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슬라프 코슈투니카

Vojislav Koštunica
보이슬라프 코슈투니카
Војислав Коштуница
Vojislav Koštunica speaking at the EPP Congress in Rome in 2006
2006년 코슈투니카
세르비아의 제8대 총리
재직중
2004년 3월 4일 ~ 2008년 7월 7일
대통령드라간 마르시차닌 (연기)
보이슬라프 미하일로비치 (연기)
프리드라그 마르코비치 (연기)
보리스 타디치
부관Miroljub Labus
이바나 둘리치-마르코비치
보 ž다르 델리치
앞에Zoran Živković
성공자미르코 크벳코비치
유고슬라비아 연방 제4대 대통령
재직중
2000년 10월 7일 ~ 2003년 3월 7일
수상모미르 불라토비치
조란 ž디 ž리치
드라기샤 페시치
앞에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성공자스베토자르 마로비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대통령)
인적사항
태어난 (1944-03-24) 1944년 3월 24일 (79세)
독일이 점령한 세르비아베오그라드
정당디에스 (1990–1992)
DSS (1992–2014)
배우자.
조리카 라도비치
(m.1976년, 2015년 사망)
모교베오그라드 대학교
서명

보이슬라프 코슈투니카(, 1944년 3월 24일 ~ )는 세르비아의 전직 정치인으로, 2000년부터 2003년까지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마지막 대통령을 지냈고, 2004년부터 2008년까지 в의 총리를 역임했습니다.

2000년 유고슬라비아 대통령 선거에서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를 타도하고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국제 제재를 철회한 세르비아 민주 야당(DOS)의 후보로 당선되었습니다. 그는 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ICTY)와의 협력을 극구 반대했고, 그의 당은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를 ICTY로 송환하기로 한 결정에 반발해 연립정부를 떠났습니다. 2003년 세르비아 총선 이후, 도스의 해체와 총리 조란 진지치암살 이후, 코슈투니차는 밀로셰비치의 세르비아 사회당의 지지를 받아 소수 정부를 구성하고 정부 수반이 되었습니다. 그는 독립 세르비아의 번째 헌법을 채택하고 세르비아를 중립국으로 선언하는 데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이었습니다. 그의 두 번째 정부(2007-2008) 동안, 그는 유럽 연합과의 안정화 협회 협정(SAA)에 서명하는 것을 반대했고, 1년 만에 정부가 무너지고 친유럽 정당들이 승리한 조기 선거로 이어졌습니다.

그는 1992년 창당 이후 2014년 3월 19일까지 세르비아 민주당의 창당자이자 초대 대통령을 지냈는데, 그의 당이 사상 처음으로 3월 16일 선거에서 의회에 입성하기 위해 5% 문턱에 도달하지 못하자 당 총재직을 사임하고 현역 정치에서 은퇴했습니다.[2] 그는 2014년 10월 새 당 지도부와 정치적 중립 정책을 포기한 것으로 본 것을 두고 이견을 보인 끝에 탈당했습니다.[3] 2014년 11월, 그는 우파 유로 회의론자 "세르비아 국가 운동"의 창립자 중 한 명이었습니다.[4][5]

초기의 삶과 교육

1944년 3월 24일 유고슬라비아 베오그라드에서 태어났다.[6] 어렸을 때 그는 '보자'라는 별명으로 다녔습니다.[1] 그는 베오그라드에서 교육을 받았고 그곳에서 초등학교를 마쳤고 1962년에 제2 베오그라드 고등학교를 졸업했습니다. 같은 해 베오그라드 대학교 법학부에 입학하여 1966년에 졸업하였다.[1] 그는 "자본주의의 정치체제에서 제도화된 반대"라는 논문으로 1970년에 석사 학위를, 1974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1]

