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하이오 제1 보병 연대
1st Ohio Infantry Regiment![]() |
오하이오 제1 보병 연대 | |
---|---|
![]() 버지니아 비엔나에서 작전 중인 오하이오 제1보병연대 1861년 6월 17일 | |
활동적인 | 1861–64 |
나라 | ![]() |
얼리전스 | 유니온 |
나뭇가지 | 보병 |
유형 | 연대 |
크기 | 전쟁 초기 950명의 병사 |
계약 | 실로, 스톤스 리버, 치카마우가, 선교지, 애틀랜타 캠페인 |
지휘관 | |
주목할 만한 지휘관들 | 알렉산더 맥쿠크 |
오하이오 보병 제1연대는 남북전쟁 당시 연합군의 보병 연대였다. 그것은 서부극장에서 많은 캠페인과 전투에 사용되었다.
3개월 연대
1861년 봄에 남북전쟁이 발발하자,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은 거의 모든 주에서 7만 5천 명의 자원 봉사자들을 불렀다. 지난 4월, 모집자들은 오하이오주에서 몇 개의 연대가 오하이오 1호로 지정된 사령부를 포함하여 3개월 동안 입대하는 등, 신속하게 다수의 연대를 위한 쿼터를 채웠다. 1861년 4월 17일 알렉산더 맥쿠크 대령 휘하에서 제1기 오하이오 보병 연대는 7월까지 수도의 요새와 방어를 위해 워싱턴 D.C.로 기차를 타고 이동했다. 이 연대는 버지니아 북동부의 어빈 맥도웰 군대의 타일러 사단, 스헨크 여단에 배치되었다. 그것은 페어팩스 코트 하우스를 점령하기 전 6월 17일 버지니아 주 비엔나에서, 7월 9일에 다시 액션을 보았다. 그것은 제1차 불런 전투에서 싸웠고 워싱턴으로 가는 육군의 쓰라린 후퇴를 커버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그 연대는 곧 오하이오로 돌아와 8월 2일에 퇴각했다. 그 연대는 A-K 10개의 개별 회사로 나뉘어 있었다. 각 회사는 A-랜캐스터 B 라파예트 C 데이튼 D Montogomery E Cleveland F Violvian G Portsmouth H Zanesville I Mansfield K Jaskson 마을 밖으로 배치되었다.[1]
3년 연대
지난 8월 군복무 기간이 끝난 뒤, 많은 남성들이 대령 지휘 하에 재구성된 오하이오 보병 제1연대에 3년간 재입대했다. 벤자민 F. 스미스. 이 연대는 8월 5일부터 10월 30일 사이에 데이턴의 캠프 코윈에서 조직되어 사향과 유니폼, 악센트 등을 받았다. 8월 마지막 날, 연대는 추가 훈련과 경비 임무를 위해 신시내티로 진격했다. 이 연대는 1861년 11월 오하이오를 떠나 켄터키주 루이빌로 향했다. 거기서부터 1862년 2월까지 여러 켄터키 마을에 게시되어 연방의 국경 주(州)를 지키기 위해 노력했다.[2]
1862년 늦겨울에 오하이오 육군 제2사단 4여단 소속으로 실로의 돈 카를로스 부엘 휘하에 테네시에서 복무하고 있는 연대가 붙었다. 그곳에서 4월 7일 연대는 오전 10시경 교전이 시작되어 전사자 2명, 장교 2명, 부상자 45명, 실종자 1명을 잃었다. 실로에 이어 코린토스 포위전 당시 미시시피에서 복무한 연대는 6월 10일부터 7월 5일까지 투섬비, 플로렌스, 헌츠빌 앨라배마로 이동했다. 지난 8월 페리빌 전투에서 전투를 벌이며 군대가 브랙스턴 브래그 휘하의 남군을 추격하자 연대는 켄터키(루이스빌)로 돌아왔다. 그 후, 잘 여행한 연대는 10월과 11월에 테네시주 내슈빌까지 행진했다. 11월 서부군의 재편성과 윌리엄 로체크란스와의 부엘장군의 교체로 제1OVI는 컴벌랜드 육군 제3여단 2사단 우익4군단에 배속되었다. 그것은 내슈빌에서 12월 26일까지 머물렀다. 그 때 연대는 돌의 강 전투에서 절정을 이룬 짧은 캠페인을 위해 출발했다.
