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드 1세

Vlad I of Wallachia
블라드 1세 "유서퍼"
블라드 1세 "우주르파토룰" (로마어)
왈라키아 공국
왈라키아 공국
군림하다1394–1396/1397
전임자미르체아 1세
후계자미르체아 1세
죽은1396년 12월 또는 1397년 1월

우주르파토룰(Uzurpatorul, Usurper)로 알려진 블라드 1세(? – 1396/97?)는 후에 루마니아가 된 왈라치아의 통치자였다.그는 왈라치아의 미르체아 1세로부터 왕위를 빼앗았다.그의 통치는 1394년 10월/11월에서 1397년 1월까지 겨우 3년밖에 지속되지 않았으며,[1] 다른 사람들은 정확한 통치 기간은 1395년 5월부터 1396년 12월까지라고 말한다.[citation needed]

초년기

블라드 1세의 출신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그는[2] 귀족이거나 단 1세의 아들이자 단 2세의 동생이었다.[3]다른 학자들은 블라드 1세와 미르체아 장로 사이에 어떠한 친족관계도 성립시킬 수 있을지 회의적이다.[4]

군림하다

왈라치아의 블라드 1세는 1394년 가을, 로바인 전투(몇 개의 세르비아 연대기가 1394년 10월 10일로 예정) 중 오스만 대공세 후 왕위에 오른 것으로 추정된다.[citation needed]그러나 세르비아 역사학자 라도슬라프 라도지치치에 따르면 블라드 1세는 실제로 1395년 5월 17일 왕위에 올랐다.[citation needed]이 이론은 안카 이안쿠와 같은 루마니아 역사학자들에게 받아들여졌다.[citation needed]1395년 말 룩셈부르크의 시기문트는 그의 친오토만 정책을 언급하며 블라드 1세가 왈라치아의 주권자임을 언급했다.[citation needed]1396년 5월 28일(후르무자키, I / 2, 페이지 374–375)일자 문서에서 블라드 보이에보드는 폴란드 왕국에 특권을 부여하여 폴란드 왕과 접촉했음을 확인시켜 준다.

블라드 1세는 왈라치아를 반오토만 연합군에서 제거하여 헝가리 왕국과 그 동맹국들에 의해 그의 공식적인 인정을 받지 못하게 되었다.[citation needed]그러나 몰도반 왕자인 스테판 1세를 통해 이루어진 폴란드와의 조약은 블라드가 그의 나라에서 강력한 통치자로 남아 있었음을 보여준다.이 위치는 발행된 동전으로 확인된다.비록 1395년 5월 로존스 스테판 원정이 군사적인 재난으로 끝나자 헝가리 왕은 "왈라치아는 패망하고 다뉴브는 적의 손에 넘어갔다"(빅토르 모토그나, 미르체아 장로 외교정책)고 말했으나 왕위계승 내내 그를 제거하고 월라치아를 연정으로 되돌리기 위한 투쟁은 계속되었다.Gherla, 1924, 페이지 42).

1395년 7월, 시기스문트가 이끄는 헝가리 원정대가, 아마도 장로 미르체아의 부축을 받았을 테고, 터누 요새를 점령하고 왕에게 충성하는 수비대를 남겼다.이듬해 내내 블라드 1세를 제거하기 위한 투쟁은 계속되었다.이는 니코폴에서 패배를 초래한 캠페인에 시기스문트와 장로 미르체아 등 신하들의 참여에 의해서만 중단되었다.이 원정 동안 왈라키아 영토는 그곳에 주둔하고 있는 왈라키아군오스만군을 피하기 위해 우회되었다.패전 후 다뉴브강을 건너 길을 찾으려는 자들은 횡포를 부리거나 처형당했다.왈라키아 음성에서 나오는 이러한 반응은 정복된 도시들에서 불가리아 정교회 기독교인들의 십자군들에 의한 대량 학살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1396년 10월, 스티보르가 이끄는 또 다른 군사 원정대인 트랜실베니아식 음극은 포로생활을 하다 죽은 블라드를 패배시키고 사로잡는 결과를 가져왔다.이로써 1397년 1월 장로 미르체아가 왕위를 되찾을 수 있었다.

논란

블라드 1세의 친자 관계를 확립함에 있어서 PP 파나이트스쿠[5] 헝가리 출신의 고작가인 요하네스투로크즈(1435년–1488년 또는 1489년)의 설명에서 출발하는데, 이 설명은 투르크족의 지원을 받는 단과 시기문트 왕의 지원을 받는 미르체아의 투쟁을 말한다.이 연대기는 두 사람이 같은 혈통이었다고 언급하고 있다.1386년 단 1세와 미르체아 사이에서 묘사된 투쟁은 보그단 페트리슈 하스데우의 이론을 참작하여 파나이트스쿠는 C의 가정을 거부한다.1420년 마이클 1세와 단 2세의 전투가 벌어졌다는 리츠카(Litzica)는, 이 계정을 블라드와 댄을 혼동하고, 미르체아와 미하일을 혼동하지 않는 투로크스의 실수라고 묘사하고 있다.그는 투로츠가 혼란한 원인은 블라드 1세가 단 1세의 아들이라는 사실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Gh. 브라티아누는 파나이트슈의 이론을 공유한다.[6]알 브이 디아슈는 투로크스의 연대기에서 나온 에피소드를 "신비한 설화", "민속적에서 '적형제'라는 주제를 연상시키는 상상적 갈등", "역사적 테마가 없는 환상"[7][8]으로 묘사하고 있다.

메모들

  1. ^ Mellish, Elizabeth; Green, Nick. "Walachian voivodes 1247–1859". Eliznik web pages. Retrieved 11 May 2013.
  2. ^ 로가, 페이지 65, 기레스쿠, 페이지 463, I. 보그단, 페이지 266, 말리우스, 페이지 112
  3. ^ PP 파나이트스쿠, 장로 미르체아, 2판, 부쿠레슈티, 2000, 페이지 310–311 및 각주 번호.62
  4. ^ 디ţ, 페이지 39, 80
  5. ^ PP Panaitescu, op. cit
  6. ^ 게오르게 1세Brhtianu, Marea Neagră de la origini pnă la cucerirea otomanoman, ediiaia a II-a revives, Ed. Polirom, Iaii, 1999, 페이지 389
  7. ^ 6-7페이지.
  8. ^ 디 6, 페이지 6-8, 18

참조

  • (루마니아어로) 알렉산드루 5세.디ț, "Fuga" și "restaurarea" lui Mircea cel Mare, Roza Vanturilor, Bucuretiti, 1995년
  • (루마니아어로) 니콜라에 이오르가, 스터디 아수프라 칠리에이 ș이 세티 알베, 부쿠레슈티, 1899년
  • (루마니아어로) 콘스탄틴 C.기레스쿠, 이스토리아 로마닐로르, 1935년
  • (헝가리어로) Elemér Malyusz, Zsigmond Kirahly uralma magyarorszagon (1387–1437), 부다페스트 곤돌라트, 1984년
  • (루마니아어로) 이오안 보그단, 스크리에리 알레세, 쿠오 프리파우치 드 에밀 페트로비치.Ediție îngrijită, studiu introductiv și note de G.미힐레, 부쿠레슈티, 에디투라 아카데미에, 1968년
블라드 1세
알 수 없는
섭정 직함
선행자 왈라키아 공국
c. 1394/1395-1397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