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 야전포병연대
103rd Field Artillery Regiment제103 야전포병연대(103 FAR)는 미 육군의 연대다.현재 현존하는 유일한 구성 요소는 로드아일랜드 국가방위대 소속 부대인 제103 야전포병연대(FAR 1-103번) 1대대대뿐이다.이 연대는 원래 1917년에 구성되었지만, 180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전 단위(1801 ~ 1917)
프로비던스 포병대
103d 야전포병 연대는 프로비던스 해병대 포병대(PMCA)로 기원을 추적한다(이름이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PMCA는 미 해병대와 아무런 관련이 없다).PMCA는 원래 프로비던스 해양 협회 (1798년 설립)에 의해 1801년에 조직되었다.PMCA의 원래 목적은 준전시(1798–1800) 당시 프랑스에 의해 위협받았던 로드아일랜드 프로비던스에 본거지를 둔 상선들과 지중해에서 바바리 해적들의 위협이 증가하면서 훈련된 총기 승무원을 제공하는 것이었다.PMCA의 첫 지휘관은 미국 혁명 당시 로드아일랜드 민병대에서 중위를 지낸 세스 휘튼 중령(1759–1827)이었다.
바르바리 주의 평정으로 PMCA는 로드아일랜드 민병대의 전세기 사령부로 계속되었다.전세기 사령부로서, 그것은 자체 장교들을 선출하는 특권을 가지고 있었고, 주 민병대의 고위 장교들이 아니라 국가의 "일반적인" 민병대 구조의 일부가 아니었기 때문에 로드아일랜드 주지사의 권한만을 받았다.그 회원은 프로비던스의 선도적인 시민들로 구성되었고, 따라서 "엘리트" 부대로 여겨졌다.
1850년경 PMCA는 프로비던스 라이트 보병대로부터 베네핏 스트리트 아스널로 알려진 성식 무기고의 사용을 획득했다.1839년에 완공된 이 무기는 여전히 PMCA의 본부 역할을 하고 있으며 남북전쟁부터 제2차 세계대전에 이르는 많은 군사유물들을 소장하고 있다.그 무기는 국가 사적지에 등재되어 있다.
미국 남북 전쟁
남북전쟁 중에 PMCA는 두 번이나 활성화되었다.첫 번째는 1861년 4월 18일부터 8월 1일까지 찰스 H 대위 휘하의 제1호 로드아일랜드 배터리로 근무했을 때 전쟁이 발발했을 때였다.톰킨스.이 부대는 2015년 현재 마나사스 국립전장공원에서 배터리 사용을 기념하기 위해 이런 종류의 무기를 배치한 버지니아주 마나사스 인근 불런 제1차 전투에서 14파운드짜리 제임스 소총으로 무장했다.
두 번째는 1862년 5월부터 8월까지로, 에드윈 C 대위의 지휘 아래 제10대 로드아일랜드 전지로 활동했다. 갤럽.제10전지는 제9·10 로드아일랜드 보병 연대와 함께 워싱턴 D.C.를 방어하기 위해 배치되었다.배터리는 1862년 5월 27~29일 워싱턴 D.C.로 옮겨졌고, 워싱턴 군구 휘플 사령부에 부착되었다.6월 23일까지 텐널리타운의 캠프 프리즈에서 근무했다.6월 30일까지 Cloud's Mills에서, 그리고 나서 펜실베니아 포트 근처에서 8월까지 배터리가 로드 아일랜드로 돌아와 1862년 8월 30일에 무급 사용되었다.
베네핏 스트리트 아스널은 PMCA의 동원장소일 뿐만 아니라 1861년에 조직된 제1로이드 섬 경포연대의 8개 전지에 대해 모두 구실을 했다.그 결과, PMCA는 혜택 스트리트 아스널에 부착된 명판에 명시된 대로 "로드 아일랜드 배터리의 어머니"로 간주된다.
자신의 권한으로 베테랑의 조직을 원하는 결과, PMCA의 베테랑 회원들이 베테랑 협회 PMCA를 결성하였다.포병대의 과거와 명예회원으로 구성된 이 협회는 1874년 1월 21일에 조직되었다.그 목적은 "과거의 즐거운 기억을 되살리고, 여러 해로 갈라진 졸업생들을 동정하며 단결하고, 현역 군단에 대한 관심과 영향력, 힘의 이익을 확보하는 것"이었다.로드아일랜드의 많은 주요 시민들은 주지사 윌리엄 스프래그, 헨리 리핏, 엘리사 다이어 주니어를 포함한 베테랑 협회의 회원들이었다.[2]재향군인회는 민간단체로 계속 존재하며 103d 야전포병연대의 사실상의 재향군인회다.
