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모전
Attrition warfare시리즈의 일부 |
전쟁 |
---|
소모전은 지속적인 인적·[1]물적 손실을 통해 적을 쓰러뜨려 전쟁에서 승리하려는 호전적인 전략이다.소모라는 단어는 "마찰하다"라는 뜻의 라틴어 어근에서 유래했는데, 소모전에서 [2][3]상대군의 "갈아서 쓰러뜨리는" 것과 유사하다.
전략적 고려사항
소모전은 결정적 [1]전투와는 별개로 게릴라전, 인민전쟁, 초토화, 각종 전투 등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군사자원을 파괴함으로써 상대의 전쟁능력을 깎아내리려는 시도다.소모전에는 모든 종류의 전격전이나 전력집중, 그리고 승리를 위한 결정적인 전투가 포함되지 않는다.그들의 군대를 더 빠른 속도로 증원하는 쪽이 보통 전쟁에서 승리할 것이다.Clausewitz는 그것을 [4]적의 피로라고 불렀다.
현저하게 불리한 입장에 있다고 생각하는 쪽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대의 이점을 무력화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소모전을 모색할 수 있다.손자(孫子)는 [5]장기전으로 이득을 본 나라는 없다고 말했지만 1812년 러시아는 나폴레옹과의 소모전으로 전쟁에서 승리했다.다른 방법을 실행 가능하게 할 정도로 어트리뷰션 방법이 적을 충분히 지치게 되면 어트리뷰션 방법은 종종 다른 전략에 의해 보완되거나 포기됩니다.그러나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양측의 군 지휘관들은 소모전에 의존해 전략적인 결과 없이 끔찍한 사상자를 냈다.
소모전과 다른 형태의 전쟁의 차이는 어느 정도 인위적이다. 왜냐하면 단 한 번의 전투도 일반적으로 소모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자신의 점진적 손실을 허용 가능한 지속 가능한 수준으로 제한하면서 상대방에게 점차적인 감소를 초래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는다면 소모 전략을 추구한다고 할 수 있다.그것은 자원이나 영토의 정복이나 단번에 적에게 큰 손실을 입히려는 시도와 같은 다른 주요 목표와는 반대되는 것으로 보여져야 한다.소모전은 또한 [6]상대방을 위한 전쟁에서 마찰을 증가시키려 한다.
역사상의 예
소모전에 기초한 전쟁을 시각적으로 가장 잘 표현한 것 중 하나는 찰스 조셉 미나드에 의해 만들어졌다.이는 전쟁 기간 동안 프랑스 대육군의 병력이 꾸준히 감소했음을 보여준다.

프랑스의 러시아 침공(1812년)은 소모전 요소가 나폴레옹의 군사 물류를 방해하고 결정적인 전투 없이 전쟁에서 승리한 교과서적 사례다.
가장 잘 알려진 것
소모전의 가장 잘 알려진 예는 [7]제1차 세계대전 중 서부전선일 것이다. 두 군대는 스위스에서 영국 해협으로 이어지는 참호에서 정적인 방어 위치에 있는 것을 발견했다.몇 년 동안, 기동할 기회도 없이, 지휘관들은 적을 물리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유일한 방법은 상대방을 정면으로 공격하고 [citation needed]분쇄하는 것이었다.
서부 전선에서의 소모전의 가장 지속적인 예 중 하나는 1916년 대부분에 걸쳐 일어난 베르뎅 전투이다.에리히 폰 팔켄하인은 나중에 베르뎅에서의 그의 전술은 도시를 점령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방어하기 위해 프랑스 군대를 파괴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팔켄하인은 "프랑스를 [8]백인으로 만들고 싶다"고 묘사되었고, 그래서 전투에서 소모 전술이 사용되었습니다.
제1차 세계대전의 애트리뷰트 전쟁은 Hew Strachan과 같은 역사학자들에 의해 실패한 공세에 대한 임시방편의 변명으로 사용되었다고 보여져 왔다.당대 자료들은 이에 대한 스트라찬의 견해에 동의하지 않는다.크리스마스 비망록은 전후 발명품이지만, 애트리뷰트 워의 전략은 전투를 [9]위한 최초의 전략이었다.
가장 흔치 않다.
남북전쟁 후반기 북군 율리시스 그랜트 장군이 지속적으로 북버지니아군을 공개교전하도록 강요하려다 신속한 재배치 및 재배치에 의해 저지된 애트리뷰트 전쟁이 우연히 일어난 사례이다.로버트 E. 리이로 인해 포토맥군은 여러 차례에 걸쳐 진지에 대한 직접적인 공격으로 상대방을 몰아내려고 시도해야만 했다.
