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로드
Upload업로드란 네트워크를 [1]통해 컴퓨터 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말합니다.일반적인 업로드 방법으로는 웹 브라우저, FTP 클라이언트, 터미널(SCP/SFTP)을 통한 업로드가 있습니다.업로드는, 파일을 중앙 서버에 송신하는(잠재적으로 많은) 클라이언트의 컨텍스트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업로드도 BitTorrent와 같은 P2P(peer-to-peer) 파일 공유 프로토콜과 같이 분산 클라이언트 간에 파일을 보내는 컨텍스트에서 정의할 수 있지만 이 경우 파일 공유라는 용어가 더 자주 사용됩니다.네트워크를 통해 파일을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 시스템 내에서 파일을 이동하는 것을 파일 복사라고 합니다.
업로드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다운로드와 직접 대조됩니다.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파일을 업로드하는 경우, 많은 Internet Service Provider(ISP; 인터넷서비스 프로바이더)가 비대칭 연결을 제공하므로 업로드가 다운로드보다 느릴 수 있습니다.이것에 의해, 다운로드에 필요한 네트워크 대역폭이 업 로드보다 많아집니다.
정의.
특히 인터넷을 [2]통해 컴퓨터 또는 기타 디지털 장치에서 다른 장치(예: 더 큰 컴퓨터 또는 원격 컴퓨터)의 메모리로 무언가를 전송하는 것.
역사적 발전
원격 파일 공유는 1978년 1월, 시카고 지역 컴퓨터 취미 활동가 교환(CACH) 멤버였던 Ward Christensen과 Randy Suess가 컴퓨터 게시판 시스템(CBBS)을 만들면서 처음 실현되었습니다.이는 초기 파일 전송 프로토콜(MODEM, 이후 XMODEM)을 사용하여 하드웨어 모뎀을 통해 바이너리 파일을 전송하고, 다른 모뎀이 전화 번호를 [3]통해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이후 1985년 파일 전송 프로토콜(FTP)이 표준화될 때까지 Kermit과 같은 새로운 프로토콜이 [4]출시되었습니다. (RFC959)FTP는 TCP/IP에 기반하여 많은 FTP 클라이언트를 발생시켰고, 이는 전 세계 사용자들이 동일한 표준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액세스하여 장치 간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1991년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 출시 이후 데이터 전송이 크게 인기를 끌면서 컴퓨터 취미자가 아닌 사용자가 HTTP를 [5]통해 웹브라우저에서 직접 파일을 공유할 수 있게 됐다.
파일 전송의 복원 가능성
1997년의 HTTP/1.1(RFC 2068)의 발매에 의해 전송의 신뢰성이 향상되었습니다.이것에 의해, 접속의 신뢰성이 저하하는 등, 중단된 다운로드를 재개할 수 있는 옵션이 유저에게 주어졌습니다.웹 브라우저가 광범위하게 지원되기 전에는 GetRight와 같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운로드를 재개할 수 있었습니다.업로드 재개는 현재 HTTP에서 지원되지 않지만, 기존 HTTP [6][7]연결 위에 업로드 복원성을 레이어드하는 파일 업로드용 Tus 오픈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추가할 수 있습니다.
업로드의 종류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의 업로드
클라이언트 서버 모델에 따라 로컬파일을 리모트시스템에 송신하는 것(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가 비디오를 웹 사이트로 전송하는 것)은 클라이언트 투 서버 업로드라고 불립니다.
리모트 업로드
로컬 시스템의 제어 하에 리모트시스템에서 다른 리모트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리모트업로드 또는 사이트 간 전송이라고 합니다.로컬 컴퓨터에서 원격 시스템에 대한 연결이 느리지만 이러한 시스템 간에 연결이 빠를 때 사용합니다.리모트 업로드 기능이 없으면 데이터를 로컬시스템에 다운로드한 후 리모트서버에 업로드 할 필요가 있습니다.두 번 모두 저속 접속을 통해 업로드해야 합니다.원격 업로드는 일부 온라인 파일 호스팅 서비스에서 사용됩니다.다른 예는 FTP 클라이언트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FTP 클라이언트는 고속 접속을 가진2대의 FTP 서버에 파일 교환을 지시하기 위해 File eXchange Protocol(FXP)을 지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웹 기반 예로는 Dropbox와 같은 사용자의 클라우드 스토리지에서 사용자의 장치로 [8]먼저 이동하지 않고 직접 웹 사이트로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Uppy 파일 업로더가 있습니다.
