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7원정 공군

Seventeenth Expeditionary Air Force
제17원정 공군
United States 17th Air Force reactivation.jpg
윌리엄 E.킵 워드아프리카사령관(왼쪽)과 로널드 R. 라드니에 17공군사령관이 독일 람슈타인 공군기지에서 지휘관 취임식을 갖고 17공군 지휘봉을 풀고 있다.


17af-afafrica-2.jpg
조쉬 울리지 37공수비행대 로드마스터, MSG입니다제17공군의 투하지역 지원팀장인 개릭 루이스는 우간다 인민방위군 대원들에게 바로 먹을 수 있는 식사를 요리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17af-afafrica-1.jpg


세네갈 제3보병여단 명예소대 대원들이 17 AF 사령관 브릭을 맞이하고 있다.마이크 캘런 장군
활동적인1953년 4월 17일 ~ 1996년 9월 30일
2008년 10월 1일 ~ 2012년 4월 24일 (제17공군으로서)
2012년 5월 21일 ~ 2018년 7월 19일
나라 미국
분점 미국 공군
유형원정 번호부 공군
역할.미국 유럽 사령부와 미국 아프리카[1] 사령부에 전투 준비 공군을 제공하다
일부유럽 주둔 미국 공군 - 아프리카 공군
게리슨/본사라바트세일, 모로코 (1953년-1956년)
휠러스 공군기지리비아 (1956-1959)
람슈타인 공군기지 서독 (1959~1973년)
독일 셈바흐 공군기지 (1973~1996년)
독일 람슈타인 공군기지 (2008-2012)
휘장
제17원정공군 엠블럼Seventeenth Expeditionary Air Force emblem.png
제17공군 엠블럼Seventeenth Air Force - Emblem.png

제17원정공군(17EAF)은 독일 람슈타인 공군기지에 위치한 미국 공군번호부 공군이었다.이 사령관은 1953년~1996년 동안 유럽 주둔공군을, 2008년~2012년 동안 아프리카 주둔공군에서 복무했다.2008년 10월 1일 재활성화되면서, 그것은 미국 아프리카 [2]사령부의 공중 및 우주 구성요소가 되었다.이 자격으로, 17공군은 미국 공군 아프리카(AFAFRICA)로 불렸다.17AF는 2012년 4월 제17원정공군으로 개편돼 제3공군[1][3][4]지휘관 및 사령부를 공유했다.2022년 3월 현재, 제3공군은 USAFE-AFAFRICA의 유일한 번호 공군이며,[5][6] 17개의 EAF는 2018년 7월에 비활성화되었다.

17공군은 전략 개발을 담당하는 전통적인 A-스태프와 특수참모부 기능을 수용했으며, 미 아프리카 사령부의 목표를 지원하기 위해 항공 및 우주 작전을 수행할 계획이다.또 아프리카 대륙에서 항공 임무를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는 지휘통제 능력을 갖춘 맞춤형 617항공우주작전센터(AOC)가 17대 AF에 수용됐다.제17공군은 또한 미시간 방위군 제110항공작전단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었다.

역사

냉전

1949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가 설립되면서 USAFE의 책임이 커졌다.이에 따라 제17공군은 1953년 4월 17일 창설돼 1953년 4월 25일 모로코 라바트에서 창설됐다.제316항공사단은 제17AF기단의 일부였고 코크 숲의 프랑스 공군기지 건너편 세일 밖 사이트 11에 본부를 두고 있었다.17공군은 북아프리카, 포르투갈, 오스트리아, 중동, 파키스탄, 인도, 실론, 지중해 섬 전역에서 작전을 수행했다.제17공군은 존속 기간 내내 유럽의 미 공군에만 배속되어 있었다.

17공군은 1956년 8월 1일 이탈리아, 그리스, 터키로 사령부가 확장됨에 따라 리비아의 휠러스 공군 기지로 이전되었다.사령부는 1959년 중부 유럽에서의 방어 및 공격 공중 임무에 대한 지원 임무를 교환했다.

그 후 1959년 11월 본사는 서독의 람슈타인 AB로 이전했다.람슈타인에서는 제17공군이 중부 유럽에서의 방어 및 공격 공중 임무를 위해 남부 지역에서 지원 임무를 교환했다.사령부의 재고에는 서독, 프랑스, 네덜란드, 이탈리아의 기지에서 운용되는 500대 이상의 전술기와 150대 이상의 지원 항공기가 포함되어 있었다.1961년 베를린 사태와 USFE 본부 개편 이후 17개 AF가 제3공군으로부터 영국의 5개 기지를 책임졌다.

