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코스 FC

Tecos F.C.
테코스
Tecos fc logo.png
풀네임테코스 푸트볼 클럽
닉네임로스 테코스 (The Tecos)
로스 테콜로테스 (올빼미)
로스 에스투디안테스(The Studiantes)
오토노마 (자치주)
로스 엠플루마도스 (피더드)
엘 테콜로테 (올빼미)
설립.1971년 7월 5일, 51년 전(1971-07-05)
에스타디오 트레스 데 마르조
멕시코 할리스코 주 자포판
용량.18,779[1]
주인안토니오 레뇨
후안 카를로스 레뇨
회장님후안 카를로스 레뇨
부장님호르헤 에르난데스
리그리가 프리미어 - 세리에 A
클라우수라 20229위 - 그룹 I
웹 사이트클럽 웹사이트

테코스 푸트볼 클럽(Tecos [2]Fütbol Club)은 멕시코 과달라하라 우니베르시다드 오토노마를 연고지로 하는 축구 클럽이다.경기는 에스타디오 3 데 마르조(3월 3일 스타디움, 1935년 설립일의 이름을 딴 것)에서 열린다.30,015석 규모의 이 시설은 할리스코 주 과달라하라 의 자포판에 위치해 있다.

이전에 클루브푸트볼 우니베르시다드 오토노마 데 과달라하라로 명명된 에스투디안테스는 멕시코 축구 역사상 유일하게 하위 2부 리그에 올라 챔피언십을 거머쥐었다(나중에 하위 리그에서 올라온 다른 팀은 오아스테펙이었다).이 팀은 멕시코 리그 클라우수라 2005에서 두 번째 경기에서 클럽 아메리카에 6-3으로 패한 후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2년 4월 14일, 에스투디안테스 테코스는 아틀라스와 케레타로와의 경기에서 최근 3년간 가장 낮은 승점을 얻은 후 멕시코의 리가 데 아센소로 강등되었다.에스투디안테스와 푸에블라의 무승부와 아틀라스가 몬테레이를 상대로 거둔 승리와의 조합이었다.

에스투디안테스는 2014년 클라우수라 아센소 MX 챔피언십에서 우승했지만 승격 결승에서 리오네스 네그로스에게 패했다.2014년 5월 22일, 그루포 파추카 사장인 헤수스 마르티네스 파티뇨는 에스투디안테스 테코스가 사카테카스로 이전할 것이라고 발표했다.2014년 5월 28일, 이적이 확정되었고, 구단명을 미네로스사카테카스로 변경하였고, 에스투디안테스 테코스는 해체되었다.

해체된 후에도, 그들은 여전히 멕시코의 3부 리그인 리그 프리미어아센소에 소속되어 있었으나, 미네로스사카테카스의 자회사로 간주되어 아센소 MX로 승격할 수 없었다.

2015년 8월, 레뇨 일가는 그루포 파추카로부터 이미지 판권을 사들이고, 멕시코 축구의 4부 리그인 테르세라 디비시온에 다시 참가하기 위해 구단을 창단하였다.

테르세라 디비전 2016-2017 시즌 후, 테코스 FC는 투조스 파추카와의 준결승전에서 4-2로 승리하였고, 이 경기에서 스페르팅 카나미에게 승부차기에서 패했음에도 불구하고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승격하였다.

역사

이 대학은 1935년에 설립되었고 1971년 Federacion Mexicana de Futbol에 합류할 때까지 아마추어 축구를 할 수 있는 팀을 만들었다.그들은 기예르모 세풀베다의 감독 하에 라 피에다드를 4-0으로 꺾고 두 번째 시즌에 리가아센소로 승격하였고, 2년 후인 1974-75 시즌에는 에바르도 빌라세뇨르의 감독 하에 열린 승격 경기에서 이라푸아토를 꺾고 프리메라 디비시온 멕시카나로 승격하였다.

