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리그 2011

2011 K-League
현대오일뱅크
K리그
Hyundai Oilbank K-League 2011.png
계절2011
날짜정규 시즌:
2011년 3월 5일 – 10월 30일
선수권 대회:
2011년 11월 19일 – 12월 4일
챔피언스전북현대자동차
(제2회 타이틀)
챔피언스리그전북현대자동차
울산현대
포항 스틸러스
성남 일화 천마
매치 플레이246
득점669(경기당 2.72)
베스트 플레이어이동국
톱 골코어데얀 담야노비치
(23골)
최다 홈승포항 7-0 대전
(2011년 7월 9일)
가장 큰 원정 승리인천 2-6 전북
(2011년 4월 30일)
최고 점수서울 6-3 강원
(2011년 8월 27일)
최다승점7경기
FC 서울
최장 무패 주행성냥 20개
전북현대자동차
가장 긴 무승부 주행14경기
대전시민
최장 실점8경기
강원 FC
최다출석자51,606
서울 0-2 수원
(2011년 3월 6일)
최저출석자1,027
대구 2-3 부산
(2011년 7월 9일)
평균출석수11,634
2010
2012

공식적으로 현대오일뱅크 K리그 2011로 알려진 2011 K리그K리그 29번째 시즌이었다.현대오일뱅크가 후원했다.null

일반 정보

클럽 관리자 도시 스타디움 2010년 시즌
부산 아이파크 South Korea 안익수 부산 부산 아시아드 스타디움 8위
전남 드래곤즈 South Korea 정해성 광양시 광양축구전용경기장 10위
대구 FC South Korea 이영진 대구 대구종합운동장
대구시민운동장
15위
대전시민 South Korea 유상철 대전 대전월드컵경기장 13위
강원 FC South Korea 김상호 강릉
춘천
강릉종합운동장
춘천종합운동장
12위
광주 FC South Korea 최만희 광주 광주월드컵경기장
경남 FC South Korea 최진한 창원 창원축구센터 6위
인천 유나이티드 South Korea 허정무 인천 인천 문학경기장 11위
제주 유나이티드 South Korea 박경훈 서귀포시 제주월드컵경기장 준우승
전북현대자동차 South Korea 최강희 전주 전주월드컵경기장 3위
포항 스틸러스 South Korea 황선홍 포항 포항제철야당 9위
상주 상무 피닉스 South Korea 김태완 상주 상주시민운동장 14위
성남 일화 천마 South Korea 신태용 성남 탄천종합운동장 4위
FC 서울 South Korea 최용수 서울 서울월드컵경기장 챔피언스
수원 삼성 블루윙즈 South Korea 윤성효 수원 수원월드컵경기장 7위
울산현대 South Korea 김호곤 울산 울산문수축구장 5위

경영 변화

나가는 매너 날짜 들어오는 날짜 테이블
전남 드래곤즈 South Korea 박항서 체념됨 2010년 11월 5일 South Korea 정해성 2010년 11월 10일 프리시즌
부산 아이파크 South Korea 황선홍 계약종료 2010년 11월 9일 South Korea 안익수 2010년 12월 8일
포항 스틸러스 South Korea 박창현 관리인 2010년 11월 9일 South Korea 황선홍 2010년 11월 9일
FC 서울 Portugal 넬로 빈가다 체념됨 2010년 12월 12일 South Korea 황보관 2010년 12월 28일
강원 FC South Korea 최순호 체념됨 2011년[1] 4월 4일 South Korea 김상호 2011년 4월 4일 16일
FC 서울 South Korea 황보관 체념됨 2011년[2] 4월 26일 South Korea 최용수 2011년 4월 26일 14일
대전시민 South Korea 왕선재 자른 2011년 7월 4일 South Korea 유상철 2011년[3] 7월 17일 15일
상주 상무 피닉스 South Korea 이수철 체념됨 2011년 7월 11일 South Korea 김태완 2011년 7월 14일 13일