피어 투 피어
Peer-to-peer(P2P; 피어 투 피어)는, 각 통화자가 같은 기능을 가지는 분산형 통신 모델이며, 어느 한쪽이 통신 세션을 개시할 수 있습니다.클라이언트가 서비스 요청을 하고 서버가 (파일 전송을) 실행함으로써) 요구를 실행하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과 달리 P2P 네트워크 모델에서는 각 노드가 클라이언트 및 서버로서 기능할 수 있습니다.BitTorrent는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와 마찬가지로 그 예입니다.피어 투 피어(peer-to-peer)를 사용하면, 컨텐츠의 수신(다운로드)과 호스트(업로드)의 양쪽 모두를 실시할 수 있습니다.파일은 사용자의 컴퓨터 간에 직접 전송됩니다.같은 파일 전송이 한쪽에서는 업로드를 구성하고 다른 한쪽에서는 다운로드를 구성합니다.
저작권 문제
1990년대 파일 공유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MP3 파일 전용 음악 공유 플랫폼인 냅스터가 등장하여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파일을 교환할 수 있게 되었다.P2P의 특성상 콘텐츠를 위한 중앙 게이트키퍼가 없다는 것을 의미했고, 이는 결국 Napster를 통해 저작권이 있는 자료를 널리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는 Napster가 사용자 기반에 저작권이 있는 음악을 배포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1999년 12월 6일 이 서비스에서 저작권이 있는 곡의 교환을 중지하기 위해 사전 금지 신청을 냈다.냅스터의 항소가 기각된 후,[9] 2001년 3월 5일 가처분 신청이 승인되었다.2001년 9월 24일, 이미 두 달 [10]전에 전체 네트워크를 폐쇄한 냅스터는 2,600만 달러의 [11]합의금을 지불하기로 합의했다.
Napster가 운영을 중단한 후, Limewire, Kazaa, Popcon Time과 같은 많은 다른 P2P 파일 공유 서비스가 그 뒤를 이었다.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외에도 파일을 색인화하고 검색할 수 있는 비트토렌트 웹사이트가 많이 있었다.그런 다음 BitTorrent 클라이언트를 통해 이러한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BitTorrent 프로토콜 자체는 합법적이고 공유 콘텐츠 유형에 구애받지 않지만, 저작권이 있는 자료를 삭제하는 엄격한 정책을 시행하지 않은 대부분의 서비스는 결국 법적 [12][13]문제에 직면하게 됩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What is Uploading? Definition from WhatIs.com". WhatIs.com. Retrieved 11 June 2020.
- ^ "Definition of Upload". Merriam Webster. Retrieved 11 June 2020.
- ^ Christensen, Suess. "The Birth of the BBS. By Ward and Randy (1989)". Retrieved 11 June 2020.
- ^ da Cruz, Frank (1986-03-20). "Re: Printable Encodings for Binary Files". Info-Kermit Digest (Mailing list). Kermit Project, Columbia University. Retrieved 11 June 2020.
- ^ Enzer, Larry (August 31, 2018). "The Evolution of the World Wide Web". Monmouth Web Develope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November 2018. Retrieved August 31, 2018.
- ^ Van Zonneveld, Kevin (16 November 2015). "tus 1.0 – Changing the future of uploading". Retrieved 11 June 2020.
- ^ Keane, Jonathan (16 November 2015). "Berlin-based Transloadit wants to fix broken file uploads once and for all, with support from Vimeo". Tech EU. Retrieved 11 June 2020.
- ^ Walsh, David (11 June 2018). "Uppy File Uploading". Retrieved 11 June 2020.
- ^ 2001 US Dist.LEXIS 2186 (2001년 3월 5일 N.D. Cal.) , aff'd, 284 F. 3d 1091 (2002년 제9회 서기관)
- ^ Richtel, Matt (12 July 2001). "Napster is told to remain shut".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11 June 2020.
- ^ Borland, John (2 March 2002). "Napster reaches settlement with publishers". Retrieved 11 June 2020.
- ^ Jacobson Purewall, Sarah (27 October 2010). "LimeWire shut down permanently". Retrieved 11 June 2020.
- ^ Evers, Joris (30 November 2001). "Judge orders shut-down of popular Napster-like site". Retrieved 11 June 2020.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