가벼운 배터리 A
1875년 4월 19일 PMCA는 주 민병대법의 적용을 받기로 의결하였고, 1875년 5월 1일 로드아일랜드 민병대 제1포병대대의 경전지 A로 다시 지정되었다.[3]대대의 다른 부대는 경전지 B로 지정되었다.배터리 B와 대대는 1879년 경전지 A가 로드아일랜드 민병대 내의 별도 부대로 계속되면서 해체되었다.
배터리 A는 1898년 6월 25일 에드가 바커 대위의 지휘 아래 스페인-미국 전쟁에 동원되었다.이 배터리는 해외에서 사용하지 않고 로드 아일랜드의 노스 킹스타운에 있는 쿤셋 포인트 민병대 훈련 캠프에 배치되었다.그것은 1898년 10월 26일에 폐지되었다.
배터리 A는 1907년 로드아일랜드 민병대의 부대로부터 경비대가 조직되면서 로드아일랜드 국가 경비대의 일부가 되었다.국가 방위군은 1903년 민병대법에 의해 창설되었는데, 민병대가 연방 기준에 따라 훈련되고 장비를 갖추는 대가로 주정부 민병대에 대한 연방 기금을 제공하였다.일부 민병대들이 연방정부의 규제를 받는 것을 거절한 반면, 배터리 A는 대부분의 다른 로드아일랜드 민병대 부대들과 함께 국가 경비대의 일부가 되는 것을 선택했다.[4]
제1차 세계 대전(1917~1919)
경전지 A는 1917년 6월 15일 제1차 분리대대대 로드아일랜드 야전포대를 결성하기 위해 확장되었다.1917년 7월 25일 퀀셋포인트에서 현역복무로 징집되어 1917년 8월 5일 연방복무에 징집되었다.이 부대는 1917년 8월 20일 26사단의 요소인 103d 야전포병연대 1대대로 재편성·재설계되었다.'양키 사단'이라는 별명을 가진 26사단은 뉴잉글랜드 6개 주의 국가 방위 부대로 구성되었다.
103d 야전포병 연대는 각각 3개 포대로 2개 대대로 구성되었다.26사단 제51 야전포병여단 101·102d 야전포병 연대와 함께 복무했다.나머지 26사단과 함께 103d는 1917년 말 프랑스로 수송됐다.해외에서 이 연대는 1918년 11월 11일 정전 이전에 6번의 캠페인에 참가했다.6가지 캠페인은 다음과 같다.샴페인-마르네, 아이스-마르네, 세인트. 미히엘, 뮤즈 아르곤, 일레 드 프랑스, 로레인.
전쟁중기(1919~41년)
103d는 1919년 4월 29일 메사추세츠주 캠프 데븐스에서 26사단과 함께 해체되었다.1921년 4월부터 11월 사이에 로드아일랜드 프로비던스의 로드아일랜드 국가방위대에서 제1대대대인 야전포병(야전포병)으로 재편성되었으며, 본부는 1921년 11월 17일 프로비던스에서 연방으로 인정받았다.
제1대대는 1921년 11월 25일 로드아일랜드, 코네티컷, 메인, 버몬트 등지에서 부대를 거느리고 새로 창설된 국가방위 사단인 제43보병사단의 부대인 제1대대대대 103d 야포(1/103d FA)로 재설계되었다.
연대는 1930년 1월 2일 제2대대가 된 제2대대대, 제122기병연대, 제103d야포(2/103d FA)로 통합되었고, 통합부대는 프로비던스에 본부를 두고 제103d야포로 재편성·재설계되었다.
전후 기간 동안 103d는 다음과 같은 국가 비상사태에 대해 로드아일랜드 주지사의 명령에 의해 활성화되었다.
- 1922년 2월 20일부터 10월 14일까지 파우턱셋의 파업근무
- 1926년 8월 31일부터 9월 3일까지 맨빌의 파업근무
- 1934년 9월 10일–14일, 세일즈빌과 브리스톨, 섬유 노동자들이 파업
- 1936년 3월 19~20일 푸투셋 강 홍수 구호
- 1938년 7월 24일-26일, 노우드 주의 홍수
- 1938년 허리케인, 9월 21~25일
제2차 세계 대전 (1941–1945년)
103d는 1941년 2월 24일 본국에서 43사단의 부대로 연방 복무에 투입되어 플로리다주 캠프 블랑딩으로 발령받았다.103d 야전포병 연대는 1942년 2월 19일 해체되었고 그 요소들은 43d 보병사단의 요소인 제103d 및 제169야전포대대로 각각 1d대대와 2d대대로 재편성 및 재설계되었으며, 이때 연대본부는 해체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103d, 169 야전포대대는 태평양극장에서 43사단과 함께 복무했다.두 부대 모두 뉴기니, 노던 솔로몬, 루손 선거운동에서 서비스 공로를 인정받았다.또한 169 야전 포병 대대는 과달카날 캠페인으로 공을 세웠다.
