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메트로
보이기
형태 | 공기업 |
---|---|
창립 | 1981년 9월 1일 |
시장 정보 | 비상장 |
산업 분야 | 운수업 |
본사 소재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 432 |
핵심 인물 | 김익환 (사장) |
매출액 | 9169억 4262만원[1] (2010년) |
영업이익 | - 2216억 8840만원 (2010년) |
- 2567억 5749만원 (2010년) | |
자산총액 | 4조 5208억 4824만원[2] (2010년) |
주요 주주 | 대한민국 정부 서울특별시 |
종업원 수 | 9,150명 (2011년) |
자본금 | 7조 5023억 7950만원[3] (2010년) |
웹사이트 | 서울메트로 홈페이지 |
서울메트로는 서울 지하철 1호선·2호선·3호선·4호선의 운영을 전담하고 있는 서울특별시 산하의 지방 공기업이다. 1970년 6월 서울특별시지하철건설본부가 발족된 이후 지하철 1, 2호선을 건설하였고, 1980년 2월에는 민간자본을 끌어들이기 위하여 서울지하철건설을 설립하였으며, 1981년 9월 1일 서울특별시지하철건설본부에서 분리하고, 서울지하철건설(주)를 해산하여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를 설립하였다. 2005년 10월 27일에 사명을 서울메트로로 변경하였다.
개요
- 조직 형태: 지방공기업 (지방공기업법 제49조 및 동법 시행령 제47조)
- 설립 목적: 서울 지하철 건설·운영 및 부대사업, 도시교통 발전과 시민복리 증진
- 본사: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 432 (방배2동 447-7) (사당역 인근)
- 별관: 대림별관 (대림역 인근), 신답별관 (신답역 인근), 동대문별관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인근)
- 소속기관: 인재개발원, 자재관리센터, 서비스센터(8), 서비스지원단, 차량사업소(5), 승무사업소(8), 종합관제소, 기술사업소(2), 철도장비사업소, 기술연구소, 신사업지원단
- 정원: 9,150명
조직
- 본사: 사장, 감사, 6본부, 6실, 21처
- 현업: 1원, 1단, 2소, 16사업소, 9센터
본사
- 사장
- 안전방재실
- 감사 - 감사실
- 경영기획본부
- 기획조정실
- 홍보실
- 전산정보처
- 경영지원본부
- 총무처
- 인사처
- 노사협력실
- 재무관리처
- 계약처
- 비상계획처
- 고객서비스본부
- 영업전략처
- 영업관리처
- CS경영처
- 운영본부
- 차량처
- 정비처
- 운전처
- 기술본부
- 전기처
- 환경관리실
- 통신전자처
- 신호처
- 철도토목처
- 토목처
- 디자인건축처
- 신사업본부
- 철도사업처
- 사업개발처
- 부대사업처
현업
- 인재개발원
- 자재관리센터
- 서비스센터
- 서비스지원단
- 신사업지원단
연혁
- 1970년 6월: 지하철건설본부 발족
- 1971년 4월: 1호선 (시청앞(現 시청) - 청량리 9.54km) 착공
- 1974년 8월 15일: 1호선 개통, 경원선·경인선·경부선 직결 열차 운행 개시(당시 운행 구간성북 - 인천·수원)
- 1974년 10월: 차량기지 건설공사 착공 (성동구 군자동, 군자차량기지)
- 1977년 10월: 2호선 건설계획 발표
- 1978년 3월: 2호선 강남구간 (30km) 착공
- 1979년 2월: 3·4호선 건설 확정
- 1979년 3월: 2호선 강북구간 (성동-왕십리 3.1km) 착공
- 1980년 2월: 서울지하철건설주식회사 설립등기인 총회
- 1981년 2월: 지하철 건설과 운영분야 분리
- 1981년 2월: 지하철운영사업소 발족
- 1981년 8월: 서울지하철건설주식회사 해산
- 1981년 9월 1일: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설립
- 1982년 8월: 공사 심볼마크로 변경
- 1983년 8월: 사당동 청사 완공 및 입주