1972년 USAFE 재편성 기간 동안 CINCUSAFE는 본부를 린지 공군기지에서 람슈타인 공군기지로 독일 전역에 이전했다.USAFE 본부를 수용하기 위해 1972년 10월 17대의 AF가 서독 셈바흐 공군기지로 이전했다.

1980년대에 17공군은 예하 부대의 수가 거의 두 배가 되었다.그 책임 영역에는 유럽의 지상 발사 순항 미사일 기지 3곳이 포함되어 있었다.1985년 17공군은 사상 처음으로 유럽 기반의 모든 전자전 항공기를 하나의 지휘 하에 통합하면서 65공군사단66전자전투비행단을 셈바흐 [7]공군기지에 창설했다.이 장치들은 모두 1990년대 초에 비활성화되었다.

한, 비트부르크, 비스바덴, 츠바이브뤼켄의 공군기지는 USAFE에 의해 폐쇄되었고 1993년까지 독일 정부에 넘겨졌다.라인-마인은 2005년 말에 문을 닫았고 물류 임무는 람슈타인과 스팡달렘으로 이관되었다.

제17공군은 냉전 이후 병력 감소로 1996년 9월 30일 발효되었다.

1989년 구조

1989년 6월 독일 상공을 비행한 제480전투비행대대F-4G 팬텀II Wild Weasel과 52전투비행단장F-16C 블록25 팔콘.

냉전이 끝날 무렵, 제17공군은 다음과 같은 부대로 구성되었고, 바르샤바 조약과의 전쟁이 일어나면 제4동맹 전술 공군 휘하에 놓이게 된다.

AFRICOM 아래

2008년 9월 12일 독일 라인란트팔츠주 카이저슬라우테른 [16]서쪽에 위치한 람슈타인 공군기지에 본부를 두고 제17공군이 재활성화될 것이라고 발표했다.그것은 미국 아프리카 사령부의 일부를 구성하기 위해서였다.론 래드니어 소장의 지휘 아래 2008년 9월 18일 입성식이 열렸다.그것은 2008년 10월 1일 공군에 의해 공식적으로 재활성화 되었다.이 자격으로, 유럽의 미국 공군에 종속되었고, 구성 요소 이름으로 다음과 같이 불린다.공군 아프리카(AFAFRICA)

공군 아프리카는 아프리카 대륙의 항공 안전, 안보 및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지속적인 안보 참여와 작전을 수행한다.아프리카 공군은 전장보안협력(TSC) 행사를 통해 아프리카 연합 및 지역 단체 및 대륙의 개별 국가들과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모색하는 미 아프리카 사령부의 정책을 수행하고 있다.제409항공원정단은 에티오피아 아르바 민치를 포함한 무인기 정찰과 타격 작전을 감독했다.AFAFRICA는 국무부 미국 국제개발청과 협력하여 아프리카 국가들이 안보와 안정을 촉진하고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국가 및 지역 안보 기관을 개발하는 것을 지원합니다.

AFAFRICA는 적어도 두 개의 항공 원정 그룹을 포함합니다.제449항공원정단, 캠프 레몬니에, 지부티는 연합 합동 태스크포스 - 아프리카의 뿔에 대한 전투 탐색과 구조를 제공한다.제81원정구조대대HC-130P와 제82원정구조대대의 파라세이로 구성돼 있다.제404항공원정단은 AFAFRICA와 함께 람슈타인에 위치하고 있다.만일의 사태에 대비한 작전 동안, 이 그룹은 인도주의적 공수에서 대통령 지원까지 대륙의 다양한 임무에 대한 항공 및 지원 작전을 촉진하기 위해 전진 배치한다.404 AEG는 2009년 1월 다르푸르 유엔 아프리카연합 임무를 지원하기 위해 평화유지장비를 공수하기 위해 르완다에 배치됐다.2009년 7월, 404 AEG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방문을 위한 전방 통신, 조기 경고 및 항공 도메인 안전 및 보안 요소와 함께 항공 항만 및 항공기 정비 팀을 제공하기 위해 가나에 배치했다.

2010년 6월, 마가렛 H 준장. 우드워드는 17공군을 [17][18]지휘했다.17공군은 전체 작전 지휘권이 [18]나토에 이양되기 전 2011년 리비아 군사개입 작전 '오딧세이 던'을 지휘했다.