1942년 10월 26일 미 육군 수송기 쿨리지의 침몰로 패소한 103호 중 엘우드 조셉 유아트 대위는 유일한 부대원이었다.유아르트 대위는 아직 의무실에 나오지 못한 남자들이 있다는 소식을 듣고 쿨리지 대통령에게서 무사히 내렸었다.그는 바다 문 하나를 통해 돌아와 성공적으로 사람들을 구조했지만 스스로 빠져나오지 못하고 배와 함께 내려갔다.그는 영웅적인 행동으로 사후에 공로십자 훈장을 받았다.[5]
43d사단은 1945년 9월 2일 일제가 항복할 당시 필리핀에 있었다.
제2차 세계대전 후(1945~2001)
103d 야전 포병대대는 1945년 10월 22일 캘리포니아주 캠프 스톤먼에서 불활성화되었다.1946년 10월 15일 프로비던스에 본부를 두고 로드아일랜드 국가방위대에서 재편성되어 연방적으로 인정받았다.
제169 야전 포병대대는 1945년 10월 22일 캘리포니아주 캠프 스톤먼에서 불활성화되었다.1946년 5월 21일 43d 보병사단 배정에서 해제되었다.1948년 1월 19일 프로비던스에 본부를 두고 재정비되고 연방에서 인정받은.1949년 3월 1일 제169대 대공포병 자동무기대대로 재편성 및 재설계되어 43d 보병사단에 배속되었다.
한국전쟁 발발 직후인 1950년 6월 43d 보병사단의 부대로서 103d와 169개 대대는 1950년 9월 5일 현역 연방군 복무 명령을 받았으며, 한국에서 전투에 투입된 정규군 부대를 대체하는 데 3년을 독일에서 보냈다.43d 보병사단은 1953년 7월 정전협정이 체결된 직후에 해체되었다.
제103d 야포대대와 제169대 대대는 1959년 4월 1일 통합되었고, 본부 103d 야포대(현재의 로드아일랜드 육군 주방위대)가 통합되어 전투무기연대 산하 모연대인 103d 포병대를 결성하여 제1 로켓 하우처 B로 구성되었다.43d 보병사단의 요소인 2d, 3d, 4d, 4대대대와 전투.103d FA 대대는 1961년 6월 19일 1대대대, 103d 포병연대(1/103d)로 재지정되었다.
103d 포병 연대는 1963년 3월 18일 1d, 2d, 3d 하우처 포병대대로 재편성되었다.1965년 1월 1일에 재편성되어 제1차, 제2차, 제3차 하우처 포대와 배터리 F로 구성되었다.1966년 3월 1일 제1차, 제2차, 제3차 하우처 대대로 재편성되었다.
43d 보병사단은 1967년 12월 16일 해체되었고, 그 부대는 다른 조직에 배치되었다.103d 포병은 1968년 2월 1일 1d 포대와 2d 포대로 재편성되었다.
103d 포병 연대는 1972년 3월 1일 103d 야전 포병 연대로 재설계되었다.
1978년 2월 103d 야포가 로드아일랜드 전 방위군과 함께 동원되어 3피트 이상의 눈으로 주를 마비시킨 1978년의 대 블리자드에 대응하여 긴급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1968년 5월 XLIII 군단 포병의 본부 및 본부 배터리는 제1/103d 및 제2/103d의 지휘통제 및 통제를 위해 제103d 야전포병단의 본부 및 본부 배터리로 재설계되었다.103d FA여단도 정규군, 육군예비군, 국가방위군 부대를 통합한 CAPSTON 프로그램에 따라 3개 야전포대대의 작전통제권을 갖고 있었다.1979년 10월에 103d 야전포병여단으로 재설계되었다.103d FA 여단은 103d FA 연대와 같은 수적 명칭을 공유했지만 새로 창설된 부대인 만큼 혈통이나 명예는 공유하지 않았다.
