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마구치모토미
Yamaguchi Motomi![]() |
야마구치모토미 山口素臣 | |
---|---|
![]() 1899년 야마구치모토미 | |
닉네임 | "군벌 때 전령님" |
태어난 | 조슈 번 나가토 국 하기 | 1846년 6월 8일
죽은 | 1904년 7월 7일 | ) 58)
파묻힌 | |
얼리전스 | ![]() ![]() |
서비스/지점 | ![]() |
순위 | 일반 |
구성 단위 | 5사단 |
전투/와이어 | 보신 전쟁 사가 반란 사쓰마 반란 |
수상 | 금빛 연의 훈장 아사히 훈장 그랜드 코르돈 오렌지 나소 훈장 레오폴트 훈장 쌍룡 훈장 레지오트 명예의 전당대회 성 훈장 안나 철관 훈장 |
야마구치 모토미(山口母美, 1846년 6월 8일 ~ 1904년 7월 7일)는 제1차 중일 전쟁과 복서 반란에 참전한 일본 사무라이 겸 일본 육군 대장이다. 그는 광범위한 선거 운동과 금빛 연의 훈장 때문에 군벌 동안 군벌로 묘사되었다.
전기
모토미는 하기 에도 시대에 야마구치 번의 사무라이 야마모토 요시요시의 아들로 조슈 번에서 태어났으며, 같은 도메인의 사무라이였던 야마구치 요시요시에 의해 입양되었다. 기헤이타이 내 보신전쟁 때 군 복무를 했다.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제국군에 복무했다.
1870년 9월 오사카 육군 제2지도부대에 입대하여 1871년 4월 육군 중사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중위에서 대위로 진급하였고, 1873년 10월부터 육군 소령이 되었다. 이듬해 1월 고노예 보병 제1연대가 창설되자 제1대대대장이 되어 사가 반란에 참여하였다. 다음 사쓰마 반란에서는 3월 4일 다바루자카 전투에 참가하였다. 토요카와 히라하라 지구(현재의 구마모토시 기타구 우에키초)에서 사쓰마 군의 우익군을 공격했으나 공격을 받아 부상을 입었다. 당시 고노예 연대는 2개 대대로 편성되어 총 4개 대대장이 있었으나, 모토미를 제외한 3개 대대장은 모두 전투에서 전사했다.
전쟁이 끝난 후 그는 1882년 2월 육군 대령으로 진격하기 전 9보병연대장과 7보병연대장으로 전후 훈련을 발표했다. 같은 해 3월부터 구마모토 기지의 참모장, 1885년 5월 도쿄 도 참모장, 1886년 5월 고노예 참모장에 임명되었다. 1887년 9월부터 이듬해 6월까지 유럽과 미국을 방문했다. 1889년 9월 1890년 9월 5일 병으로 세상을 떠난 시나가와의 뒤를 이어 1890년 2월 육군 소장과 보병 10여단장이 되었고, 1894년부터 시작된 세키 전쟁에서는 제2사단 예하 보병 3여단장으로 진격하였다.
1월 20일, 1894년 7월 25일 중일 전쟁이 발발한 이후 산둥 반도에 상륙했다. 중일 전쟁 때는 여행순서에 따라 상륙한 병사들 사이에서 구토병이 유행했다. 야마구치 씨는 야전병원을 찾았을 때 병사의 손을 잡고 등을 쓰다듬으며 "병 때문에 나라를 위해 내 목숨을 바치는데 어떡하지?"[1]라고 꾸짖었다. 그는 우익 군단을 이끌고 웨이하이웨이 전투에 참가하였다. 전투에서는 전투에 앞서 1월 29일 새벽, 그는 작은 언덕 위에 서서 전투 상황을 관찰했다. 당시 근처에서 청 쪽의 포탄이 폭발했고, 옆에 있던 아메리칸 크로니클(The American Chronicle, The San Francisco Chronicle 또는 The Augusta Chronicle) 기자가 쓰러졌다. 야마구치 씨가 끌어올리자 담담한 어조로 "나중에 돌아올지도 모르니 빨리 가봐야겠다"[1]고 말했다. 웨이하이웨이에서의 승리와 업적으로 인해 1895년 8월 전쟁 후 남작 작위를 수여받았고, 1896년 10월 육군 중장으로 진격하여 5사단장의 보훈을 받았다.
1900년 일본의 분쟁 개입으로 복서 반란에 참가하기 위해 파견되어 아사히 훈장 대 코르돈과 금련 훈장을 받았다. 1904년 3월 육군 대장으로 진급하여 같은 해 8월 서거하기 전에 군의관을 임명하였다. 그의 묘소는 도쿄 미나토 아오야마 묘지에 있다.
그의 뒤를 이은 양아들 야마구치 후하치는 어린 시절 습격을 당했다. 후하치는 이후 육군 소장이 되었고, 보병 제11여단장과 보병 제1여단장을 지냈다.
연감
- 1870년 9월 - 오사카육군지도대 제2지도대
- 1871
- 에이프릴 - 하사
- 8월 11일 - 영국령
- 9월 12일 - 중위
- 10월 20일 - 선장
- 1873년 10월 10일 - 메이저
- 1877년 11월 12일 - 9 보병 연대장
- 1878년 11월 21일 - 중령
- 1880년 4월 25일 - 제7보병연대 대장
- 1882
- 2월 6일 콜로넬
- 3월 10일 구마모토 수비대 참모총장
- 1885년 5월 26일 - 도쿄 수비대 참모장
- 1888년 5월 27일 - 코노에 게리슨 참모총장
- 1889
- 1890년 2월 12일 - 제10보병여단장[4] 소령
- 12월 5일 - 제3보병여단장
- 1895년 8월 20일 - 남작
- 1896년 10월 14일 - 제5사단장
- 1904년 3월 17일 - 육군 장성, 군사[5] 고문
명예
순위
수상
해외 명예상
참고 문헌 목록
- 하타 이쿠히코, 2005년 일본 육해군 백과사전 제2판 도쿄 프레스 대학.
- 육군 현역 장교와 같은 양의 근속 연수를 나열한 목록. 1901년 7월 1일 10페이지.
참조
- ^ a b 楓仙子 著『帝国軍人亀鑑』東雲堂 明28年9月
- ^ 『官報』 1889年2月7日 敍任及辭令
- ^ 『官報』 1889年9月14日 敍任及辭令
- ^ 『官報』 1890年2月14日 敍任及辭令
- ^ 『官報』1904年3月18日 敍任及辭令
- ^ 『官報』第2000号「叙任及辞令」1890年3月4日。
- ^ 『官報』第3565号「叙任及辞令」1895年5月21日。
- ^ 『官報』1900年6月12日 敍任及辭令
- ^ 『官報』第6239号「叙任及辞令」1904年4月21日。
- ^ 『官報』第560号「賞勲叙任」1885年5月16日。
- ^ 『官報』第1933号「叙任及辞令」1889年12月6日。
- ^ 『官報』第3578号「叙任及辞令」1895年6月5日。
- ^ 『官報』第3644号「叙任及辞令」1895年8月21日。
- ^ 『官報』号外「辞令」1896年11月17日。
- ^ 『官報』 1897年4月26日 敍任及辭令
- ^ 『官報』1901年7月20日 敍任及辭令
- ^ 『官報』1902年1月24日 敍任及辭令。
- ^ 『官報』第5531号「叙任及辞令」1901年12月9日。
- ^ 『官報』1903年6月4日 敍任及辭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