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종합운동장
Daegu Stadium블루 아크 | |
![]() 경기장 내부 전경 | |
![]() | |
풀네임 | 대구종합운동장 |
---|---|
이전 이름 | 대구월드컵경기장 |
위치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수성구 대흥동 504번지 |
소유자 | 대구광역시 |
연산자 | 대구체육시설관리소 |
역량 | 66,422 |
필드 크기 | 105 x 68 m (주행 트랙: 400m x 8차선, 100m x 9차선) |
표면 | 잔디, 타탄 트랙 |
건설 | |
부서진 땅 | 1997년 7월 29일 |
열린 | 2001년 6월 28일 |
공사비 | 2억6500만 달러 |
건축가 | 강철희, 아이디어이미지건축가연구소(IIIA) |
구조 엔지니어 | 하부 구조: [건축단상] 서울건축, 옥상: WS 앳킨스 |
일반 도급업자 | 삼성 |
세입자 | |
대구 FC(2003~2018년) |
대구종합운동장 | |
한글 | 대구스타디움 |
---|---|
한자 | 大邱스타디움 |
수정 로마자 표기법 | 대구 월두첩 검기장 |
매쿠네-라이샤워 | 대구월경경장 |
'[1]블루 아크'라고도 불리는 대구 스타디움은 대한민국 대구에 위치한 다목적 스포츠 경기장이다. 이전에는 대구월드컵경기장으로 명명되었으나 2008년 3월 5일 대구월드컵경기장으로 변경되었다. 6만6422명이 앉을 수 있고, 3,550대가 주차할 수 있다. 대구공항에서 차로 약 11km 또는 20분 거리에 위치해 있다. 대구체육시설관리센터에서 관리하고 있다.
2002년 FIFA 월드컵 개최지 중 하나이자 200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와[2] 2011년 세계육상선수권대회 주경기장이었다. 2018년까지 대구FC의 홈구장이었다.[3][4]
건설
이 공사는 2001년 5월 2억6500만 달러를 들여 완공되었다. 지붕은 국제 컨설팅 회사인 WS 앳킨스에 의해 설계되었다. 지붕은 2개 섹션으로 되어 있으며, 각각 28.7m 상승에 273m에 이르는 경사 트러스 강재 아치가 있고, 기둥을 긁어 지탱하는 둘레 두 번째 "아치"에서 13개의 2차 아치가 지지된다.[5] 총 지붕 강철 중량은 4,350 t이다. 루프 클래딩은 PTFE 코팅 유리 보강 천 캐노피입니다. 인장 지붕의 모델링(형식 조사) 및 분석은 텐시스가 수행했다.[6] 풍동 연구는 BMT Limited에 의해 지붕의 풍하중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02년 FIFA 월드컵
이 경기장은 2002년 FIFA 월드컵 기간 동안 한국에서 가장 큰 경기장이었다. 이 대회에서는 다음과 같은 경기가 열렸다.
날짜 | 팀 1 | 결과 | 팀 2 | 둥글다 |
---|---|---|---|---|
2002년 6월 6일 | ![]() | 1–1 | ![]() | A그룹 |
2002년 6월 8일 | ![]() | 0–1 | ![]() | B조 |
2002년 6월 10일 | ![]() | 1–1 | ![]() | D그룹 |
2002년 6월 29일 | 2–3 | ![]() | 3위 매치 |
이벤트
대구마라톤
대구월드컵경기장은 매년 4월에 대구마라톤을 개최한다.
콘서트
경기장은 2011년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이 주관한 제8회 아시아송페스티벌 행사장이기도 했다.[7]
참고 항목
참조
- ^ 2011-10-12년 회수된 웨이백 머신에 2009-01-27년 보관된 대구 스타디움
- ^ 제22회 하계 유니버시아드 2011-08-14년 검색된 웨이백 머신에 보관
- ^ (in Korean) K-League 대구 월드컵 경기장, 시민들을 위한 따뜻한 쉼터 – Dream stadium of K-League[permanent dead link]
- ^ (한국어) 대구FC 공식 홈페이지[permanent dead link] 검색 2011-10-12
- ^ 킥오프 준비 완료 2009-10-20
- ^ 건축 기록건축 유형 연구: 경기장: 대구 스타디움, 2009-10-20
- ^ 2011년 10월 10일 아시아 최대 팝 콘서트를 위해 대구에 모이는 조선일보 아시아 가수들. 검색된 2011-10-12
외부 링크
- 대구체육시설관리소 (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