1984년 현재 1·2대대는 프로비던스에 본부를 둔 103 야전포병여단 소속으로, 둘 다 155mm 예인포를 갖추고 있었다.[6]
2d 대대, 103d 야전포병 연대는 1990년 4월 무력화되었다.1-103d는 103d 야전포병여단 밑에 남아 있었다.1990년대 후반 프로비던스의 크랜스턴 스트리트 무기고가 폐쇄되고 103d 야전포병여단 본부와 1-103d의 본부 배터리, 배터리 A, 서비스 배터리는 프로비던스 북부 중심가의 기마사령부 무기고로 이전되었다.1~103d의 배터리 B는 노스스미스필드의 옛 나이키 미사일 부지에, 배터리 C는 로드아일랜드 재향군인회관과 인접한 브리스톨에 위치했다.
최근 충돌(2001년 현재)
이라크 자유 작전 당시 이라크와 쿠웨이트에서 복무하기 위해 1대대대 103d 야전포병연대 소속 부대원들이 동원됐다.2004년 1월부터 2005년 4월까지 1-103d의 배터리 A와 B는 현역으로 복무했으며 15개월 동안의 동원 중 거의 13개월 동안 이라크에서의 전투 작전을 지원했다.[7]2014년 12월 3일, 배터리 A(전진)는 배치 중 공로로 1대대대, 206 야전포병연대 등과 함께 공로부대 표창을 받았다.
103d 야전포병여단의 본부 및 본부 배터리는 2004년 8월 동원돼 이라크에 파견돼 2005년 8월까지 복무했다.C배터리, 2007년 9월부터 2008년 9월까지 이라크에 1~103d 배치
103d 야전포병여단 본부는 2008년 9월 6일 무력화되었다.이에 따라 1대대대 103d 야포대는 작전지휘 체인으로 197야전포여단(뉴햄프셔 육군 주방위군)과 행정지휘 체인으로 43야전경찰여단(로드아일랜드 육군 주방위군)에 재배치됐다.103d 야전포병여단의 불활성화와 동시에 1207 수송사와 1043d 정비사를 통합하여 1207 전방지원사(FSC)를 구성하여 1대대대 103d 야전포병에게 물류 및 정비 지원을 제공하였다.
2020년 현재 1대대대, 103d 야포대가 로드아일랜드 주 방위군에 계속 복무하고 있다.제1회 BN 103d FA는 다음과 같은 5개 단위로 구성된다.본부 및 본부 배터리, 배터리 A, B, C(C Btry 2019년 NH육군 주방위군에 재배치됨), 1207회 전방지원기업(FSC)이다.
재향군인회
제2차 세계 대전 후기에는 103d 야전 포병의 사실상의 보훈회 역할을 하는 민간 비영리단체에서 '포병대 제공'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어 왔다.(그 회원은 주로 현재와 전 103d 야전 포병대원으로 다른 개인들의 선별된 집단을 가지고 있다.그것은 103d 야전 포병의 역사를 기념하는 수많은 유물들을 소장하고 있는 역사적인 자선 거리 아스널에 대한 장기 임대를 보유하고 있다.이 무기는 또한 남북전쟁 참전용사 연합의 엘리사 디어 캠프 7의 회의와 SUVCW의 로드아일랜드 부서의 연례 야영에도 사용된다.
저명인원
- 해롤드 R 준장. 바커 - 43 보병사단 포병대장.
- 하워드 F 대령 갈색
- 윌리엄 C 소령 체이스 - 1 기병사단 사령관.
- 엘리사 다이어 준장 – 로드아일랜드 부장관 겸 주지사.
- 펠햄 준장 글래스포드 - 제1차 세계 대전 중 사령관
- 프레드릭 리핏 중령 – 1953-1963년 103d 야전포병대대대대대대 사령관, 공무원 및 자선가.
- 헨리 리핏 대령 – 로드아일랜드 주지사.
- 제임스 W 소령 너톨트
- 존 A 대령Twachtman – 제1차 세계 대전 중 지휘된 연대.
- 리처드 발렌테 준장
헤럴드리
참고 항목
참조
메모들
- ^ "Special Designation Listing".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1 April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June 2009. Retrieved 14 July 2010.
- ^ http://www.rootsweb.ancestry.com/~rigenweb/Providence/제274조.html
- ^ 프로비던스 플랜테이션 250년.윌리엄 아놀드 그린.J.A.&R.A. 리드 출판사.프로비던스. 1886. 페이지 181.
- ^ 로디 레들렉스로버트 그랜드샹맥팔랜드 출판사.
- ^ DPaa 릴리즈 2016
- ^ Isby and Kamps 1985, 385.
- ^ http://www.military.com/HomePage/UnitPageHistory/1,13506,103477%7C819800,00.html
참고 문헌 목록
- 맥케니, 재니스 E. (1985) 야전 포병 제2부, 육군 리니지 시리즈.워싱턴 DC: 미국 육군 역사 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