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표:0°57'S 136°56'E/0.95°S 136.94°E/ -0.95; 136.94
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1996년 비악 대지진

1996 Biak earthquake
1996년 비악 대지진
1996 Biak earthquake is located in Papua (province)
1996 Biak earthquake
1996 Biak earthquake is located in Indonesia
1996 Biak earthquake
UTC 시간1996-02-17 05:59:30
ISC이벤트947787
USGS-ANSS컴캣
현지일자1996년 2월 17일 (1996-02-17)
현지시간14:59:30 WIT (인도네시아 동부 표준시)
매그니튜드8.2Mw
깊이20km (12mi)
진원지0°57'S 136°56'E/0.95°S 136.94°E/ -0.95; 136.94 [1]
유형스러스트[2]
총손상420만 달러
Max. 강약IX(폭력)
쓰나미7.7m(25ft)
사상자108명 사망, 423명 부상, 58명 실종, 10,000명의 이재민

1996년 비악 지진 또는 이리안 자야 지진은 인도네시아 비악섬 근처에서 2월 17일 14시 59분 30초에 발생한 지진입니다.뉴기니 해구에서 발생한 이번 지진모멘트 규모 8.2, 최대 메르칼리 진도 IX(Violent)를 기록했습니다.[4]생성된 쓰나미의 준비 높이는 7.7 미터 (25 피트)에 달했습니다.이 재앙으로 적어도 108명이 죽고 423명이 다치고 58명이 실종됐습니다.[5]이로 인해 5,043채의 가옥이 파손되거나 파괴되었고, 이후 또 다른 10,000채의 이재민이 발생했습니다.[5]코림에서는 187채의 가옥이 파괴되었습니다.[6]지진의 여파로 여러 나라와 단체들이 원조와 구호를 제공했습니다.

구조설정

상대적인 판 운동을 갖는 뉴기니 지역의 구조 지도

뉴기니호주판태평양판 사이의 충돌과 경사 수렴을 수용하는 미세판으로 둘러싸인 매우 복잡한 구조 체계 안에 있습니다.[7][8]북쪽에서는 캐롤라인 판과 북 비스마르크 판이 뉴기니 해구를 따라 버드헤드 판우드라크아래로 가라앉습니다.[9][10][11]지진은 해구 중앙부에서 발생했습니다.뉴기니의 서쪽 지역은 필리핀 해구와 반다 해판 사이의 수렴 경계를 따라 북쪽과 남쪽으로 평행한 섭입대가 있습니다.[12][11]서부 뉴기니의 중앙부에 있는 모케 판은 다양한 판들과 함께 여러 개의 경계를 가지고 있습니다.[13]의 동쪽 에서 남비스마르크 은 우들라크 판과 상호작용하고 솔로몬 해판은 우들라크 판 아래에서 섭입합니다.[9][11]그러나 이 지역에서 가장 큰 육지 판 경계는 우들라크 판과 호주 판 사이에 있습니다.[11]일반적으로 지진 이전에 주로 지진으로 간주되었지만, 뉴기니 해구의 이 지역은 1914년에 비슷한 규모의 지진을 경험했을지도 모릅니다.[14]

지진

초점 메커니즘은 섭입대 파열과 일치하는 얕은 각도의 역방향 고장을 나타냅니다.그것은 뉴기니 해구를 따라 길이 230 km (140 mi), 폭 100 km (62 mi)의 지역을 평균 4 m (13 ft)의 미끄러짐으로 파열시켰습니다.파열은 저중심에서 서쪽으로 180 km (110 mi)까지 전파된 후 동쪽으로 50 km (31 mi)까지 전파되었습니다.가장 큰 미끄러짐은 저중심 부근에서 ~12m (39피트) 였습니다.[14]여러 가지 초점 메커니즘과 함께 큰 여진이 그 지역을 강타했습니다.메인쇼크로 인해 주변의 지진 구조물이 활성화되었을 수 있습니다.여진은 본진에서 미끄러짐이 가장 많은 지역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습니다.[14]

쓰나미

텔레츠나미 관측[15][16]
위치 기록높이(m)
시오노미사키 0.96
일본 지치 1.03
다테야마 0.90
야, 미국 0.35
아닥, 미국 0.10
포트알버니, 캐나다 0.37
윈터 하버, 캐나다 0.15
크레센트 시티, 미국 0.18
샌타모니카, 미국 0.05

비악 서해안의 마도리에서는 7.7미터(25피트)의 상승이 측정되었고, 비악 북부의 코렘에서는 5.4미터(18피트)의 파도가 측정되었습니다.쓰나미는 야펜, 오위, 파이를 포함한 인근 섬들의 일부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이 섬들은 4-7m (13-23피트)의 파도가 측정되었습니다.[6][17][18]흔들림이 있은 지 약 5분 후, 인근 주민들은 비행기에서 나는 소리와 같은 유난히 큰 소리를 들었고, 이는 큰 파도가 다가오고 있다는 신호로 이해했습니다.결과적으로 지역 해안 주민들은 더 높은 지대로 도망쳤습니다.이 행동은 쓰나미로부터 많은 생명을 구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6]

