Kolasheski — Army". congress.gov. US Congress. 21 May 2020. Retrieved 1 June 2020.
- ^ a b Rempfer, Kyle (5 August 2020). "Army's resurrected V Corps will go to Poland". Army Times. Retrieved 10 August 2020.
- ^ "US Army names head of V Corps HQ to be based in Poland". ABC News. The Associated Press. 4 August 2020. Retrieved 10 August 2020.
- ^ a b 포즈난에 위치할 미 육군 V군단 본부(2020년 9월 9일) 폴란드 V군단 본부(전진)
- ^ https://www.armytimes.com/news/your-army/2021/07/21/former-1st-cavalry-division-boss-cleared-by-internal-investigation/ Army Times (2021년 7월 21일) 새 임무로 별 2개 이동
- ^ "V Corps welcomes two new deputy commanding generals to Fort Knox". www.msn.com. Retrieved 20 November 2021.
참고 문헌 목록
- 버거, 에릭 H. 직원 병장 "V 군단 송-3월 "승리!" 인쇄
- Clay, Lt. Col. Steven E. (2010a). US Army Order of Battle 1919-1941 Volume 1. The Arms: Major Commands and Infantry Organizations.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 Kansas: Combat Studies Institute Press.
- 콘돈, 에드워드 J, 그리고 레이먼드 A. Mathews History Report of the V Corps-1949. N.P., 1950.
- 1942년 1월 6일 ~ 1945년 5월 9일 ETO의 힐, 존 G. V 군단 작전. 파리: 폴 비비어스, 1945년
- 역사 V 군단 44년 6월 6일 제 668회 엔지니어 지형학 회사, 1945년
- C.R. 휴브너 "벨기에에서 체코슬로바키아까지 V군단" 육군 및 해군 저널 83(1945년 12월 4일):55ff.
- 터커, 스펜서, 에드 글로벌 갈등 연대기: 고대 세계에서 근대 중동까지. 제5권: 1861-1918. 캘리포니아 주 산타 바바라: ABC-CLIO, 2010.
- 미국 육군 사관. 군사 역사의 중심지. 육군, 군단, 사단, 별개 여단. 윌슨, 존 B, 컴퍼스 워싱턴: GPO, 1999.
- 미국 육군 사관. 군사 역사의 중심지. "럭킹업!" 1990-2001년 V 군단의 탈냉전 전환. 찰스 E. 커크패트릭에 의해. 워싱턴: GPO, 2006.
- 미국 육군 사관. 통합 무기 센터.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의 V 군단, 1995-1996: 구두 역사. 해롤드 E. 로 주니어 에드 캔자스 주 리븐워스 포트: 2010년 전투연구기관 프레스.
- 미국 육군 사관. 본부, V 군단 "될 것이다!" 미 육군 5군단, 1918~2009: 화보 역사. 해롤드 E. Raugh, Jr. Ed. Grafenwohr, 독일: Druckrei Hutzler, 2009.
- 미국 육군 사관. 본부, V 군단 V 군단의 역사. 2001년 찰스 E. 커크패트릭에 의해.
외부 링크
- 정부
- 일반 정보
- V 군단 GlobalSecurity.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