제1부 1년차

1975년 9월 3일 푸에블라 FC와의 프리메라 디비시온 멕시카나 첫 경기를 치렀으나 2-3으로 패했다. 클럽의 첫 승은 아틀레티코스 캄페시노스와 할리스코 스타디움에서 열렸다.그 해에 그 팀은 2위를 차지하여 첫 리그야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8강전에서 그 클럽은 새로 승격된 클럽을 탈락시킨 클럽 아메리카와 맞붙었다.그 다음 해에, 구단은 종합 4위를 차지하여 다시 한번 리그에 진출하였으나, 다시 한번 8강전에서 티그레스 데 라 UANL에 의해 탈락하였다.

1979-80년 토너먼트에서 클럽들은 스페인 토르네오 발렌시아에서 열린 친선 토너먼트에 초대되었고, 이 토너먼트는 클럽이 간신히 이겼다.구단이 리그에 진출하지 못한 국내 리그에서는 정반대의 이야기다.

1980-81시즌, 테코스 UAG는 20경기 무패 행진을 달성하고 1위로 마감하여 국내 기록을 세웠으나, 포스트시즌 라운드 로빈 탈락으로 결승에 진출하지 못했다.

1986-87시즌, 테코스 UAG는 토너먼트의 가장 큰 경쟁자 중 하나로 나타났다.호세 루이스 잘라자르는 페널티킥으로 최다인 21골을 넣어 득점왕에 올랐다.그들은 크루스 아줄과의 8강에 올랐고, 잘라자르가 경기의 운명을 결정짓는 슛 중 하나를 성공시키지 못한 승부차기에서 패했다.

1993-94 챔피언십

리귀야에서 좋지 않은 시즌과 8강 진출이 좌절된 시즌을 보낸 후, 구단은 당시 포트로스 네자와 레온의 승격으로 알려진 빅터 마누엘 부케티치 감독을 영입하였다.부케티치는 또한 몇 년 전에 리그 우승을 차지한 마지막 팀을 감독했다.이 팀은 카를로스 브리오네스, 호르헤 가브리치, 포르피리오 히메네스, 오스마르 도니제트, 마르셀로 곤살베즈 등의 선수들로 구성되었다.시즌 1부에서는 CD 과달라하라로 1위를 차지했고, 시즌 1부 종료 후에는 과달라하라가 1위를 차지했지만, 시즌 2부에서는 골키퍼 알란 크루즈의 기록과 함께 무패의 기록으로 테코스를 정상에 올려놓았다.마지막 경기에서 CD 과달라하라를 꺾고 아틀레티코 모렐리아와 레프차제를 치르게 했다.정규 토너먼트가 끝난 후, 테코스는 51득점, 49득점, 26득점만을 받아 이번 시즌 최고의 수비수가 되었다.

8강전에서 테코스는 두 경기에서 모두 3-0으로 득점하며 약한 아틀레티코 모렐리아를 꺾었다.준결승에서 그들은 아메리카를 만났다.테코스는 아즈테카 스타디움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3-2로 승리하였다. 극적인 경기에서, 아메리카는 에스타디오 트레스마르초에서 테코스를 2-1로 물리쳤으나, 에드손 즈바리히의 골로 동점이 되었고, 테코스는 결승을 1위로 통과하였다.

결승전은 몇 시즌 동안 강등을 면한 후 좋은 선수들로 보강되어 첫 결승전을 달성한 또 다른 팀인 산토스 라구나와의 경기였다.1994년 4월 27일 토레온코로나 스타디움에서 열린 산토스와의 첫 경기는 매우 거친 경기였고, 그 골은 다니엘 구스만의 페널티킥이었다.

두 번째이자 마지막 경기는 1994년 4월 30일 트레스 드 마르조 스타디움에서 열렸다.경기는 공격성으로도 주목받았으나, 테코스는 헤수스 고메스의 자책골로 산토스와의 정규 시간에 1-0으로 승리하여, 글로벌 스코어를 동점 처리하였고, 연장전까지 이어졌고, 이 기간 동안 오스마르 도니제트가 산토스 수비진을 제치고 폭주하여 골을 터뜨려 테코사그에게 동점골을 안겨주었다.