쓰나미는 지진의 규모와 위치가 예상보다 컸습니다.국지적인 해저 산사태는 비악 서부의 강한 파도에 대한 그럴듯한 설명이었습니다.[19]이는 비악 서해안이 주요 쓰나미 발원지와 멀리 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쓰나미에 먼저 타격을 받은 것을 더욱 뒷받침해 주고 있습니다.이는 전통적인 얕은 지진파열 쓰나미와는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마도리 인근 지역에서 발생한 해저 산사태설에 더욱 신빙성을 주고 있습니다.최대 높이 부근에서 여러 차례 산사태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20][6]

잔상

국내 구호활동

지진 직후, 인도네시아 정부는 피해자들에게 쌀을 제공했습니다.[21]얼마 후, 정부, 군대, 적십자사는 피해자들을 대피시키고, 구호품을 나누어 주고, 주민 1,000명을 위한 대규모 부엌을 지었습니다.악천후와 높은 파도로 인해 배들이 구호물자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없었기 때문에 수송은 어려운 일이었습니다.여러 정부 부처의 구성원들과 국가 물류청이 참여한 팀은 36개의 텐트, 5,300개의 담요, 500kg의 의약품, 구급차, 양수기, 물통, 물, 의류, 식품, 등유 램프, 플라스틱 시트를 공수했습니다.[22]사회부는 나중에 15,486 달러의 식량과 34톤의 쌀 그리고 "다른 즉각적인 구호 물품들"을 더 전달했습니다.인도네시아 국민들은 음식과 건축 자재뿐만 아니라 미화 74,588 달러를 기부했습니다.인도네시아의 영부인은 8,000벌의 옷뿐만 아니라 현금으로 63,938달러를 기부했습니다.[23]