정규 시즌

리그 테이블

Pos Pld W D L GF GA GD Pts 자격
1 전북현대자동차 30 18 9 3 67 32 +35 63 K리그 플레이오프 결승 진출 예선
2 포항 스틸러스 30 17 8 5 59 33 +26 59 K리그 플레이오프 준결승 진출 자격
3 FC 서울 30 16 7 7 56 38 +18 55 K리그 플레이오프 1차 예선
4 수원 삼성 블루윙즈 30 17 4 9 51 33 +18 55
5 부산 아이파크 30 13 7 10 49 43 +6 46
6 울산현대 30 13 7 10 33 29 +4 46
7 전남 드래곤즈 30 11 10 9 33 29 +4 43
8 경남 FC 30 12 6 12 41 40 +1 42
9 제주 유나이티드 30 10 10 10 44 45 −1 40
10 성남 일화 천마 30 9 8 13 43 47 −4 35 챔피언스리그 조별리그[a] 예선
11 광주 FC 30 9 8 13 32 43 −11 35
12 대구 FC 30 8 9 13 35 46 −11 33
13 인천 유나이티드 30 6 14 10 31 40 −9 32
14 상주 상무 피닉스 30 7 8 15 36 53 −17 29
15 대전시민 30 6 9 15 31 59 −28 27
16 강원 FC 30 3 6 21 14 45 −31 15
출처: K리그
분류규칙 : 1)득점; 2)골차; 3)골득점
주의:
  1. ^ FA컵 챔피언 자격을 획득했다.

경기일별 포지션

팀 ╲ 라운드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
전북현대자동차1395995221211111111111111111111
포항 스틸러스853221112122222222222222222222
FC 서울151315111212141310791112991067643333334443
수원 삼성 블루윙즈1173424468101214117598986544443334
부산 아이파크111114151515131299678128655364466666565
울산현대111511131010111013141397711111298999109877656
전남 드래곤즈696887997545554443457755555787
경남 FC628479754688108121286778888999878
제주 유나이티드454668675354333334535677788999
성남 일화 천마81213101113151515151515151414151414151414131112131110101010
광주 FC3710121314121114111413111013131112121213141414121313111111
대구 FC108973488121311109131081011111112121311111211121212
인천 유나이티드1514121414111014111076665771010101010910101012131313
상주 상무 피닉스13155633343344691313131311111213141414141414
대전시민442113568121214131515141515141515151515151515151515
강원 FC131616161616161616161616161616161616161616161616161616161616
출처: K리그

결과.

홈 \ 어웨이 BIP JND DGU 디제이씨 GWN GWJ GNM ICU JJU JHM PHS SSP SIC SEO SSB USH
부산 아이파크 3–0 2–2 1–0 2–0 1–1 0–1 1–0 3–1 2–3 2–1 3–3 1–0 1–1 4–3 2–0
전남 드래곤즈 1–1 3–1 2–0 1–0 0–2 2–0 0–0 1–1 1–1 0–1 0–1 0–0 3–0 3–1 0–1
대구 FC 2–3 1–0 1–1 1–0 1–2 2–1 2–0 0–2 1–2 1–1 0–0 2–1 2–1 1–2 0–0
대전시민 1–3 4–4 2–2 1–0 1–0 2–0 1–2 0–0 2–3 0–0 1–3 0–2 1–1 1–3 1–0
강원 FC 1–0 1–1 1–0 0–3 0–1 0–1 1–3 2–4 0–3 0–2 2–0 1–1 0–2 0–1 1–2
광주 FC 2–2 0–0 3–2 2–1 2–0 0–2 0–1 2–2 1–1 0–1 0–0 2–0 1–0 0–1 0–0
경남 FC 3–2 1–2 3–0 7–1 0–0 1–0 2–1 1–1 1–3 2–3 0–1 2–2 0–3 0–2 1–0
인천 유나이티드 0–0 1–1 1–1 2–0 0–0 2–2 2–2 0–0 2–6 0–1 0–0 2–1 1–1 2–1 0–2
제주 유나이티드 2–1 0–1 3–0 3–3 1–0 2–1 2–3 2–1 0–0 1–3 3–3 2–1 0–3 3–2 1–2
전북현대자동차 5–2 0–1 2–2 0–0 1–0 6–1 2–0 4–2 3–2 3–1 5–1 2–0 2–2 0–0 1–0
포항 스틸러스 3–2 1–1 2–2 7–0 0–0 5–1 1–0 2–2 2–1 3–2 4–3 1–1 1–2 2–0 2–0
상주 상무 피닉스 1–2 0–1 1–2 0–0 0–0 2–0 1–3 2–0 1–1 0–3 1–3 1–3 3–4 1–0 1–2
성남 일화 천마 2–0 3–2 1–0 2–1 3–1 1–3 1–1 2–2 2–2 0–1 1–3 2–3 2–0 1–1 3–2
FC 서울 2–1 1–0 0–2 4–1 6–3 4–1 3–1 1–1 2–1 3–1 1–1 3–2 3–1 0–2 1–1
수원 삼성 블루윙즈 1–2 1–2 4–1 4–0 2–0 2–1 1–2 1–0 2–0 2–2 2–1 3–0 3–2 1–0 2–1
울산현대 1–0 2–0 2–1 1–2 1–0 2–1 0–0 1–1 0–1 0–0 2–1 3–1 3–2 1–2 1–1
출처: K리그
전설: 파랑 = 홈팀 승리, 노랑 = 무승부, 빨강 = 원정팀 승리.