불규칙한 연도(1994-2005)

테코스는 우승을 위해 도움을 준 대부분의 선수들을 유지하려고 노력했지만 안타깝게도 호르헤 가브리치와 포르피리오 히메네즈 같은 몇몇 선수들은 은퇴했고 하비에르 에르난데스 구티에레즈 같은 다른 팀들과 오스마르 도니제트 같은 다른 팀들은 이전 시즌에서 보여졌던 자질을 잃기 시작했다.에드슨 즈바리히마침내, 빅토르 마누엘 부케티치는 그의 자리를 사임했고 이것은 루이스 페르난도 테나가 차지했다.

그리고 이것이 시작되면서 Tecos UAG는 간신히 자격을 획득하는 불규칙한 시즌들에 대한 긴 이야기가 시작되었다.1997년에는 세르비아 즈덴코 무프, 1999년에는 우루과이 선수 세바스찬 아브레우, 아돌포 바우티스타로 공격진을 보강했다.이 세 명의 선수들과 함께 테코스는 1위로 돌아가려 했지만 1998년 아틀라스(베라노 98)와 네카사(인비에르노 98)에게 8강에서 탈락했다.인비에르노 99에서 아틀라스와의 8강전에서 또다시 패했다.

인비에르노99 이후 포지션을 잃기 시작했고 3개 대회에서 승점 비율도 떨어지기 시작했다.테코스는 2003년에 강등에서 살아남았다.클라우수라 대회 이후 1승 14패로 승점 7점을 기록했지만 콜리브리에스쿠에르나바카(옛 아틀레티코 셀라야)는 강등됐다.

1999년 구단주 후안 카를로스 레뇨가 1군 수비수로 데뷔했다.

2002년 아페르투라에서 테코스는 2조 2위로 올라섰지만 8강전에서 모나르카스에게 7-2로 쉽게 패했다.그들의 최고 득점자는 레이날도 나비아로 9골이었다.이 토너먼트는 테코스가 2003년 클라우수라 세션에서 7점을 얻어 꼴찌를 한 상태에서 살아남는 데 도움이 되었다.

2003년 아페르투라에서, 테코스는 그 시즌에 10골을 넣은 엘리오마르 마르콘을 영입하여 팀이 그 대회에서 리페차제 라운드에 진출하도록 도왔으나, 그곳에서 크루즈 아줄에게 패배하였다.다음 시즌 테코스는 승점 18점에 그쳐 최하위 자리를 지켰고, 다음 시즌에는 승점 16점으로 크루즈 아술, 도라도스와 공동 꼴찌를 하면서 강등이 가까워지기 시작했다.

클라우수라 2005

2005년 클라우수라 대회에서 테코스는 다니엘 구스만과 함께 또 다른 좋은 팀을 구성했고 다니엘 루데냐와 후안 파블로 로드리게스 선수들로 팀을 보강했다.

루데냐와 엘리오마르 마르콘이 득점 순위 10위권 안에 들 수 있다면 이번 시즌은 테코스에게 골 효과 면에서 최고 중 하나였다.테코스는 순위에서 4위에 오를 수 있었고, 비록 그들이 그룹에서 3위였지만, 그들은 리귀야 대회에 참가할 자격을 얻었다.

8강전에서 그들은 네카사를 두 경기에서 4-1로 이겼다.준결승에서 그들은 자포판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토너먼트의 1위 팀인 모나르카스 모렐리아와 맞붙었다.테코스는 이 경기에서 1-0으로 이긴 뒤 모렐로스 스타디움에서 1-1로 비기며 선두를 지웠다.

아메리카와의 결승전에서, 테코스는 자포판에서 큰 우위를 점할 뻔 했으나, 막판 페널티킥으로 아메리카가 1-1로 비겼다.마침내 테코스는 아즈테카 스타디움에서 6-3으로 패했다.

2005년 아페르투라에서 테코스는 득점력을 잃었지만 리구일라에 다시 진출해 8강전에서 몬테레이에게 패했다.2006년 클라우수라에서 테코스는 리귀야까지 도달하기에는 부족한 21점을 기록했다.

다니엘 루데냐가 산토스로 이적한 후, 테코스는 득점력을 잃었고, 휴고 드로게트의 도움에도 불구하고 2007-2008 시즌부터 포지션 테이블에서 익사하기 시작했다.

