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9년 NBA 결승전
1979 NBA Finals
| ||||||||||
날짜 | 5월 20일6월 1일 | |||||||||
---|---|---|---|---|---|---|---|---|---|---|
MVP | 데니스 존슨 (시애틀 슈퍼소닉) | |||||||||
명예의 전당 | 슈퍼소닉: 데니스 존슨 (2010) 잭 식마(2019년) 글머리 기호: 밥 댄드리지(2021년) 엘빈 헤이스 (1990년) 웨스 언슬드 (1988) 코치: 레니 윌켄스 (1998년) 관계자: 대럴 개럿슨 (2016년) | |||||||||
동부 결승전 | 스퍼스를 격파한 총알, 4-3 | |||||||||
웨스턴 파이널 | 슈퍼소닉스가 쑨스를 4-3으로 꺾었다. | |||||||||
1979년 NBA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는 미국프로농구(NBA)의 1978-79 시즌이 끝날 때 치러진 챔피언십 시리즈였다. 서부 콘퍼런스 챔피언 시애틀 슈퍼소닉스는 정규 시즌 성적 향상으로 인해 동부 콘퍼런스 챔피언인 워싱턴 총알스(Washington Bullets)와 홈 코트에서의 우위를 점했다. 슈퍼소닉스는 총알을 4대 1로 물리쳤다. 이 시리즈는 1978년 NBA 파이널을 재대결한 것으로, 워싱턴 실탄이 4 대 3으로 이겼다.
슈퍼소닉스의 데니스 존슨이 NBA 파이널 MVP로 선정됐고, 슈퍼소닉스의 거스 윌리엄스가 경기당 평균 28.6점을 기록하며 득점왕에 올랐다.
이는 1917년 스탠리컵 결승전에서 시애틀 메트로폴리탄스가 우승한 데 이어 시애틀의 두 번째 남자 프로 스포츠 대회였다.
1978년과 1979년 NBA 결승 모두 비공식적으로 "조지 워싱턴 시리즈"로 불렸다. 왜냐하면 두 팀 모두 미국의 초대 대통령의 이름을 딴 장소에서 경기를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슈퍼소닉스는 메릴랜드주 랜드오버에서 경기를 했지만, 총알은 워싱턴을 상징했고, 총알은 워싱턴 D.C.를 상징했다.)
이것은 텍사스나 캘리포니아에 기반을 두지 않은 서부 컨퍼런스 팀이 NBA 우승을 차지한 가장 최근의 일이고, 현재의 노스웨스트 디비전 소속 팀이 리그 우승을 차지한 1976-77 포틀랜드 트레일 블레이저스와 함께 단 두 번의 대회 중 마지막 두 번의 대회로, 이것은 모든 부문에서 27년 동안 가장 긴 리그 우승 가뭄이다. 북미 4대 스포츠 리그 중. (2006 인디애나폴리스 콜츠) 이후, 다음 서양 팀들은 계속해서 NBA 타이틀을 따냈다: 로스엔젤레스 레이커스 (엘레븐), 샌안토니오 스퍼스 (5회), 골든 스테이트 워리어스 (3회), 휴스턴 로키츠 (2회), 댈러스 매버릭스 (1회). 1980년 이후 남은 21개의 타이틀은 동부 컨퍼런스 팀들이 차지했다.[note 2]
배경
이것은 1978년 NBA 파이널을 재대결한 것인데, 이 경기는 실탄이 4-3으로 이겼다. 시애틀은 뉴욕 닉스에 로니 셸턴을 위해 마빈 웹스터를 보내는 비시즌 핵심 트레이드를 했다. 그 외 양 팀의 로스터는 사실상 온전했다. 두 팀 모두 지난해와 달리 NBA에서 1-2로 경기를 마쳤는데, 실탄이 54승으로 리그 1위를 차지했고, 소닉스는 52승으로 리그 1위를 차지했다. 플레이오프에서 시애틀은 LA 레이커스를 4-1로, 피닉스 선스를 4-3으로 꺾은 반면 워싱턴은 훨씬 더 험난한 길을 걸었고, 예상외로 힘든 7경기 시리즈에서 애틀랜타 호크스를 빼고 3-1의 적자에서 돌아와 7경기 만에 샌안토니오 스퍼스를 처치했다. 둘 다 1라운드 작별을 고했다.
