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코 시카크 반란(1926년)
Simko Shikak revolt (1926)제2차 심코 시카크의 난 | |||||||
---|---|---|---|---|---|---|---|
이란의 쿠르드 분리주의 일부 | |||||||
| |||||||
교전국 | |||||||
시카크족 헤르키 부족민 베자데 부족민 | ![]() | ||||||
지휘관 및 리더 | |||||||
심코 시카크 하지 아그하 | 레자 샤 |
1926년 심코 시카크 반란은 1926년 시아크 부족의 쿠르드 족장 심코 시카크가 이끄는 이란의 팔라비 왕조에 대한 짧은 기간의 쿠르드 폭동을 말한다.
배경
1919년 심코 시카크는 이란 정부에 대한 외국의 지원을 받는 첫 반란을 일으켰다.그의 탐험은 지역 약탈과 아시리아인, 알레비스 그리고 심지어 쿠르드 부족들의 대량 학살로 귀결되었다.3년간의 반란 끝에 그는 패배했지만 1924년 레자 칸은 그를 사면했고 그는 [1]망명지에서 이란으로 돌아왔다.1925년 레자 칸이 레자 샤가 되었을 때, 심코는 그와 이란 [2]국가에 영원한 충성을 맹세했다.그러나 다음 해 심코는 헤르키의 하지 아그하와 [1][2]베그자데 부족장들과 동맹을 맺고 그의 부족의 지배권을 되찾고 또 다른 [3]반란을 일으켰다.
반란
1926년 10월[4] 살마스(일명 살마스)에서 짧은 군사적 대립이 시작되었다.딜만 또는 샤푸르)에서 반군이 도시를 [2]포위하기 시작했다.곧이어 우르미아, 샤라프카네, 코이에서 이란군이 파견되어 반군과 교전하고 이들을 [2]격퇴했다.교전 중 심코의 시카크군의 절반은 부족의 이전 지도자로 망명했고 심코 자신은 의무 [1][3]이라크로 피신했다.
여파
1926년 쿠르드족에서 또 다른 관련없는 쿠르드족 반란이 일어났다.[5]1920년대 후반 쿠르드족 폭동과 계절적 이주는 테헤란과 앙카라 사이의 장기간의 긴장과 함께 국경 충돌과 심지어 이란과 터키 [6]영토에 군사 침투를 초래했다.1930년 하산 무카담 이란군 사령관은 바르잔 마을에 살고 있던 심코에게 편지를 보내 오슈나비예 마을에서 그를 회의에 초대했다.친구들과 상의한 후, 심코는 코르시드 아그하르키와 함께 오슈나비예로 가서 현지 육군 사령관 노루지 대령의 집으로 초대되어 이란 장군을 기다리라는 말을 들었다.노루지 대령은 심코에게 장군의 도착을 환영하기 위해 마을 외곽으로 가라고 설득했다.그러나 이것은 함정이었고 심코는 1930년 [2]6월 30일 저녁에 매복하여 살해되었다.
심코의 반란은 [2]지역 전체에 걸쳐 중앙정부에 대한 그의 개인적 권위를 확립하기 위한 강력한 부족장의 시도로 여겨진다.비록 쿠르드 민족주의의 요소들이 이 운동에 존재했지만, 역사가들은 쿠르드족 정체성의 인정이 심코 [2]운동의 주요 쟁점이라는 주장을 정당화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명확하지 않다는 데 동의한다.그것은 어떤 종류의 행정 조직도 부족했고 심코는 [2]약탈에 주로 관심이 있었다.정부군과 비쿠르드인들만이 피해를 본 것이 아니라 쿠르드 주민들도 강탈당해 [2]폭행을 당했다.심코의 부하들은 쿠르드족에 [2]대한 일체감이나 연대감을 느끼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한편, 레자 샤가 심코와 투르크 부족 지도자들에 대한 군사적 승리는 비이란계 [2]소수민족에 대한 억압적인 시대에서 시작되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a b c d Bruinessen, Martin (2006). "Chapter 5: A Kurdish warlord on the Turkish-Persian frontier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sma'il Aqa Simko". In Atabaki, Touraj (ed.). Iran and the First World War: Battleground of the Great Powers. Library of modern Middle East studies, 43. London; New York: I.B. Tauris. p. 21. ISBN 9781860649646. OCLC 56455579.
- ^ a b c d e f g h i j k 참조:
* Entessar, Nader (2010). Kurdish Politics in the Middle East. Lanham: Lexington Books. p. 17. ISBN 9780739140390. OCLC 430736528.
* Kreyenbroek, Philip G.; Sperl, Stefan (1992). The Kurds: A Contemporary Overview. London; New York: Routledge. pp. 138–139. ISBN 9780415072656. OCLC 24247652. - ^ a b Smith, Benjamin (2009). "Land and Rebellion: Kurdish Separatism in Comparative Perspective" (PDF). Working Paper: 11.
- ^ McDowall, David (2004-05-14). A Modern History of the Kurds. I.B.Tauris. p. 221. ISBN 9781850434160.
- ^ Arfa, Hassan (1966). The Kurds: An Historical and Political Study.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p. 64. OCLC 463216238.
- ^ Schofield, Richard N. (15 December 1989). Boundaries v. With Turkey. Encyclopædia Iranica. New York: Columbia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