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아미노에탄올
1-Aminoethanol![]() | |
![]() | |
이름 | |
---|---|
선호 IUPAC 이름 1-아미노에탄-1-올 | |
기타 이름 1-아미노에탄올 아세트알데히드 암모니아 | |
식별자 | |
3D 모델(JSmol) | |
켐스파이더 | |
ECHA InfoCard | 100.000.790 ![]() |
EC 번호 |
|
펍켐 CID | |
유니 | |
CompTox 대시보드 (EPA) | |
| |
| |
특성. | |
C2H7NO | |
어금질량 | 61.084 g·migration−1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표준 상태(25°C [77°F], 100 kPa)의 재료에 대한 데이터가 제공된다. | |
Infobox 참조 자료 | |
1-아미노에탄올은 CHCH3(NH2)OH라는 공식을 가진 유기 화합물이다. 알카놀아민으로 분류된다. 구체적으로 2-아미노에탄올(에탄올아민)의 구조 이소머다. 이 두 화합물은 아미노 그룹의 위치가 다르다. 1-아미노에탄올의 중심 탄소 원자는 4개의 다른 대체 물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화합물은 2개의 스테레오 원자를 가지고 있다. 상업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2아미노에탄올과 달리 1아미노에탄올은 순수 물질로 접하지 못하고 주로 이론적 관심사다.
1-아미노에탄올은 아세트알데히드와 수성암모니아 용액에 존재한다.[1]
1-아미노에탄올은 알라닌 합성의 스트래커 반응에서 중간으로 제시된다.[2]
1-아미노에탄올은 1833년 독일의 화학자 요한 볼프강 be베레이너에 의해 처음 준비되었다; 그 경험적 공식은 1835년 독일의 화학자 쥐스 폰 리빅에 의해 처음 결정되었다.[3] 1-아미노에탄올의 구조는 독일-이탈리아 화학자 로버트 쉬프가 그 구조가 CHCH3(OH)NH라는2 것을 보여준 1877년까지 증명되지 않았다.[4]
참조
- ^ Smith, Michael B.; March, Jerry (2007), Advanced Organic Chemistry: Reactions, Mechanisms, and Structure (6th ed.), New York: Wiley-Interscience, ISBN 978-0-471-72091-1
- ^ Shinichi Yamabe; Guixiang Zeng; Wei Guan; Shigeyoshi Sakaki (2014). "Proton transfers in the Strecker reaction revealed by DFT calculations". Beilstein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10: 1765–1774. doi:10.3762/bjoc.10.184. PMC 4143099. PMID 25161735.
- ^ Liebig, Justus (1835) "Uber die Producte der Oxydation des Alkohols"(알콜 산화제[즉, 에탄올]에 관하여), Annalen der Chemie, 14 : 133–167. 1821년, Döbereiner는 그가 Saewerstoffether(문학적으로: ether oxide)라고 부르는 것을 준비했는데, 나중에 Liebig가 보여주었듯이, 아세트알데히드가 들어 있었다. On p. 134, Liebig states that Döbereiner first produced 1-amino-ethanol by perfusing acetaldehyde (Saüerstoffäther or Aldehyd, as Liebig called it) with ammonia gas (Ammoniak) : "Der berühmte Entdecker des Acetals theilte mir damals gleichzeitig mit, dass sein Saüerstoffäther mit Ammoniakgas eine weisse krystallinische Verbingdung bilde; … " (Th아세트 [viz, Döbeeriner]의 유명한 발견자는 그 당시 나에게 그의 에테르 산화물이 암모니아 가스와 함께 백색 결정화합물을 형성한다는 것을 동시에 전달하였다.106페이지에, Liebig는 1-aminoethanol: CHNO에41422 대한 경험적 공식을 제시했다. 첨자를 2로 나누면 결과 공식은 정확하다.
- ^ 오랫동안 1-아미노에탄올의 구조가 CHCH3(OH)NH라고2 가정해 왔으나, 1877년 쉬프의 조사 때까지 1-아미노에탄올에 히드록실(-OH) 그룹이 들어 있다는 사실은 입증되지 않았다. 참조:
- 쉬프, 로버트 (1877) "주르 헌법 des Cloralammoniaks und des Aldehydammoniaks," 베리히테 데르 도이체첸 게셀샤프트, 10 : 165–171.
- 아스찬, 오스시안(1915년) "네우스 über 알데하이드-암모니아크 und Cloral-ammoniak." 베리히테 데르 도이체첸 게셀샤프트, 48(1) : 874–8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