2009년 리노베이션 프로젝트

2009년에 리노베이션 플랜이 발표되어 클럽의 이름과 로고 변경이 제안되었습니다.이 계획은 멕시코 회장 호세 안토니오 레뇨와 가족(클럽 오너)과 이전에 CD와 함께 일했던 후안 호세 프란지에 회장에 의해 지지되었다. 과달라하라.2009년 5월 25일 이 프로젝트는 공식적으로 출시되었습니다.첫 번째 변화는 이름이었다; C.F. U.A.G. (Universidad Autonoma de Guadalajara.)는 C.F.바뀌었다. 에스투디안테스, 이름 변경에 대한 이유는 클럽의 이미지를 쇄신하기 위해서였고, 결과적으로 남미 팀 [citation needed]별명들을 언급하기 위한 미적인 변신을 가져왔다.새로운 색상은 이전에는 흰색과 빨간색 테마였던 와인과 노란색이다.새로운 유니폼과 프로젝트는 2009년 클라우수라 때부터.

이름을 바꾸고 금요일 밤에 경기할 수 있는 시간표를 옮긴 후(과달라하라에서 더 많은 사람들이 경기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에스투디안테스는 2009년 아페르투라에서 좋은 시즌을 보냈고, 인터리그에서 그들을 2010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권을 얻을 수 있었지만, 그들은 그러지 못했다.후안 아우리히 팀에게 4-1로 패한 후 예선을 통과한다.

강등

2010-2011 시즌은 에스투디안테스의 성적이 매우 좋지 않았고 아틀라스 바로 뒤를 이어 세 번째로 낮은 강등률 순위에서 시작되어 최근 티후아나로 올라섰다.아페르투라 2011은 세 팀에게 힘든 시기였고 에스투디안테스는 대회 종료 후에도 자리를 지켰지만, 2012년 클라우수라 기간 동안 티후아나 스쿼드와 아틀라스의 견고한 수비로 에스투디안테스는 꼴찌로 밀렸다.에스투디안테스는 아틀라스가 잘리스코 스타디움에서 몬테레이를 1-0으로 꺾고 멕시코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설 자리를 잃었고, 테코스는 트레스 데 마르조 스타디움에서 푸에블라에게 1-1로 비겨 승점 7점 차로 뒤졌다.프리메라 디비시온 테코스의 마지막 경기는 케레타로와의 경기로 1-1 무승부로 끝났다.

기기 판매

과달라하라 자치대학은 에스투디안테스 테코스가 그루포 파추카에 매각된 것을 확인하였고, 또한 클라우수라 2013에도 학생 클럽을 유치할 것이 분명해졌다.

"그루포 파추카는 2013년 5월에 운영될 예정입니다. 과달라하라 자치대학은 그루포 파추카의 행운을 기원하며 팀의 새로운 국면이 승리와 우승으로 가득하기를 바랍니다."라고 발표했다.

팀의 실종

2014년 5월 22일, 그루포 파추카의 회장인 헤수스 마르티네스 파티뇨는 클럽 데포르티보 에스투디안테스 테코스가 할리스코에서 사카테카스로 이전할 것이라고 발표했는데, 이는 사카테카스 정부와 프로 축구팀을 파견하기로 합의했기 때문이다.

2014년 5월 28일 테코스를 리가 방코메르 MX로 돌려보내지 못함으로써 장소와 명칭이 변경되어 미네로스사카테카스가 탄생했다.

세군다 디비시온 데 멕시코에서 뛰었던 리저브 팀은 자포판에 머물렀다.7월에, 에스투디안테스 테코스가 2014-15 시즌 리그 프리미어아센소에서 예전의 에스투디안테스 테코스 CF의 방패와 유니폼을 입고 출전할 것이라는 것이 공식화 되었다.

2014-15 시즌 후, 에스투디안테스 테코스는 리저브 팀을 사카테카스로 옮기고 해체하였다.

재기초(새로운 시대)

2015년 8월, 레뇨 일가는 그루포 파추카로부터 이미지 판권을 사들이고, 멕시코 축구의 4부 리그인 테르세라 디비시온에 다시 참가하기 위해 구단을 창단하였다.이전 구단주인 안토니오 레뇨와 그의 아들 후안 카를로스 레뇨는 클럽의 목표가 5-6년 내에 아센소 MX 및/또는 1부 리그에 도달하는 것이라고 추정한다.

