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루나, 서부 오스트레일리아
Waroona, Western Australia와루나 서부 오스트레일리아 | |
---|---|
![]() 와루나 기념관 | |
![]() | |
좌표 | 32°52′00″S 115°55′00″E/32.86667°S 115.91667°E좌표: 32°52′00″S 115°55′00″E / 32.86667°S 115.91667°E |
인구 | 2,934(2016년 인구조사)[1] |
확립된 | 1895 |
우편번호 | 6215 |
위치 | |
LGA | 와루나 샤이어 |
주 선거인단 | 머레이 웰링턴 |
연방 부서 | 통조림 |
와루나(Waruna)는 핀자라(Pinjarra)와 하비(Harvey)사이의 사우스웨스턴 하이웨이(South Western Highway)를 따라 서호주 필(Fel) 지역에 위치한 마을이다.그 도시는 와루나의 샤이어의 소재지다.2016년 인구조사에서 와루나는 2,934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었다.[1]
역사
이 마을은 원래 드라킬스브룩으로 알려졌으며, 1891년 존 포사커에 의해 처음 정착되었다.1893년 9월 부청장이자 이 지역의 원래 지주였던 윌리엄 헨리 드레이크(1847년)의 이름을 딴 '드레이크의 브룩'이라는 이름으로 핀자라~픽톤 분기점 철도의 철도역이 문을 열었고, 1895년 3월까지 이 마을을 조사하여 고시하였다.이 날 평가관은 "그것이 더 친절하고 계획에 더 잘 어울릴 것"이라며 드레이크 브룩에서 드레이크브룩으로 이름을 바꾸라고 권고했다.이 변경은 1896년 10월에 공식화되었고, 같은 해에 우체국이 개설되었다.
1895년 조셉 맥도웰은 현재의 밀 스트리트에 있는 조사된 마을 부지의 북쪽 끝에 목재 공장을 건설했고, 그 근처에 철도 측면이 개설되었다.초도분할의 인기가 떨어졌기 때문에, 제분소 근처에서 새로운 제지를 조사했는데, 이 제분소는 와루나로 알려지게 되었다.이 이름은 아마도 맥도웰의 고향으로 추정되는 빅토리아 벤디고 골드필드 근처의 베르루나의 부패였을 것이다.(원래는 자드자와루룽어로 "휴식처"를 의미했다.)
그 도시는 철도의 건설로 활기를 띠게 되었는데, 철도는 잠자는 사람들을 위해 지역 목재를 제분하였다.그것은 우체국, 일반 상점, 학교, 대장장이, 수많은 호텔들이 하숙집, 교회, 의사, 치과의사를 통해 방앗간 노동자들의 요구에 부응했다.농장들은 방앗간 주인들에게 버터, 과일, 야채, 그리고 통나무를 운반하는 말 팀들에게 채프를 공급했다.[2]1899년 3월, 맥도웰의 시딩이 와루나역으로 전환되었고, 남서부 철도의 철도 교통량 수치는 1904년부터 1947년까지 와루나로부터의 총 교통수입이 어느 역보다 높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드라케스브룩과 와루나 모두 1890년대에는 2킬로미터(1.2미) 떨어져 있는 별개의 마을(이들 중 와루나가 가장 큰 발전의 초점이었다)을 언급하면서 초기에는 개발이 혼란스러워졌다.두 정착지는 점차 하나의 마을로 합쳐져 와루나로 알려지게 되었다.이 명칭은 1946년에 공식적으로 변경되었다.[3]
최초의 와루나 댐인 지금은 드라케스브룩 댐이 1931-32년 대공황기에 워루나 관개지구의 지도 아래 건설되었다.댐의 완성은 배수 및 관개 공사와 함께 와루나에서 상당한 발전기의 시작이었다.언덕 위에 있는 현재의 와루나 댐은 1966년에 공식적으로 개방되었다.
1896년 철도종사자들을 수용하기 위해 건설된 (약 1970년까지) 철로 별장은 오늘날까지 존속하여 유산으로 등재된 것으로 서호주에서는 유일하게 남아있는 목재와 철로 된 판판장들이 거주하고 있으며, 2003년에 현존하는 19세기 목재와 철로 된 철로 주택들 중 극히 일부에 속한다..[4]
지역 낙농 산업에는 20세기 중반까지 기능하던 네슬레 우유 공장이 포함되어 있었다.이후 중장비의 전용 복합시설이 됐다.