챔피언십 플레이오프

브래킷

1라운드 2라운드 준결승 파이널
3 FC 서울 1 1 전북현대자동차 2 2 4
6 울산현대 3 2 포항 스틸러스 0 SF 울산현대 1 1 2
1R 울산현대(p) 1 (3) 2R 울산현대 1
1R 수원 삼성 블루윙즈 1 (1)
4 수원 삼성 블루윙즈 1
5 부산 아이파크 0

최종표

Pos 0 자격
1 전북현대자동차 (C) 챔피언스리그 조별리그 예선
2 울산현대
3 포항 스틸러스 챔피언스리그 플레이오프 예선
4 수원 삼성 블루윙즈
5 FC 서울
6 부산 아이파크
출처: RSSSF
(C) 챔피언

플레이어 통계

최고 점수 매기기

순위 플레이어 클럽 목표들
1 Montenegro 데얀 담야노비치 FC 서울 23
2 South Korea 이동국 전북현대자동차 16
3 South Korea 김정우 상주 상무 피닉스
성남 일화 천마
15
4 Brazil 주니오르 산투스 제주 유나이티드 14
5 Brazil 모타 포항 스틸러스 13
6 South Korea 김동찬 전북현대자동차 10
Colombia 모리시오 몰리나 FC 서울
8 South Korea 한상운 부산 아이파크 9
South Korea 임상협 부산 아이파크
South Korea 양동현 부산 아이파크
South Korea 고무열 포항 스틸러스
North Macedonia 스테비카 리스티치 수원 삼성 블루윙즈
South Korea 염기훈 수원 삼성 블루윙즈

상위 지원 제공업체

순위 플레이어 클럽 어시스트
1 South Korea 이동국 전북현대자동차 15
2 South Korea 염기훈 수원 삼성 블루윙즈 13
3 Colombia 모리시오 몰리나 FC 서울 12
4 South Korea 김은정 제주 유나이티드 8
Brazil 모타 포항 스틸러스
6 South Korea 한상운 부산 아이파크 7
Montenegro 데얀 담야노비치 FC 서울
South Korea 고명진 FC 서울
South Korea 최재수 울산현대
10 South Korea 윤빛가람 경남 FC 6
South Korea 윤일록 경남 FC
South Korea 배기종 제주 유나이티드
South Korea 황진성 포항 스틸러스

수상

주요상

위너 클럽
MVP[4] South Korea 이동국 전북현대자동차
톱 골코어[5] Montenegro 데얀 담야노비치 FC 서울
최고 지원 제공업체[5] South Korea 이동국 전북현대자동차
신인왕[4] South Korea 윤빛가람 경남 FC
팬타스틱 플레이어[4] South Korea 이동국 전북현대자동차
올해의 매니저[4] South Korea 최강희 전북현대자동차