2016-17 시즌, 로드리고 '엘 포니' 루이즈의 지도 하에, 팀은 준결승전에서 투조스 파추카를 4-2로 꺾고 결승에 오른 후 세군다 디비시온에 진출하는데 성공했다.결승전에서 테코스는 스포르팅 카나미와 맞붙어 120분 만에 2-2로 비겼다.그러나 승부차기에서 스포르팅 캐나미가 챔피언이 될 것이다.

그 후 테코스는 멕시코에서 (카치룰레스)로 알려진 규정상 허용된 연령 제한을 초과하여 선수를 기용하는 것에 대해 주장하면서 결승전의 결과 취소를 요청했다.2017년 6월 19일, 징계위원회는 테코스가 카나미 선수의 출생 증명서를 조작했다는 증거를 찾아달라는 요청을 받아들여 테코스는 3부 리그 챔피언으로 선언되어 2부 리그[3][4]승격되었다.

Tecos 이름

테콜로테(멕시코 스페인어로는 올빼미)

원래 에스투디안테스 테코스는 U.A.G. 학생들에게 Tecos라는 이름이 이중의 의미를 가지고 있어 Tecos U.A.G.라는 이름이 "Tecolote"(멕시코의 올빼미의 일부 종류)라는 뜻의 줄임말이자 "Tarea Educativa Y Haint La Ordcia"의 약자이기 때문에 흔히 테코스로 불렸다.대학의 학생들과 학자들이 결성한 모임

과달라하라 축구 역사상 낮은 위치

테코스 UAG가 1부 리그로 올라갔을 때 과달라하라는 의외로 1부 리그(과달라하라, 아틀라스, 테코스, 유니버시다드 데 과달라하라, 할리스코)에서 뛰고 있는 5개 팀들로 가득 찼다.할리스코와 아틀라스가 한 시즌 동안 강등되면서 이 숫자는 결국 3개로 줄었다.

처음에 테코스의 가장 큰 경쟁자는 Universidad de Guadalajara였다.U.A.G.가 사립대, U.D. G.가 공립대인 두 팀이 같은 도시에 있는 대학을 대표한다는 사실에 기인했다.U. de G. 팀은 테코스보다 더 인기가 있었고 U.A.G.보다 더 많은 횟수의 결승 진출과 멕시코 컵 우승으로 더 성공적이기도 했다.안타깝게도 U. de G.는 테코스가 우승하는 동안 정규시즌에서 우승하지 못했다.안타깝게도, 1994년 FEMEXFUT에 매각된 U. de G.는 경제 문제로 인해 그들의 프랜차이즈를 잃었다.

테코스는 우승 후 받은 인기를 유지하려고 노력했지만 1997년 시바스의 성공과 90년대 말 아틀라스의 인기 상승으로 테코스는 도시의 다른 팀들에 비해 낮은 인지도를 유지하게 되었다.

테코스가 프리메라리가에 머물던 말년에는 아틀라스, 과달라하라 모두와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려 했지만 테코스의 팬 지원 부족으로 크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비공식적으로 아틀라스와의 라이벌전은 "엘 클라시코 데 라 아베니다 파트리아" (패트리아 애비뉴 더비)와 "엘 클라시코 데 자포판" (자포판 더비)로 불렸다.

팀 역사상 테코스는 리그에서 바라 브라바가 없는 유일한 팀이었고 대신 "로스 레프로베이도스"라고 불리는 학생 서포터 팀이 있었기 때문에 다른 팀들과 차별화되었다.클럽의 첫 해에, U.A.G. 학생들은 대부분의 경기를 무료로 보기 위해 경기장에 입장하는 것이 허용되었다.하지만 응원단은 경기장에 있는 내내 결과를 모르고 시끄럽게 서있었고 동료 애니메이션 팀을 존중했다.