텔레비전
결승전은 CBS 텔레비전(CBS 방송국의 NBA가 1973-90년 리그 경기를 중계했으며, 브렌트 머스버거가 아나운서를 맡았다. 1979년 결승전은 2, 3, 4차전이 빠진 전년도와 달리 전폭적으로 보존돼 왔다. (1978년을 제외하면 1975년 이후 모든 NBA 결승전은 완전히 보존됐다.)
파이널로 가는 길
시애틀 슈퍼소닉스(웨스턴 콘퍼런스 챔피언) | 워싱턴 실탄 (동부 콘퍼런스 챔피언) | ||||||||||||||||||||||||||||||||||||||||||||||||||||||||||||||||||||||||||||||||||||||||||||||||||||||||||||||||||||||||||||||||||||||||||||||||||||||||||||||||||||||||
---|---|---|---|---|---|---|---|---|---|---|---|---|---|---|---|---|---|---|---|---|---|---|---|---|---|---|---|---|---|---|---|---|---|---|---|---|---|---|---|---|---|---|---|---|---|---|---|---|---|---|---|---|---|---|---|---|---|---|---|---|---|---|---|---|---|---|---|---|---|---|---|---|---|---|---|---|---|---|---|---|---|---|---|---|---|---|---|---|---|---|---|---|---|---|---|---|---|---|---|---|---|---|---|---|---|---|---|---|---|---|---|---|---|---|---|---|---|---|---|---|---|---|---|---|---|---|---|---|---|---|---|---|---|---|---|---|---|---|---|---|---|---|---|---|---|---|---|---|---|---|---|---|---|---|---|---|---|---|---|---|---|---|---|---|---|---|---|---|---|
서부 1번 시드, 리그 2위 기록 | 정규 시즌 |
동양 1번 시드, 리그 최고 기록 | |||||||||||||||||||||||||||||||||||||||||||||||||||||||||||||||||||||||||||||||||||||||||||||||||||||||||||||||||||||||||||||||||||||||||||||||||||||||||||||||||||||||
1라운드 안녕 획득 | 퍼스트 라운드 | 1라운드 안녕 획득 |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를 4-1로 꺾었다. | 컨퍼런스 준결승 | 애틀랜타 호크스를 4-3으로 물리쳤다. | |||||||||||||||||||||||||||||||||||||||||||||||||||||||||||||||||||||||||||||||||||||||||||||||||||||||||||||||||||||||||||||||||||||||||||||||||||||||||||||||||||||||
피닉스 썬즈(3)를 4-3으로 격파했다. | 컨퍼런스 파이널 | 샌안토니오 스퍼스를 4-3으로 물리쳤다. |
정규 시즌 시리즈
그 팀들은 정규 시즌에서 4연전을 치렀다.