- 1983년 12월: 지하철 기구 통합에 따른 공사설치조례 개정 공포
- 1984년 1월: 지하철운영사업소를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에 통합
- 1986년 9월: 역무자동화 실시
- 1987년 8월 12일: 노동조합 설립
- 1997년 1월: 2호선 당산철교 교체공사 개시
- 1999년 11월 22일: 2호선 당산철교 재개통
- 2000년 12월: 수도권전철 1,2,3,4호선 명칭통합 흰색 안내판 교체
- 2002년 12월: 지하철 1시간 연장 운행 실시
- 2004년 7월 1일: 이동구간제에서 거리비례제로 운임 징수방식 변경
- 2005년 10월 20일: 2호선 용두역 개통
- 2005년 10월 27일: CI 개정, 사명 변경 (서울메트로)
- 2005년 12월 21일: 1호선 동묘앞역 개통
- 2006년 1월 20일: 고객안내센터 최초 설치(7개역)
- 2006년 11월: 메트로심볼로 개정
- 2010년 2월 18일: 3호선 수서역 - 오금역간 (3개역, 3km) 개통
운영 노선 및 전철 운행 구간
- 운영하는 노선
- "한국철도공사와 서울메트로간의 전동 열차 직통 운행에 관한 협약서"에 의거한 구간별 열차 운행 통제를 하고 있다.
- 총연장: 7.8km(한국철도공사 운행구간을 포함하면 약 200km 이상)
- 역수: 10개(한국철도공사 운행구간을 포함하면 95개)
- 차량기지: 군자차량사업소
- 운행 차량: 서울메트로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서울메트로 1000호대 VVVF 전동차·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4]·한국철도공사 5000호대 전동차[4]
- 총연장: 60.2km(본선+성수지선+신정지선을 모두 합한 수치)
- 역수: 53개(본선+성수지선+신정지선을 모두 합한 수치)
- 차량기지: 군자차량사업소, 신정차량사업소
- 운행 차량: 서울메트로 2000호대 MELCO형 전동차·서울메트로 2000호대 GEC 전동차·서울메트로 2000호대 VVVF 전동차
- 총연장: 38.2km(한국철도공사 운행구간을 포함하면 57.4km)
- 역수: 34개(한국철도공사 운행구간을 포함하면 43개)
- 차량기지: 지축차량사업소, 수서차량사업소
- 운행 차량: 서울메트로 3000호대 VVVF 전동차·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4]
- 총연장: 31.7km(한국철도공사 운행구간을 포함하면 70.5km)
- 역수: 26개(한국철도공사 운행구간을 포함하면 48개)
- 차량기지: 창동차량사업소
- 운행 차량: 서울메트로 4000호대 전동차·한국철도공사 2030호대 전동차[4]
- 5호선: 오금
- 역수: 1개
- 기타: 위탁 관리하는 역이나, 사실상 도시철도공사의 구간이다.
- 6호선: 연신내
- 역수: 1개
- 기타: 위탁 관리하는 역이나, 사실상 도시철도공사의 구간이다.
- 서울메트로 소속 전동차의 운행 구간
- 상기 노선에는 모두 서울메트로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서울메트로 1000호대 VVVF 전동차가 운행에 투입된다.
- 일산선: 전 구간 서울메트로 3000호대 VVVF 전동차가 운행한다.
- 과천선: 전 구간 서울메트로 4000호대 전동차가 운행한다. (직류전용차량 제외)
- 안산선: 전 구간 서울메트로 4000호대 전동차가 운행한다. (직류전용차량 제외)
그 외
차내안내방송
- 출발, 환승, 종착역 음악
- 출발역: 슬로건송(Ssing New Metro)
- 환승역: 김백찬-얼씨구야
- 종착역: 슬로건송(Ssing New Metro)
주석
- ↑ 공사소개 - 경영정보 - 회계결산,≪서울메트로≫
- ↑ 공사소개 - 경영정보 - 회계결산,≪서울메트로≫
- ↑ 공사소개 - 경영정보 - 회계결산,≪서울메트로≫
- ↑ 가 나 다 라 한국철도공사 소속 열차로서 인입 선로를 통해 직결하여 운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