1863년 상당 기간 오하이오 제1보병대는 테네시에 주둔하여 고갈된 XX군단과 XXI군단의 잔해로부터 IV군단이 결성되는 10월까지 컴벌랜드의 제3여단, 제2사단, XXI군단에 배속되었다. 요압 A 소령의 지휘 아래. 스태포드, 그 연대는 치카마우가 전투에서 행동을 보였는데, 로체크란스의 군대는 참패했다. 그것은 군대의 일부로 녹스빌로 진군하여 연합군의 연합군 포위를 해제했다. 그러나 또 다른 군대의 재편성으로 인해 1864년 9월까지 오하이오 보병 제1보병은 제2여단, 제3사단, 제4군단, 컴벌랜드 육군에 배치되었다. 그것은 언덕 꼭대기에 색깔을 심은 최초의 연대였던 선교지 그랜트 휘하에서, 그리고 아틀란타 유세에서 셔먼과 싸웠다. 그 연대는 추락의 나머지 대부분을 테네시주에서 정찰 임무에 썼다.[3]
제1기 오하이오 의용 보병대는 3년간의 입대 기간이 만료된 1864년 9월 24일부터 10월 14일까지 연합군에서 퇴역했다. 다수의 신병들이 1864년 10월 31일 재입대하여 제18기 오하이오 의용 보병대에 전입하였고, 남북전쟁이 끝날 때까지 계속 근무하였다.[3]
이 연대는 복무 중 장교 5명과 사병 116명이 전사하고 중상을 입었으며 병으로 130명이 전사했다(총 251명 사망). 24차례의 전투와 교전을 벌였고, 전사자 527명을 잃었으며, 2,500마일을 행진했다. 전쟁이 끝난 후, 참전용사들은 실로 국립 군사 공원에 기념비를 세웠다. 이 연대는 또한 클리블랜드 시내의 공공 광장에 있는 군인과 해군 기념비에도 기념된다. 3개월과 3년 연대의 누더기가 된 전투 깃발(B사의 안내문, 라파예트 근위대)은 콜럼버스에 있는 오하이오 역사학회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3]
멕시코-미국 전쟁에는 또 다른 '제1차 오하이오 의용 보병'(민전 연대와 무관)이 존재했다. 여전히 같은 이름의 또 다른 연대는 1898년 4월 26일 스페인-미국 전쟁에서 임무를 위해 조직되었다.
1862년 위치 | 날짜 |
---|---|
내슈빌, 텐 | 2월 14일 – 3월 16일 |
덕 강 | 3월 16~31일 |
사바나, 텐 | 3월 31일~4월 6일 |
실로 전투, 덴. | 4월 6일-7일 |
코린트 전투입니다, 아가씨. | 4월 29일 – 5월 30일 |
코린트 | 5월 31일부터 6월 10일까지 |
플로렌스의 투섬비아와 알라의 헌츠빌. | 6월 10일부터 7월 5일까지 |
불레이 포크 | 7월 5일 – 8월 30일 |
루이빌 켄터키주 브래그 추격 | 8월 30일~10월 17일 |
내슈빌, 텐 | 10월 17일 – 12월 26일 |
머프리즈보로 | 12월 26~30일 |
스토브 강 전투 | 12월 30~31일 |
1863년 위치 | 날짜 |
---|---|
스톤 강 전투 | 1월 1~3일 |
머프리즈보로 | 1월 3일~6월 23일 |
미들 테네시 주 | 6월 23일 – 8월 16일 |
치카마우가 조지아 주 | 8월 16일~9월 22일 |
치카마우가 전투 | 9월 19~20일 |
텐, 채타누가의 포위 공격 | 9월 24일~10월 27일 |
재개장 테네시 강 | 10월 27~29일 |
채터누가-링골드 캠페인 | 10월 29일 – 11월 27일 |
녹스빌 구제의 행진곡 | 11월 28일 – 12월 8일 |
이스트 테네시 선거 운동 | 1863년 12월 – 1864년 1월 |
1864년 위치 | 날짜 |
---|---|
댄드리지 작전 | 1월 16-17일 |
이스트 테네시 주의 작전 | 1월 17일~4월 30일 |
록키 페이스 리지와 달튼 | 5월 8~13일 |
레사카 전투 | 5월 14-15일 |
아데르스빌 | 5월 17일 |
킹스턴 | 5월 18~19일 |
댈러스로 진격 | 5월 22~25일 |
댈러스와 뉴 호프 파인 힐의 전투 | 5월 25일 6월 5일 |
마리에타 작전 | 6월 10일 7월 2일 |
케네소 습격 사건 | 7월 4일 |
차타후치 강 | 7월 5일-17일 |
피치 트리 크릭 | 7월 19~20일 |
애틀랜타 공성전 | 7월 22~26일 |
참고 항목
메모들
- ^ "ohio volunteer infantry: the First thirtee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11-07. Retrieved 2018-11-01.
- ^ "Camp Corwin". 18 September 2021.
- ^ a b c d "UNION OHIO VOLUNTEERS". The Civil War. National Park Service.
참조
- Dyer, Frederick H (1908). A Compendium of the War of the Rebellion. Des Moines, IA: Dyer Pub. Co. ASIN B01BUFJ76Q.
- Ohio Roster Commission (1893). 1861 Three-Month Organizations — 1st–22ndth Regiments, Etc. Official Roster of the Soldiers of the State of Ohio in the War on the Rebellion, 1861–1865. Vol. I. Akron, OH: The Werner Company. p. 810. hdl:2027/mdp.39015004198746. OCLC 633556.
- Ohio Roster Commission (1886). 1st–20th Regiments-Infantry. Official Roster of the Soldiers of the State of Ohio in the War on the Rebellion, 1861–1865. Vol. II. Cincinnati, OH: Wilstach Baldwin & Co. p. 840. hdl:2027/mdp.39015004198787. OCLC 633556.
- Reid, Whitelaw (1868). The History of Her Regiments, and Other Military Organizations. Ohio in the War: Her Statesmen, Her Generals, and Soldiers. Vol. II. Cincinnati, OH: Moore, Wilstach, & Baldwin. p. 1002. ISBN 9781154801965. OCLC 11632330.
추가 읽기
- 커른, 알버트, 에드, 남북전쟁의 제1연대 오하이오 의용 보병의 역사 1861-1865. 오하이오 주 데이턴: 1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