키트 진화 및 희귀 키트

  • 키트: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허리까지 노란색 투명 슬래시가 있는 버건디 셔츠, 버건디색 반바지와 양말.
  • 어웨이 키트: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허리까지 황금색 슬래시가 있는 흰색 셔츠에 흰색 반바지와 양말.
최초의 키트 진화
1971
1977
1980
1987
1990
1994
1995
2006

체커 패턴

최초의 키트 진화
1994
1997
1998
2001
2004
2006
2007
2008

2009-2014년 대학 컬러

최초의 키트 진화
2010
2011

스타디움

에스타디오 3 데 마르조

그들은 홈경기를 할리스코 자포판에 위치한 에스타디오 트레스마르조에서 치른다.수용인원은 30,015명이고 1971년에 건설되었다.가장 최근의 개조는 [5]1999년에 있었다.

골득실적

역대 목표 리더

위치 플레이어 목표들
* 1 Paraguay 휴고 엔리케 키세 115
*2 Mexico 유스타시오 리조 51
*3 Serbia 즈덴코 무프 42
*4 Brazil 오스마르 도니제테 42
*5 Brazil 엘리오마르 마르콘 40
*6 Chile 미겔 앙헬 감보아 40
*7 Mexico하비에르 에르난데스 40
*8 Mexico 엔리케 빌랄바 36
*9 Uruguay세바스티안 아브레우 34
*10 Brazil 에드머 루카스 34

득점왕

위치 플레이어 목표들 연도
* 1 Uruguay 호세 잘라자르 27 1986-87
*2 Uruguay세바스티안 아브레우 14 2000년 겨울

플레이어

현재 명부

2022년 1월 13일 기준[6]

참고: 깃발은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정의된 국가 대표팀을 나타낸다.선수들은 둘 이상의 비 FIFA 국적을 보유할 수 있다.

No. Pos. 국가 플레이어
1 GK Mexico MEX 막실리아노 알마다
2 DF Mexico MEX 크리스티안 로드리게스
3 DF Mexico MEX 구스타보 로드리게스
5 FW Mexico MEX 카를로스 톨로사
6 MF Mexico MEX 호세 카시야스
7 MF Mexico MEX 호세 로레토
8 MF Mexico MEX 루이스 세발로스
9 FW Mexico MEX 오베트 에스트라다
10 MF Mexico MEX 크리스티안 오르티즈
11 MF Mexico MEX 디에고 산체스
13 GK Mexico MEX 자이메 파티뇨
14 DF Mexico MEX 라울 로페스
No. Pos. 국가 플레이어
16 FW Mexico MEX 파비안 파르티다
17 FW Mexico MEX 알레한드로 자코보
18 MF Mexico MEX 다니엘 라미레스
19 MF Mexico MEX 브랜든 폰세카
20 FW Mexico MEX 호세 루발카바
21 FW Mexico MEX 피델 산체스
23 MF Mexico MEX 마우로 안드라데
26 MF Mexico MEX 호세 로멜리
27 DF Mexico MEX 페드로 테란
28 GK Mexico MEX 후안 파블로 메르카도
30 DF Mexico MEX 카를로스 아렐라

예비팀

테코스 FC (리그 TDP)
멕시코 리그 4부 리그인 리가 TDP에 소속된 리저브 팀.
CEFO-ALR
멕시코 리그 4부 리그인 리가 TDP에 소속된 리저브 팀.

유명한 전직 선수들

명예

1993-94
클라우수라 2014
1974-75
1972-73
2016-17

국제

1995
  • 토르네오 솔 데 라 발렌시아: 1
1979

매니저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에스타디오
  2. ^ 에스투디안테스 테코스의 최근 성적과 선수 명단
  3. ^ Herrera, Carlos (24 June 2017). "Tecos gana el título de Tercera División en la mesa" (in Spanish). ESPN México. Retrieved 18 April 2019.
  4. ^ Maldonado Ibarra, Eduardo (26 June 2017). "Tecos asciende a Segunda Premier tras resolución de la FMF" (in Spanish). UDG TV. Retrieved 18 April 2019.
  5. ^ "CD Estudiantes Tecos: Estadio Tres de Marzo". Soccerway. Global Sports Media. Retrieved 10 October 2011.
  6. ^ "Tecos". Liga BBVA MX. Retrieved 18 September 202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