코슈투니카는 1970년부터 1974년까지 조교로 재직하다가 요시프 브로즈 티토공산주의 정권을 비판한 이유로 대학에서 정치적 숙청을 당하여 퇴학했습니다.[1] 퇴학 후, 코슈투니카는 사회과학연구소에서 일했고, 1981년부터 철학과 사회이론연구소에서 인권보호, 특히 사상표현자유를 옹호하는 일에 종사했습니다.[1]

정치경력

코슈투니카는 1989년 민주당의 창당 멤버였습니다.[1] 그는 1992년 지도력에 대한 반대 의견을 이유로 민주당을 탈당하고 세르비아 민주당을 창당했습니다.[1]

유고슬라비아의 대통령 (2000년 ~ 2003년)

조지 W 부시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보이슬라프 코슈투니카 당시 유고슬라비아 대통령과 인사를 나누고 있습니다.

세르비아 민주당은 민족주의자와 자유주의자 모두의 지지를 받아 2000년 대통령 선거에서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에 대항하여 그를 지지했습니다.[7] 코슈투니카는 1차 투표에서 50.2%의 득표율을 기록했는데,[7] 이는 노골적으로 승리하는 데 필요한 문턱을 겨우 몇천 표 차이였습니다. 밀로셰비치는 코슈투니차가 49%의 득표율을 얻었을 뿐이며 결선투표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1차 투표 결과에 이의를 제기했습니다. 밀로셰비치를 축출하고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를 설치하려는 학생 주도의 운동인 오트포르 운동은 세르비아인 수천 명이 파업에 참여해 베오그라드 수도를 점령하고 밀로셰비치가 그 결과를 받아들여 대통령직에서 물러나도록 강요하는 시위를 조직했습니다.[7] 그 후 코슈투니카가 대통령직을 맡았습니다.[8] 그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마지막 대통령이었습니다.[9] 코슈투니카는 전임자인 헤이그 재판소에 대한 인도를 반대하고 법원에 반대의 목소리를 냈습니다.[10]

세르비아의 총리 (2004-08)

2006년 7월 12일 워싱턴 D.C.에서 라이스 장관과 함께.

2004년 3월, 세르비아 사회당의 지지를 받았지만, 새 소수 정부의 수장으로 총리가 되었습니다.[9]

2007년 1월 세르비아 총선은 결론이 나지 않았습니다. 2007년 5월 15일, 코슈투니카는 보리스 타디치와 함께 취약한 연립정부를 구성하기로 합의했고, 타디치는 총리직을 계속 수행했고, 타디치의 당은 25개의 내각 직책 중 13개를 받았습니다.[11]

2008년 3월 8일, 코슈투니카는 유럽 연합과의 관계와 코소보의 일방적인 독립 선언대한 민주당과의 연정이 붕괴되자 5월 11일 새로운 선거를 요구했습니다.[12] 친유럽연합(EU) 성향의 보리스 타디치 후보와 그의 민주당은 총선에서[13] 승리를 거두었고, 7월 7일 미르코 크벳코비치가 코슈투니카의 뒤를 이어 총리로 취임하면서 민주당과 사회당의 연정이 구성되었습니다.[14]

정치적 입장

2009년 코슈투니카

코슈투니카는 강력한 반공주의적 견해를 가진 보수적인 정치인이지만 미국과 유럽연합서방에 대해서도 비판적입니다.[15] 코슈투니카는 독일 주간지 슈피겔과의 인터뷰에서 "드골상당히 가깝다"고 말했습니다.[16]

코소보에서

2008년 2월 21일 코소보의 독립 선언 후, 코슈투니카는 베오그라드에서 다음과 같은 감정적인 연설을 했습니다.