시리즈 요약
게임 | 날짜 | 홈팀 | 결과 | 로드팀 |
---|---|---|---|---|
1차 게임 | 5월 20일 일요일 | 워싱 글런스 | 99–97 (1–0) | 시애틀 슈퍼소닉스 |
2차 게임 | 5월 24일 목요일 | 워싱 글런스 | 82–92 (1–1) | 시애틀 슈퍼소닉스 |
3차 게임 | 5월 27일 일요일 | 시애틀 슈퍼소닉스 | 105–95 (2–1) | 워싱 글런스 |
4차 게임 | 5월 29일 화요일 | 시애틀 슈퍼소닉스 | 114–112 (3–1) | 워싱 글런스 |
5차 게임 | 6월 1일 금요일 | 워싱 글런스 | 93–97 (1–4) | 시애틀 슈퍼소닉스 |
1차 게임
5월 20일 |
시애틀 슈퍼소닉스 97, 워싱턴 글머리 99 | ||
분기별 점수: 25–26, 25–33, 21–23, 26–17 | ||
Pts:구스 윌리엄스 32 렙스:존 존슨 11 애스트:데니스 존슨 7 | Pts:래리 라이트 26 Rebs:Wes Unseld 12 애스트:톰 헨더슨 6 | |
워싱턴이 시리즈를 1-0으로 앞서다 |
총알이 경기를 지배하며 4회 18로 앞서 나갔지만 시애틀은 맹렬한 반격을 가해 97로 비겼다. 벤치에서 26점을 내준 래리 라이트는 시간이 흐르자 바스켓으로 달려가 데니스 존슨에게 슈팅이 막혔지만 심판들은 존슨에게 파울을 선언했다. 라이트는 1초를 남기고 라인에 나가 파울 3개 중 2개(당시 NBA 룰이 페널티 파울 상황에서 추가 자유투 시도를 했다)를 쳐 승리했다.[2]
2차 게임
5월 24일 오후 9시 EDT |
시애틀 슈퍼소닉스 92, 워싱턴 실탄 82 | ||
분기별 점수: 28–23, 21–29, 19–14, 24–16 | ||
Pts:구스 윌리엄스 23 렙스:잭 식마 13 Asts:D. Johnson, J. Johnson 6개씩 | Pts:Bob Dandridge 21 렙스:엘빈 헤이스 14 아스트:밥 댄드리지 5 | |
1-1로 비긴 시리즈 |
엘빈 헤이스는 1쿼터 들어 11점을 기록했지만 시애틀이 후반 들어 실탄을 30점으로 잡고 수비를 한 단계 끌어올리면서 남은 9점 만점에 그쳤다.
볼티모어와 포틀랜드뿐만 아니라 경쟁팀의 두 대도시권 밖에서는 동부·태평양 11시 35분/오후 10시 35분부터 시작된 테이프 지연으로 경기가 상영되었다. 센트럴과 마운틴. 이는 CBS가 3시즌 동안 테이프에서 보여준 6번의 챔피언결정전 시리즈 경기 중 첫 번째 경기였다. 2년 뒤 챔피언결정전 6경기 중 4경기가 경쟁 구단의 장외에서 테이프 지연으로 중계됐다.
3차 게임
5월 27일 |
워싱턴 실탄 95, 시애틀 슈퍼소닉스 105 | ||
분기별 득점: 25–31, 19–24, 22–26, 29–24 | ||
Pts:Bob Dandridge 28 Rebs:Unseld, Hayes 14 각 아스트:밥 댄드리지 5 | Pts:구스 윌리엄스 31 렙스:식마17 애스트스:D. 존슨 9 | |
시애틀이 시리즈 2-1로 앞서다 |
시애틀이 이 경기를 지배했는데, 이것은 최종 마진이 가리키는 것만큼 가깝지 않았다. 거스 윌리엄스가 31득점, 잭 식마가 21득점, 17리바운드를 기록했고 데니스 존슨이 17득점 9리바운드 2개의 블로킹으로 멋진 만능 경기를 펼쳤다.
4차 게임
5월 29일 |
워싱턴 글머리 112, 시애틀 슈퍼소닉스 114(OT) | ||
분기별 득점: 16–24, 37–28, 28–32, 23–20, 연장: 8–10 | ||
Pts: 세 명의 선수 18 Rebs:해제 16 애스트:톰 헨더슨 8 | Pts:구스 윌리엄스 36 렙스:식마17 애스트스:존 존슨 13 | |
시애틀이 시리즈 3-1로 앞서다 |
[3] 소닉스는 OT 114–112에서 근소한 차이로 승리하며 거스 윌리엄스의 36점, 데니스 존슨의 32점에 뒤진 후반의 글렛스 컴백을 막았다. 윌리엄스와 존슨은 형편없는 슈팅으로 골머리를 앓는 등 시리즈 내내 글렌즈의 가드들을 압도했다. 존슨도 이날 경기에서 4블록이 나왔고 케빈 그레비와의 경기에서도 4초를 남기고 시애틀의 승리를 확정지었다.