그랜트가 바라던 돌파구를 마련하지 못했고, 결과적으로 북군의 사상자는 더 많았지만, 북군은 병력을 더 쉽게 보충할 수 있었고, 남부군은 전체 병력에 비해 사상자 비율이 더 높아지기 시작했다.그랜트가 마침내 애포마톡스 코트 하우스 전투에서 리에게 공개 교전을 강요했을 때, 북버지니아군은 북군의 일부에 대한 효과적인 반격을 할 수 없었고, 결국 항복했다.[10]
전쟁 목록
- 기원전 513년 다리우스 1세의 유럽 스키타이 원정의 스키타이 전술은 다리우스 1세의 군대와의 직접적인 대립을 피하고 우물과 목초지를 황폐화시켰다.
- 펠로폰네소스 전쟁 당시 육전에 약했던 아테네인들은 해군을 [11]이용한 소모전을 펼쳤다.
- 제2차 포에니 전쟁 중 한니발에 대한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베루코수스의 지연 전술.
- 1109-1118년 알라무트의 니자리스에 대한 무함마드 타파르의 작전
- 1285년과 1286년 몽골의 헝가리 제2차 침공
- 헤르난 코르테스가 1521년 테노치티틀란 함락
- 1708년 스웨덴의 러시아 침공
- 미국 독립 전쟁 중의 미국의 전략
- 남북전쟁의 후반부, 특히 빅스버그 공성전, 육로작전, 피터스버그 공성전
- 1812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 의한 프랑스 러시아 침공에서의 나폴레옹과의 소모전
- 스페인 내전(1936년-1939년)
- 제2차 세계 대전 중 대서양과 태평양에서의 톤수 전쟁
- 런던 폭격 후 제2차 세계대전의 영국 공중전
- 스탈린그라드 전투 중 소련의 도시 방어를 포함한 제2차 세계 대전의 정적 전투
- 타부동 전투와 한국전쟁의 마지막 2년
- 베트남 전쟁 (사망자 수)
- 영국군에 대한 임시 IRA의 군사 작전 기간 동안의 "긴 전쟁"입니다.
- 1967년부터 1970년까지의 이스라엘-이집트간의 소모전.
- 소련-아프간 전쟁
- 이란-이라크 전쟁의 후반기
-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
- 2005년 이후 스리랑카 내전
- 2011년 리비아 내전[12]
- 쿠르드-터키 분쟁 (1978년-현재)
- 시리아 내전[13](2011–현재), 특히 알레포 전투.
- 모로코군에 대한 서사하라의 폴리사리오 전선(2020–현재).
- 2022년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 러시아군은 [14]침공 초기 몇 주 동안 빠른 진전을 이루지 못하자 소모 전략을 채택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군사 이론:
메모들
- ^ a b 미국 국방성 2021
- ^ 메리엄 웹스터 사전 2021.
- ^ 머레이 2021.
- ^ 1873년 8.8장 조항
- ^ 손자 2004, 페이지 34
- ^ 1873년 조항, 1.7장
- ^ Kaye 1957년
- ^ 1916년 제1차 세계 대전
- ^ 폴리 1916년
- ^ 맥퍼슨 1988년
- ^ Handel 2003.
- ^ 2012년 nctimes.
- ^ 디조반니 2012.
- ^ "Ukraine war in maps: Tracking the Russian invasion". BBC News. 20 March 2022. Retrieved 20 March 2022.
레퍼런스
- Clausewitz, Carl von (1873). On War. Retrieved 3 April 2021.
- DiGiovanni, Janine (2012). "Bleary-Eyed Troops Fight a Building at a Time in Syria". New York Times. Retrieved 4 April 2021.
- firstworldwar (1916). "Erich von Falkenhayn on the Battle of Verdun". Retrieved 3 April 2021.
- Foley, Robert (1916). ""A New Form of Warfare? Erich von Falkenhayn's Plan for Victory, 1916"". Retrieved 16 March 2018.
{{cite journal}}
:Cite 저널 요구 사항journal=
(도움말) - Handel, Michael I. (2003). Strategic Logic and Political Rationality: Essays in Honor of Michael I. Handel. Psychology Press. p. 80. ISBN 9780714654843. Retrieved 4 April 2018.
- Kaye, C.A. (1957). "Military Geology in the United States Sector of the European Theater of Operations during World War II".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68 (1): 47. Bibcode:1957GSAB...68...47K. doi:10.1130/0016-7606(1957)68[47:MGITUS]2.0.CO;2. Retrieved 3 April 2021.
- Merriam Webster Dictionary (2021). "attrition". Retrieved 3 April 2021.
- Murray, Nicholas (2021). "Attrition Warfare". Retrieved 3 April 2021.
- nctimes (2012). "Airstrikes turn Libya conflict into battle of attrition". Retrieved 3 April 2021.
- Sun Tzu (2004). The Art of War. Retrieved 3 April 2021.
- US DoD (2021). "attrition". Retrieved 3 April 2021.
- McPherson, James (1988). Battle Cry of Freedom. Oxford University Press. p. 734. ISBN 1442097515. Retrieved 20 June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