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헬름 블래쉬케

Wilhelm Blaschke
빌헬름 블래쉬케
Wilhelm Blaschke.jpg
태어난(1885-09-13)13 1885년 9월
죽은1962년 3월 17일 (1962-03-17) (76세)
국적오스트리아의
모교빈 대학교
로 알려져 있다.블래쉬케 제품
블래쉬케 선택 정리
블래슈케-산탈로 부등식
과학 경력
필드수학
기관함부르크 대학교
박사학위 자문위원빌헬름 우터링거
박사과정 학생시잉선체르
루이스 산탈로
에마누엘 슈페너

빌헬름 요한 외젠 블라스치케(Wilhelm Johann Eugen Blaschke, 1885년 9월 13일 ~ 1962년 3월 17일)는 미분 기하학 분야에서 일하는 오스트리아수학자였다.

교육과 경력

블래쉬케는 수학자 요제프 블래쉬케의 아들로 그라츠의 랜드스 오버레알슐레에서 기하학을 가르쳤다. 그라츠의 테크니셰 헉슐레에서 2년간 공부한 뒤 빈 대학에 진학, 1908년 빌헬름 우터링거의 감독으로 박사학위를 마쳤다.[1] 그의 논문은 Uber eine besondre Art von Kurven vierter Klasse이다.[2]

박사학위를 마친 후 그는 몇 년 동안 이탈리아와 독일의 주요 대학의 수학자들을 방문했다. 그는 프라하, 라이프치히, 괴팅겐,[1] 튀빙겐에서 각각 2년씩 근무하다가 1919년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교수직을 맡으며 여생을 보냈다. 함부르크의 그의 제자들은 시잉-센 체른, 루이스 산탈로, 그리고 에마누엘 슈페르너였다.[2]

1933년 블래쉬케는 아돌프 히틀러와 국가사회주의 국가대한 독일 대학과 고등 학교 교수의 충성의 서약서에 서명했다.[3][4] 그러나 그는 나치에 맞서 커트 레이데미스터를 옹호했고 1930년대 초 독일 수학 학회의 지도력을 위해 루드비히 비버바흐를 반대하는 캠페인을 벌이며 "독일 수학과 인종에 대해 나치 정책을 강요하라"는 비버바흐의 희망에 반대하여 사회는 국제적이고 비정치적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1936년까지 그는 나치의 정책을 지지하고 있었고, 자신을 "마음에 있는 나치"라고 불렀으며, 동료들에 의해 파시스트적인 신념 때문에 "무솔리네토"라고 묘사되었다.[1] 1937년 나치당에 공식 입당하였다.[3]

전쟁 후 블래쉬케는 나치 소속으로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직위 해제되었으나, 호소 끝에 1946년 교수직은 회복되었다.[1] 그는 1953년 은퇴할 때까지 대학에 남아 있었다.[1]

출판물

1916년에 Blaschke는 볼록세트에 바친 최초의 책들 중 하나를 출판했다. 원과 구(Kreis und Kugel) 수십 개의 출처를 바탕으로 블래쉬케는 본문 내에 인용된 논문으로 주제를 철저히 검토하여 수학의 고전적인 영역에 학점을 귀속시켰다.

  • 크레이스 언트 쿠겔, 라이프치히, 베이트 1916; 제3대 에드앤. 베를린, 드 그루이터 1956년
  • Vorlesungen über Differentialgeometrie, 3권, Springer, Grundlehren deraturacischen Wissenschaften 1921-1929 (vol. 1, Elementare Differential Geometrie;[5] Affine Differentialgeometrie; Vol. 3, Der Kreise und Kugeln, 1929)
  • 지오메트리 데어 게베와 함께. 베를린: 1938년[6] 스프링거
  • 에베네 키네마틱. 라이프치히: B.G. 테우브너 1938,[7] 제2차 증축은 한스 로버트 뮐러, 올덴부르, 뮌헨 1956.
  • Nicht-Euklidische Geometrie und Mechanicalik I, II, III. 라이프치히: B.G.티브너(1942)
  • 주르베궁스게오메트리 아우프 데르 쿠겔 In: Sitzungsbericte der Hielberger Akademie der Wissenschaften (1948)
  • 다이 디카인게오메트리에서의 에인후룽. 1950년 스프링거,[8] 1960년 H. 라이차르트와 함께 2차 증축
  • 커트 리히트웨이와 함께: 원소는 미분법이다. 베를린: 스프링거 (1973년 5월 11일)
  • 레덴과 라이젠은 지오메테우스에게 귀의한다. 베를린 : VEB Deutscher Verlag der Wissenschaften (1961; 제2차 확장 edn)
  • 수타틱 운트 레벤, 비즈바덴, 슈타이너 1951
  • 그리치슈 운트 앤샤울리체 기하학, 올덴부르 1953
  • 프로젝트ive Geometrie, 제3대 Edn, Birkhauser 1954
  • Analytische Geometrie, 제2부, Birkhauser 1954
  • 1955년[9] 비르카유저 기하학적리 데어 바벤 다이 에인후룽
  • VEB, Vorlesungen über Integrgeometrie, 1955년 베를린
  • 레덴과 라이젠은 기하학자들, 1957년
  • 키네마틱과 콰테르니오넨. 베를린: VEB 더우츠허 베를라크 데르 위센샤프텐 (1960년)
  • 게삼멜테 베르케, 탈레스, 에센 1985년

네임스케이크

많은 수학적인 이론과 개념들이 블래쉬케의 이름과 연관되어 있다.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d e O'Connor, John J.; Robertson, Edmund F. "Wilhelm Blaschke". MacTutor History of Mathematics archive. University of St Andrews.
  2. ^ a b 수학 계보 프로젝트 빌헬름 블래쉬케
  3. ^ a b 하인리히 번케(1898-1979): zwischen Mathik und deren Didaktik, Uta Hartmann, 2009 ISBN 9783631588604
  4. ^ 에른스트 클라이: Das Personenlexikon zum Driten Reich. Wer 전쟁은 1945년과는 달랐다. Fischer Taschenbuch Verlag, Zweite Aktualisierte Auflage, Frankfurt Am 2005, S. 52.
  5. ^ Bliss, G. A. (1923). "Blaschke on Differential Geometry". Bull. Amer. Math. Soc. 29 (7): 322–325. doi:10.1090/S0002-9904-1923-03737-3.
  6. ^ Walker, R. J. (1939). "Review: W. Blaschke and G. Bol, Geometrie der Gewebe". Bull. Amer. Math. Soc. 45 (9): 652–653. doi:10.1090/s0002-9904-1939-07052-3.
  7. ^ Synge, J. L. (1939). "Review: W. Blaschke, Eben Kinematik". Bull. Amer. Math. Soc. 45 (11): 814–815. doi:10.1090/s0002-9904-1939-07071-7.
  8. ^ Allendoerfer, Carl B. (1951). "Review, W. Blaschke, Einführung in die Differentialgeometrie". Bull. Amer. Math. Soc. 57 (1, Part 1): 84–85. doi:10.1090/s0002-9904-1951-09454-9.
  9. ^ Hsiung, C. C. (1957). "Review: W. Blaschke, Einführung in die Geometrie der Waben". Bull. Amer. Math. Soc. 63 (3): 203–204. doi:10.1090/s0002-9904-1957-10104-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