5차 게임
6월 1일 |
시애틀 슈퍼소닉스 97, 워싱턴 글머리 93 | ||
분기별 득점: 19–30, 24–21, 23–18, 31–24 | ||
Pts:구스 윌리엄스 23 렙스:식마17 애스트스:존 존슨 6 | Pts:엘빈 헤이스 29 렙스:엘빈 헤이스 14 아스트:밥 댄드리지 7 | |
시애틀이 시리즈에서 4 대 1로 이기다. |
[4] 홈으로 돌아온 엘빈 헤이스는 전반전 20득점을 기록하며 뜨거운 활약을 펼쳤지만 선발 투수 톰 헨더슨과 케빈 그레비, 교체 투입된 선수들에 의한 장기간의 부진한 슈팅이 희생을 치렀다. 헤이스는 시애틀이 시리즈를 마무리하면서 후반전 승점 9점에 그쳤다.[5]
플레이어 통계
GP | 게임했다 | GS | 게임 시작 | 엠피지 | 게임당 분 수 |
FG% | 현장 골 백분율 | 3P% | 3점 현장 조사 비율 | FT% | 자유투율 |
RPG | 경기당 리바운드 수 | 에이피지 | 경기당 어시스트 | SPG | 게임당 도루 수 |
BPG | 게임당 블록 수 | PPG | 게임당 포인트 수 |
- 시애틀 슈퍼소닉스
플레이어 | GP | GS | 엠피지 | FG% | 3FG% | FT% | RPG | 에이피지 | SPG | BPG | PPG |
---|
- 워싱 글런스
플레이어 | GP | GS | 엠피지 | FG% | 3FG% | FT% | RPG | 에이피지 | SPG | BPG | PPG |
---|
팀 로스터
시애틀 슈퍼소닉스
플레이어스 | 코치 | ||||||||||||||||||||||||||||||||||||||||||||||||||||||||||||||||||||||||||||||||||||||||||||||||||
---|---|---|---|---|---|---|---|---|---|---|---|---|---|---|---|---|---|---|---|---|---|---|---|---|---|---|---|---|---|---|---|---|---|---|---|---|---|---|---|---|---|---|---|---|---|---|---|---|---|---|---|---|---|---|---|---|---|---|---|---|---|---|---|---|---|---|---|---|---|---|---|---|---|---|---|---|---|---|---|---|---|---|---|---|---|---|---|---|---|---|---|---|---|---|---|---|---|---|---|
|
|
워싱 글런스
플레이어스 | 코치 | |||||||||||||||||||||||||||||||||||||||||||||||||||||||||||||||||||||||||||||||||||||||||||
---|---|---|---|---|---|---|---|---|---|---|---|---|---|---|---|---|---|---|---|---|---|---|---|---|---|---|---|---|---|---|---|---|---|---|---|---|---|---|---|---|---|---|---|---|---|---|---|---|---|---|---|---|---|---|---|---|---|---|---|---|---|---|---|---|---|---|---|---|---|---|---|---|---|---|---|---|---|---|---|---|---|---|---|---|---|---|---|---|---|---|---|---|
|
|
참고 항목
메모들
참조
- ^ "Seattle SuperSonics at Washington Bullets Box Score, May 20, 1979".
- ^ "Bullets take Wright turn to victory". St Petersburg Times (page 21). 21 May 1979. Retrieved 28 January 2015.
- ^ "Washington Bullets at Seattle SuperSonics Box Score, May 29, 1979".
- ^ "Seattle SuperSonics at Washington Bullets Box Score, June 1, 1979".
- ^ "The 'fat lady sings' as Sonics lower final boom to rule the NBA". St Petersburg Times (page 23). 2 June 1979. Retrieved 28 January 2015.
- ^ "1978-79 Seattle SuperSonics Roster and Stats Basketball-Reference.com". Basketball-Reference.com. Retrieved 2018-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