세르비아 시민 여러분! 코소보란 무엇입니까? 코소보는 어디에 있습니까? 코소보는 누구입니까? 우리 중에 코소보 출신이 아닌 사람이 있습니까? 우리 중에 코소보가 우리의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습니까? 코소보 – 세르비아의 이름입니다. 코소보는 세르비아에 속해있습니다. 코소보는 세르비아 사람들의 것입니다. 그것이 영원히 그래왔습니다. 영원히 그렇게 될 겁니다. 세르비아인이라면 누구나 다른 말을 할 만큼 크고 흉악한 처벌은 없지만 코소보는 세르비아입니다! 페치 총대주교청은 우리의 것이 아니며, 비소키 데차니와 그라차니카는 우리의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아무도 듣지 못할 것입니다! 우리가 태어난 곳은 우리의 것이 아닙니다. 우리와 우리의 국가와 교회와 오늘의 우리를 만드는 모든 것입니다. 만약 우리가 세르비아인으로서 세르비아인으로서의 지위, 우리의 기원, 코소보, 우리의 조상, 그리고 우리의 역사를 포기한다면, 우리는 누구인가요? 그럼 우리 이름이 뭐죠?[17]

버스는 수천 명의 지지자들을 집회에 데려갔고, 일부 시위자들은 대사관을 공격하고 상점을 약탈했습니다.[18]

2008년 2월 25일, 코슈투니카는 "가짜 국가가 무효화될 때까지 안정은 없을 것"이라고 경고하면서 미국에 코소보에 대한 인정을 철회할 것을 요구했습니다.[19]

유럽연합에 대하여

2000년 10월 27일 크렘린에서 블라디미르 푸틴과 함께.

2008년 4월 4일, 코슈투니카는 유럽 연합의 가입은 더 이상 세르비아의 의제가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EU 통합이 지속되기 전에 세르비아와 EU가 세르비아의 영토 보전 문제를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20]

그는 세르비아가 "솔라나의 협정"이라고 언급한 안정화 협회 협정에 서명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습니다.[21]

2008년 4월 21일 코슈투니카는 SAA가 올리 렌하비에르 솔라나의 이익에 부합하는 것이지 세르비아의 국익에 부합하는 것이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 "나토 조약이 세르비아가 그 서명으로 코소보의 독립을 인정했다고 주장할 수 없다"며 "나토 조약이 주장할 수 있는 것은 개별 당사국들이 솔라나의 협정에 서명한 것뿐"이라고 말했습니다.[22]

2008년 4월 27일, 그는 세르비아를 대표하여 SAA에 서명한 사람은 세르비아를 분열시키는 공범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 "모든 세르비아인들이 상황이 은폐되고 있으며 솔라나 합의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보고 있다고 확신한다"며 "세르비아의 누가 감히 이런 사실들을 무시하고 솔라나 합의의 진짜 목표를 숨기려 하느냐"고 질문했습니다.[23]

2008년 4월 28일, 그는 "이 서명은 세르비아에게 유효하지 않을 것이며 SAA에 서명하는 사람은 그러한 행위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24]

