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6년 데이비스컵
1976 Davis Cup1976년 데이비스컵은 남자 테니스의 국가대표팀 간 가장 중요한 대회인 데이비스컵 65번째 대회였다. 58개 팀이 참가하며 유럽 존 32개 팀, 아메리카 존 14개 팀, 동부 존 12개 팀이 참가한다. 올해 대회에서는 아메리카 존의 모든 팀이 하나의 단일팀으로 경합을 벌였는데, 이전의 북미와 남미 서브존과 그에 따른 미주 지역 간 결승전은 탈락했다. 이로써 전년도 아메리카 서브존 챔피언들이 새로운 아메리카 본선 무승부 준결승에 진출하면서 다른 지역의 윤곽에 맞춰 아메리카존이 나오게 되었다.
칠레는 아메리카 존 결승에서 남아공을, 호주는 동부 존 결승에서 뉴질랜드를, 소련과 이탈리아는 헝가리와 대영제국을 각각 물리치며 두 유럽 존의 승자가 되었다.
인터존(Inter-Zonal Zone)에서는 이탈리아가 첫 준결승에서 호주를 이겼고, 2차 준결승에서는 칠레의 독재자 아우구스토 피노체트의 인권 침해에 반대하여 소련에 이어 디폴트 승자로 선언되었다.[1] 12월 17~19일 칠레 산티아고의 에스타디오 나시오날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이탈리아는 칠레를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고 데이비스컵에서 7번째 우승국이 되었다.[2][3]
아메리카 존
예선전
메인 드로잉
파이널
칠레 vs. 남아프리카 공화국
이스턴 존
예선전
메인 드로잉
파이널
호주 vs. 뉴질랜드
유럽 존
A 구역
프리퀄라이징 라운드
예선전
메인 드로잉
파이널
소련 vs. 헝가리
B구역
사전 자격 부여 라운드
예선전
메인 드로잉
파이널
대영제국 vs. 이탈리아
영역간 구역
그리다
준결승
이탈리아 vs. 호주.
칠레 vs. 소비에트 연방
소련이 아우구스토 피노체트의 군사독재에 반대한다는 이유로 칠레 방문을 거부하면서 경기는 스크래치됐고 칠레는 결승에 진출했다.[1][9] 이후 소련 팀은 1977년과 1978년 대회에 출전할 수 없게 되었다.
파이널
칠레 vs. 이탈리아
참조
- ^ Jump up to: a b "Soviets barred from Davis Cup". The Daily Sentinel. United Press International. 8 November 1976. Retrieved 20 October 2019.
- ^ Bud Collins (2010). The Bud Collins History of Tennis (2nd ed.). [New York]: New Chapter Press. pp. 495–496, 499. ISBN 978-0942257700.
- ^ Jump up to: a b "Chile v Italy". daviscup.com.
- ^ "Chile v South Africa". daviscup.com.
- ^ "Australia v New Zealand". daviscup.com.
- ^ "Soviet Union v Hungary". daviscup.com.
- ^ "Great Britain v Italy". daviscup.com.
- ^ "Italy v Australia". daviscup.com.
- ^ "Chile v Soviet Union". daviscu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