국제구호활동

UNDP는 담요, 플라스틱 시트, 그리고 음식을 위해 미화 2만 5천 달러를 기부했습니다.[23]호주는 55,555 달러를 긴급 구호 물품을 위해 기부했고 헬리콥터를 이용한 구호 활동에 드는 비용을 충당했습니다.[23]일본은 피해 상황을 파악하고 구호 활동을 돕기 위해 전문가 3명으로 구성된 팀에 8만 4천 달러를 기부했습니다.192,000 달러가 추가로 공수용 텐트, 물탱크, 발전기, 목공 키트, 의료 장비의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제공되었고, 지역 주민들이 구호 물품을 구입하는 것을 돕기 위해 200,000 달러가 추가로 제공되었습니다.[23]또한, 야마가타 현 정부는 9,346 달러를 벌었습니다.[23]USAID는 2명으로 구성된 평가단뿐만 아니라 주택(플라스틱 시트, 텐트, 담요)에 265,486달러를 기부했습니다.또 다른 미화 1만 달러는 구호 물품을 분배하는 것이었습니다.[23]아시아 의사 협회는 부상자들을 치료하는 것을 돕기 위해 3명의 의사 팀에게 물품과 도구를 제공했습니다.[23]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a b c ISC (2015), ISC-GEM Global Instrumental Earthquake Catalogue (1900–2009), Version 2.0, International Seismological Centr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November 2016, retrieved 15 February 2016
  2. ^ Okal, E.; Piatanesi, A.; Heinrich, P. (1999), "Tsunami detection by satellite altimetry" (PDF),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4 (B1): 611, Bibcode:1999JGR...104..599O, doi:10.1029/1998JB000018,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13 June 2010, retrieved 29 August 2010
  3. ^ USGS (4 September 2009), PAGER-CAT Earthquake Catalog, Version 2008_06.1,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July 2020, retrieved 8 November 2018
  4. ^ "Katalog Gempabumi Signifikan dan Dirasakan". bmkg.go.id. BMK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July 2021. Retrieved 11 August 2021.
  5. ^ a b "Hari Ini dalam Sejarah: Gempa dan Tsunami Terjang Irian Jaya, 108 Orang Meninggal". Kompas (in Indonesian). 17 February 20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August 2022. Retrieved 4 August 2022.
  6. ^ a b c d Imamura, Fumihiko; Subandono, D.; Watson, G.; Moore, A.; Takahashi, T.; Matsutomi, H.; Hidayat, R. (13 May 1997). "Irian Jaya earthquake and tsunami cause serious damage". Eos, Transactions American Geophysical Union. 78 (19): 197. Bibcode:1997EOSTr..78..197I. doi:10.1029/97EO00128.
  7. ^ Taylor, M. A. J.; Dmowska, R.; Rice, J. R., Comparison of Coulomb Shear Stress Changes from the Feb. 17, 1996 Biak Mw = 8.2 Event and a Subsequent Seismic Invers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July 2010, retrieved 29 August 2010
  8. ^ Koulali, A.; Tregoning, Paul; Mcclusky, Simon; Stanaway, Richard; Wallace, L.; Lister, Gordon (2015). "New Insights into the present-day kinematics of the central and western Papua New Guinea from GPS". Geophysical Journal International. 202 (2): 202. doi:10.1093/gji/ggv200.
  9. ^ a b Wallace, Laura M.; Stevens, Colleen; Silver, Eli; McCaffrey, Rob; Loratung, Wesley; Hasiata, Suvenia; Stanaway, Richard; Curley, Robert; Rosa, Robert; Taugaloidi, Jones (18 May 2004). "GPS and seismological constraints on active tectonics and arc-continent collision in Papua New Guinea: Implications for mechanics of microplate rotations in a plate boundary zone". J. Geophys. Res. 109 (109). Bibcode:2004JGRB..109.5404W. doi:10.1029/2003JB002481. Retrieved 2 August 2022.
  10. ^ Tregoning, Paul. "Plate kinematics in the western Pacific derived from geodetic observations" (PDF).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15 June 2022. Retrieved 2 August 2022.
  11. ^ a b c d Bird, P. (2003). "An updated digital model of plate boundaries". Geochem. Geophys. Geosyst. 4 (3): 1027. Bibcode:2003GGG.....4.1027B. doi:10.1029/2001GC000252. S2CID 9127133.
  12. ^ Kaymacki, Nuretdin; Decker, John; Orange, Dan; Teas, Philip; van Heiningen, Peter (September 2015). "Tectonic Characteristics and Evolution Banda Sea Region". International Conference and Exhibition, Melbourne, Australia 13–16 September 2015: 90. doi:10.1190/ice2015-2205090. S2CID 13107436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September 2022. Retrieved 2 August 2022.
  13. ^ Fawzy Ismullah Massinai, Muhammad; Resky Ariansyah, Muh; Trisartika Sirumpa, Riana; Altin Massinai, Muhammad (October 2020). "Relative present-day motion on Palu-Koro Fault". IOP Conference Series: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575 (575): 012185. Bibcode:2020E&ES..575a2185F. doi:10.1088/1755-1315/575/1/012185. S2CID 228963531.
  14. ^ a b c Henry, C.; Das, S. (2002), "The Mw 8.2, 17 February 1996 Biak, Indonesia, earthquake: Rupture history, aftershocks, and fault plane propertie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7 (B11): 2312, Bibcode:2002JGRB..107.2312H, doi:10.1029/2001JB000796
  15. ^ "Tsunami Newsletter, Vol. XXVIII, No. 2, July 1996, 35 p." (PDF). International Tsunami Information Center. International Tsunami Information Center.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5 August 2022. Retrieved 4 August 2022.
  16. ^ Stephenson, Frederick E.; Rabinovich, Alexander B. (February 2009). "Tsunamis on the Pacific Coast of Canada Recorded in 1994–2007". Pure and Applied Geophysics. 166 (1–2): 177–210. Bibcode:2009PApGe.166..177S. doi:10.1007/s00024-008-0440-7. S2CID 1401819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September 2022. Retrieved 5 August 2022.
  17. ^ Julius, Admiral Musa; Daryono (2021). "Overview of 1990s deadly tsunamis in Indonesia". E3S Web of Conferences. 331 (331): 7001. Bibcode:2021E3SWC.33107001J. doi:10.1051/e3sconf/202133107001. S2CID 245171123.
  18. ^ Prawiradisastra, Suryana; Santoso, Eko Widi (1997). "Identifikasi Gempa Biak 17 Pebruari 1996 sebagai Upaya Program Mitigasi Bencana". Alami: Jurnal Teknologi Reduksi Risiko Bencana (in Indonesian). 2 (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September 2022. Retrieved 4 August 2022.
  19. ^ Yudhicara, Yudhicara (2014). "Tsunami Characteristics along The Coast of Biak Island based on the 1996 Biak Tsunami Traces". Indonesian Journal on Geoscience. 7 (1). doi:10.17014/ijog.v7i1.13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August 2022. Retrieved 2 August 2022.
  20. ^ Matsutomi, H.; Shuto, N.; Imamura, F. (November 2001). "Field Survey of the 1996 Irian Jaya Earthquake Tsunami in Biak Island". Natural Hazards. 24 (3): 199–212. doi:10.1023/A:1012042222880. S2CID 12953766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September 2022. Retrieved 2 August 2022.
  21. ^ "Indonesia - Earthquake Information Report No.1". reliefweb. UN DH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August 2022. Retrieved 3 August 2022.
  22. ^ "Indonesia - Earthquake Information Report No.2". reliefweb. UN DH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August 2022. Retrieved 3 August 2022.
  23. ^ a b c d e f g "Indonesia - Earthquake Information Report No.3". reliefweb. UN DH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August 2022. Retrieved 3 August 2022.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