2016년 산불
난가 브룩 근처에서 번개가 친 후 산불이 발생해 남서부 고속도로 삼손 브룩 다리 붕괴 등 이 지역의 산림과 재산, 기반시설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불은 2016년 1월 6일 새벽부터 시작됐으며 1월 7일 오후 4시께 2만1000헥타르(5만2000에이커)가 넘는 불에 타면서 통제 불능 상태가 지속됐고 주민들은 핀자라나 오스트랄라인의 시설로 대피했다.야루프와 하베이의 마을들 또한 화재로 인해 대피를 촉구한 주민들과 함께 위협을 받았다. 야루프의 대부분은 화재로 파괴되었다.프레스턴 해변 마을은 주민들이 해변에 은신해 있거나 보트로 대피하는 등 고립됐다.[6][7]
현재
와루나는 퍼스에서 남쪽으로 113km(70mi) 떨어진 사우스웨스턴 고속도로에 달링 레인지 기슭에 위치하고 있으며 인구는 약 1,800명이다.농업(dairing 포함)과 관광이 주요 경제활동이며, 드라킬스브룩 위어(Drakesbrook Weir)의 관개시스템이 마을과 인근 농업지역에 물을 공급한다.매년 10월 그 마을은 와루나 농업 박람회를 개최한다.
와루나에는 레크리에이션 센터와 두 개의 공공 스포츠 오븐이 있다.1990년대까지만 해도 이 마을로부터 아바토리가 운영되었으나, 인근 하비에 있는 한 곳은 현재 이 목적을 달성하고 있으며, 일부 와루나 거주민들은 이 곳에서 일하고 있다.쇼핑 욕구는 지역 기업과 슈퍼마켓에 의해 충족된다.인근 와루나 댐과 드라케스브룩 위어는 현재 인기 있는 관광지와 피크닉 장소, 캠핑장으로 카누, 수상스키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와루나에는 여러 유산 산책로와 미술 공예품 가게도 있다.샤이어 대통령은 노엘 듀다.
교육
지역학교는 세인트조셉 초등학교(캐슬릭)와 유치원, 중학교를 포함한 초등학교(초등)인 와루나 지구 고등학교 두 곳이다.고등학교는 보통 핀자라, 하비, 만두라 마을의 지역 학생들에 의해 완성된다.
2005년 7월 26일, 원룸으로 1898년에 처음 개교하여 센테니얼 파크에 위치한 드라킬스브룩 스쿨 하우스가 전소되었다.1980년대 이후 폐쇄됐지만 유적지로 유지됐다.경찰 조사 후 남은 구조물은 철거되었으나, 1년 뒤 의회는 와루나 역사학회와 협의하여 그 자리에 건립할 학교 기념관을 승인했다.[8]
예술과 문화
와루나 방문객 센터는 지역 미술 공예 갤러리의 위치다.알코아와 프레만틀 아트센터 '아트 인 더 커뮤니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1998년부터 마을 부지 주변에 공공 미술품이 설치되었다.조각과 페인팅이 완료된 북방관광안내만 인근 유산의 숲과 60여 명의 현지 여성들이 짜놓은 24t(5만3000lb)짜리 콘크리트 소파, 와루나 생활을 묘사한 조각들이 그것이다.걷거나 운전할 수 있는 와루나 유산 산책로는 역사적인 건물과 유적지를 지나며, 예술적인 볼라드가 눈에 띈다.이 산책로의 안내서는 지역 예술가들이 그린 유적들을 스케치하여 보여준다.[9]
운송
도로
시내를 통과하는 주요 도로로는 사우스웨스턴 고속도로(20번 국도; 핀자라와 하비를 경유한 퍼스~번버리행)가 있다.
레일
와루나는 남서부 철도에 위치해 있으며 퍼스에서 번베리까지 가는 호주 여객 열차의 정차장소다.
선행역 | ![]() | 다음 역 | ||
---|---|---|---|---|
핀자라 퍼스를 향해 | 오스트레일리아인 | 야루프 번버리 쪽으로 |
참조
- ^ a b "2016 Census QuickStats: Waroona". quickstats.censusdata.abs.gov.au. Retrieved 2 June 2019.
- ^ Shire of Waroona. "Waroona – In The Beginnin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January 2005. Retrieved 6 October 2006.
- ^ "History of country town names – W". Western Australian Land Information Authority. Retrieved 17 April 2007.
- ^ "Register of Heritage Places – Railway Cottages, Waroona" (PDF). 30 July 20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3 January 2013. Retrieved 6 October 2006. – 와루나 마을의 광범위하고 매우 상세한 역사를 포함한다.
- ^ "WA bushfires: Out-of-control bushfire spreads to threaten homes in Harvey, Waroona and Preston Beach, south of Perth". No. 3:26pm. Nine News. 7 Januar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Harvey under threat as Waroona bushfire keeps on burning". The West Australian. Retrieved 7 January 2016.
- ^ "Waroona fire: Wind change pushes flames south towards Harvey; residents urged to leave". ABC News.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7 Januar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ABC; 와루나 평의회 회의록 (2005년 7월; 2006년 7월) 헤리티지 평의회 "펠 지역" (2005년 12월, 페이지 2)
- ^ Waroona Experience, Peel Region Western Australia. Waroona Visitor Centre. August 2006. pp. 6–7.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서부 오스트레일리아의 와루나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 위키보야게는 와루나 여행 가이드가 있다. |
- 와루나의 샤이어 웹사이트
- 사우스웨스트 포털
- 오스트레일리아 서부 주립 도서관 – 최근 및 역사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