2008년 5월 1일 코슈투니카는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당시 코소보의 일방적인 독립 선언과 18개 EU 회원국의 인정 이전에 SAA가 체결되었어야 한다고 말한 것이 옳다고 말했습니다.[25] 하루 뒤인 2008년 5월 2일, 그는 선거 후 합의를 무효화할 것을 다짐하면서, 이를 "꼼수", "솔라나의 합의", "타디치-델리치 SAA 서명"이라고 표현했습니다.[26] 그는 SAA에 서명한 행위를 세르비아의 해체를 초래하는 반헌법적이고 반국가적인 것으로 지칭한다고 말했습니다.[27] 코슈투니카의 세르비아 민주당 대변인은 타디치가 솔라나 협정에 서명함으로써 자신의 당 연합 유다의 도장을 찍고 있다고 말했습니다.[28] 5월 4일 그는 이 문서를 "위조와 속임수"라고 불렀습니다.[29]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a b c d e f g h "Vojislav Koštunica – kandidat DSS-a". B92. Retrieved 15 August 2012.
  2. ^ "Kostunica's resignation: Political retirement of last Serbian Euro-skeptic". balkaneu.com. 20 March 2014. Retrieved 3 May 2014.
  3. ^ "Vojislav Koštunica napustio DSS". Vreme. 14 October 2014. Retrieved 1 September 2015.
  4. ^ "Srbiji je potreban državotvorni pokret". dps.rs. 14 November 2014. Retrieved 1 September 2015.
  5. ^ "Slobodan Samardžić predsednik Državotvornog pokreta Srbije". Blic. 13 June 2015. Retrieved 1 September 2015.
  6. ^ "Vojislav Koštunica last president of Yugoslavia and prime minister of Serbia Britannica". www.britannica.com. Retrieved 26 December 2021.
  7. ^ a b c Johnston, Hank, ed. (2019). Social Movements, Nonviolent Resistance, and the State. Routledge. pp. 103–105. ISBN 978-0-42988-566-2.
  8. ^ "Kostunica Takes Oath in Yugoslavia". CBS News. 21 September 2000.
  9. ^ a b "FACTBOX: Serbian PM Kostunica, a political acrobat". Reuters. 15 May 2007.
  10. ^ Erlanger, Steven (2 April 2001). "Yugoslav Firm on His Stand to Bar Milosevic From Hague". The New York Times.
  11. ^ "Serbia confirms new government". Al Jazeera. 15 May 2007.
  12. ^ "Serbia's ruling coalition collapses". BBC. 8 March 2008.
  13. ^ "Shock election win sets Serbia on path to EU". CNN. 12 May 2008.
  14. ^ Bilefsky, Dan (7 July 2008). "Serbia approves pro-Western government". The New York Times.
  15. ^ Vučković, Vladimir (2022). Universitätsbibliothek Graz Graz. "Colliding Western Balkan Neighbors: Serbia and Montenegro in Post- Yugoslav Context –Identity and Interest Representation: Research Article". Contemporary Southeastern Europe. 9: 2 p. 5480. doi:10.25364/02.9:2022.2.5.
  16. ^ "English Summaries". Der Spiegel. 13 November 2000. Retrieved 21 December 2010.
  17. ^ "The Promise is Given, Kosovo is Serbia as Long as We Live". Tanjug, via Serbian Orthodox Church. 21 February 2008.
  18. ^ Judah (2009). The Serbs. Yale University Press. p. 359. ISBN 978-0-300-15826-7.
  19. ^ Kirka, Danica (26 February 2008). "Putin's Likely Successor, Pledging Support for Serbia, Signs Pipeline Deal". The Washington Post. Associated Press. p. A11.
  20. ^ "Koštunica: EU membership not on agenda". B92. 4 April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June 2011. Retrieved 21 December 2010.
  21. ^ "Koštunica: Nikako ne potpisati SSP". mtsmondo.com. 9 April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April 2008.
  22. ^ "SAA not in Serbia's state interests". B92. 21 April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June 2011. Retrieved 21 December 2010.
  23. ^ "Koštunica on SAA: Who dares to become accomplice". B92. 26 April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June 2011. Retrieved 21 December 2010.
  24. ^ "Koštunica slams EU deal signing as anti-state". B92. 28 April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June 2011. Retrieved 21 December 2010.
  25. ^ "Koštunica agrees with Lavrov: SAA long overdue". B92. 1 May 2008. Retrieved 21 December 2010.
  26. ^ "EU deal signature will be annulled". B92. 2 May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May 2008. Retrieved 21 December 2010.
  27. ^ "Koštunica: SAA breaking Serbia up". B92. 3 May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June 2011. Retrieved 21 December 2010.
  28. ^ "DSS: EU deal signature, seal of Judas". B92. 29 April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June 2011. Retrieved 21 December 2010.
  29. ^ "Koštunica says signed EU deal is forgery". B92. 4 May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June 2011. Retrieved 21 December 2010.

외부 링크

관공서
앞에 유고슬라비아의 대통령
2000–2003
성공자
앞에 세르비아의 총리
2004–2008
성공자
당 정치국
앞에
게시물설정
세르비아 민주당 당수
1992–2014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