2010년 1월 13일 현재, 공군 장관 마이클 돈리는 제617기 AOC가 603d 항공 우주 운영 센터와 통합될 것이라고 발표했다(AFA 보도에 따르면).

제17공군은 공군 비용 [19]절감 노력의 일환으로 2012년 4월에 해체되었다.유럽의 미국 공군(United Air Forces in Europe, USFE)은 17공군의 전 참모 기능을, 제3공군603d 항공우주작전센터(603 AOC)는 USAFICOM 항공 [20]운영을 담당했으며, 603 AOC는 617 AOC를 흡수했다.

2012년 5월부터 2018년 [6]7월까지 제17원정공군으로 재지정되어 재활성화되었으며, 유럽의 미국 공군 - 아프리카 공군으로 배정되었다.

계보

  • 1953년 4월 17일 제17공군 창설
1953년 4월 25일 조직
1996년 9월 30일 비활성화
  • 2008년 10월 1일 재활성화
2008년 10월 1일, 공군 아프리카 연합 명칭 인수
2012년 4월 24일 비활성화
  • 제17원정공군 재지정 및 2012년 5월 21일 재활성화
2018년 7월 19일 비활성화

과제들

  • 유럽 주둔 미국 공군, 1953년 4월 25일 - 1996년 9월 30일
  • 미국 공군 아프리카, 2008년 10월 1일 - 2012년 4월 24일
  • 유럽 주둔 미국 공군 - 아프리카 공군, 2012년 5월 21일 - 2018년 7월 19일

구성 요소들

디비전

1985년 6월 1일 ~ 1991년 6월 30일
1985년 6월 14일 ~ 1991년 5월 1일
1959년 8월 7일 ~ 11월 15일

날개.

스테이션

레퍼런스

  1. ^ a b "Third Air Force".
  2. ^ 공식: AfriCom에는 공군 항공기 – 공군 뉴스, 이라크 뉴스공군 타임스 및 http://armedservices.house.gov/pdfs/FC031308/Craddock_Testimony031308.pdf가 필요합니다.
  3. ^ 17공군, 3년동안 바쁘게 지내다 해체, 성조기
  4. ^ 제17공군은 퇴역하여 아프리카 임무를 USFE에 인계, 2012년 4월 24일
  5. ^ "Third Air Force". www.usafe.af.mil. Retrieved 11 March 2022. As U.S. Air Forces in Europe and Air Forces Africa’s only numbered air force...
  6. ^ a b "United States Air Forces in Europe (USAF)". Air Force Historical Research Agency. 20 January 2021. Retrieved 27 March 2022.
  7. ^ "Factsheets : 66 Air Base Wing (AFMC)". www.afhra.af.mi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May 2011.
  8. ^ "Factsheet 65 Air Division (Defense)". Air Force Historical Research Agency. 5 October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October 2012. Retrieved 2 April 2014.
  9. ^ "52 Fighter Wing (USAFE) Fact Sheet". US Air Force Historical Research Agency. Retrieved 1 November 2016.
  10. ^ "377 Air Base Wing (AFMC) Fact Sheet". US Air Force Historical Research Agency. Retrieved 1 November 2016.
  11. ^ "36 Wing (PACAF) Fact Sheet". US Air Force Historical Research Agency. Retrieved 1 November 2016.
  12. ^ "50 Space Wing (AFSPC) Fact Sheet". US Air Force Historical Research Agency. Retrieved 1 November 2016.
  13. ^ "38 Combat Support Wing (USAFE) Fact Sheet". US Air Force Historical Research Agency. Retrieved 1 November 2016.
  14. ^ 드래곤, 193세
  15. ^ "4 Air Support Operations Group (USAFE) Fact Sheet". US Air Force Historical Research Agency. Retrieved 1 November 2016.
  16. ^ 17공군, 10월 1일 준비 완료
  17. ^ "MAJOR GENERAL MARGARET H. WOODWARD". US Air For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May 2011. Retrieved 23 April 2011.
  18. ^ a b Thompson, Mark (April 2011). "Air Boss". Time Magazine (18 April): 28.
  19. ^ "17th Air Force stands down, AFAFRICA mission carries on". U.S. Air Forces in Europe Public Affairs. Retrieved 1 May 2012.
  20. ^ "17th Air Force inactivated after 3½ busy years".

Public Domain 문서는 공군역사연구국 웹사이트 https://www.afhra.af.mil/의 퍼블릭 도메인 자료를 통합한 것이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