베스트 XI

포지션 위너 클럽
골키퍼 South Korea 김영광 울산현대
디펜더스 South Korea 박원재 전북현대자동차
South Korea 조성환 전북현대자동차
South Korea 최철순 전북현대자동차
South Korea 곽태휘 울산현대
미드필더 South Korea 염기훈 수원 삼성 블루윙즈
South Korea 하대성 FC 서울
Brazil 에니뉴 전북현대자동차
South Korea 윤빛가람 경남 FC
앞으로 South Korea 이동국 전북현대자동차
Montenegro 데얀 담야노비치 FC 서울

출처:[4]

출석

동아리별출석

포스 Total High Low Average Change
1 FC 서울 447,397 51,606 9,797 27,962 −9.4%
2 수원 삼성 블루윙즈 400,073 44,537 13,004 23,534 −11.6%
3 전북현대자동차 259,790 33,554 8,334 16,237 +13.5%
4 울산현대 254,164 34,758 3,376 15,885 +104.0%
5 대전시민 213,653 32,340 4,771 14,244 +66.1%
6 포항 스틸러스 226,527 21,317 5,473 14,158 +26.7%
7 경남 FC 136,021 22,468 1,214 9,068 −27.5%
8 광주 FC 131,844 36,241 2,515 8,790 n/a
9 상주 상무 피닉스 126,594 16,400 3,245 8,440 +123.2%
10 인천 유나이티드 113,432 27,831 1,127 7,562 −11.8%
11 부산 아이파크 108,630 29,267 2,336 7,242 +64.9%
12 전남 드래곤즈 102,810 19,247 1,368 6,854 −42.9%
13 대구 FC 97,157 20,187 1,027 6,477 +31.0%
14 강원 FC 87,676 15,497 2,017 5,845 −38.7%
15 성남 일화 천마 86,952 12,131 2,893 5,797 +40.4%
16 제주 유나이티드 69,138 12,775 1,191 4,609 −14.7%
리그 합계 2,861,858 51,606 1,027 11,634 +6.3%

2011년 12월 4일 게임으로 업데이트
출처: K리그
주의:
K리그 첫 시즌.
* K리그 챔피언십 경기 포함.null

상위 일치 항목

순위 날짜 점수 멀리 장소 출석 매치데이 요일
1 2011년 3월 6일 FC 서울 0–2 수원 삼성 블루윙즈 서울월드컵경기장 51,606 1라운드 일요일
2 2011년 10월 3일 수원 삼성 블루윙즈 1–0 FC 서울 수원월드컵경기장 44,537 라운드 27 월요일
3 2011년 6월 11일 FC 서울 1–1 포항 스틸러스 서울월드컵경기장 44,358 13라운드 토요일
4 2011년 10월 23일 FC 서울 3–1 성남 일화 천마 서울월드컵경기장 42,909 라운드 29 일요일
5 2011년 5월 7일 수원 삼성 블루윙즈 1–2 전남 드래곤즈 수원월드컵경기장 38,068 9라운드 토요일
6 2011년 3월 5일 광주 FC 3–2 대구 FC 광주월드컵경기장 36,241 1라운드 토요일
7 2011년 3월 6일 울산현대 1–2 대전시민 울산문수축구장 34,758 1라운드 일요일
8 2011년 9월 18일 FC 서울 2–1 부산 아이파크 서울월드컵경기장 33,663 라운드 25 일요일
9 2011년 12월 4일 전북현대자동차 2–1 울산현대 전주월드컵경기장 33,554 최종 2차 레그 일요일
10 2011년 3월 12일 대전시민 1–1 FC 서울 대전월드컵경기장 32,340 2라운드 토요일

참고 항목

참조

  1. ^ "Choi quits as coach". FIFA. 4 April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November 2012. Retrieved 10 April 2011.
  2. ^ "Kwan quits as Seoul coach". FIFA. 26 April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November 2012. Retrieved 26 April 2011.
  3. ^ 대전 신임 감독에 유상철, 23일 홈서 데뷔전. Naver.com (in Korean). Osen. 17 July 2011. Retrieved 17 July 2011.
  4. ^ a b c d e [K리그]전북 이동국 2년 만에 MVP…신인왕은 이승기. Naver.com (in Korean). Newsis. 6 December 2011.
  5. ^ a b 2011년 K-리그 결산, 승부조작의 빛과 그림자 (in Korean). The Chosun Ilbo. 4 December 2011. Retrieved 15 May 202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