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LD
2020 LD![]() | |
디스커버리[1] | |
---|---|
검색 대상 | ATLAS-MLO(T08) |
발견일자 | 2020년 6월 7일 |
지정 | |
2020년 LD | |
네오 · 아폴로[2] | |
궤도 특성[2] | |
Epoch 2020-6월-09(JD 2459009.5) | |
불확실성 매개변수 8 | |
관측호 | 11일 |
압헬리온 | 2.20 AU |
페리헬리온 | 0.242 |
1.22AU | |
편심성 | 0.801 |
1.35 yr | |
35.5° | |
기울기 | 3.44° |
73.25° | |
46.33° | |
어스 MOID | 0.0017 AU(25만 km) |
머큐리 MOID | 0.00139 AU(208,000km) |
비너스 MOID | 0.00148AU(221,000km) |
마스 MOID | 0.00336 AU(503,000km) |
목성 MOID | 2.92 AU (4억3700만 km) |
물리적 특성 | |
평균 지름 | 89~200m(CNEOS) ~140m(460ft) |
22.4±0.2[2] | |
2020년 LD는 아폴로 근방의 지구 소행성으로 지름이 약 140m(460피트)에 이른다. 소행성이 지구에서 0.03AU(약 450만 km; 12 LD) 정도 떨어져 있고 태양 연장이 154도였던 2020년 6월 7일에 발견되었다. 태양의 눈부신 빛은 2019년 11월부터 소행성의 접근을 가렸다.[3][a] 이 소행성은 2020년 6월 5일 0.002AU (30만 km, 0.78 LD)의 거리에서 지구에 가장 가까운 접근을 통과했다.[2] 근접 접근 거리는 현재 대략 ± 1000 km의 정확도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올해 달보다 더 가까이 지나간 가장 큰 소행성이며 아마도 2011년 11월 (308635) 2005 YU55 이후 가장 큰 소행성일 것이다.[b][c] 이 소행성은 수성, 금성, 지구, 화성에 가까이 접근한다.[2] 2020년 7월 18일까지 겉보기 등급 24보다 밝을 것이다.
6일간의 짧은 관측 호로 1918년 6월 소행성이 지구로부터 0.00008AU(1만2000km; 0.031 LD)를 지나거나 2024년 4월 금성에서 0.0001AU(1만5000km)를 통과할 가능성이 있었다.[4]
11일간의 관측 호와 함께, Sentry Risk Table은 2109년 6월 7일에 충돌할 확률 900만분의 1을 열거한다.[5]
(501647) 2014 SD224는 또 다른 비슷한 크기의 소행성으로, 올해 태양에 의해 가까이 접근하지 않을 것이다.
최근 달 내부를 지나는 100m 소행성
극소수의 소행성들만이 알려진 크기나 모양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소행성의 알베도(표면이 얼마나 반사되는가)는 종종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그 크기에 대한 일반적인 추정만 할 수 있다. 더 작은 반사 소행성은 더 작은 반사 소행성과 같은 절대 크기(H)를 가질 수 있다.
소행성 | 날짜 | 지구 거리를 두다 | H | JPL CNEOS 일반 직경 (iii) |
---|---|---|---|---|
2020년 LD | 2020-06-05 | 0.00205 AU(307,000km, 0.80 LD) | 22.4 | 89 – 200 |
2019년 OK | 2019-07-25 | 0.00048 AU(72,000km, 0.19 LD) | 23.3 | 58 – 130 |
2019년 OD | 2019-07-24 | 0.00239 AU(35만8000km, LD 0.93LD) | 23.4 | 56 – 120 |
2010년 WC9 | 2018-05-15 | 0.00136 AU(203,000km, 0.53 LD) | 23.6 | 51 – 110 |
2018년 GE3 | 2018-04-15 | 0.00129 AU(193,000km, 0.50 LD) | 23.8 | 46 – 100 |
2018년 AH | 2018-01-02 | 0.00199 AU(29만8000km, LD 0.77) | 22.5 | 84 – 190 |
2011년 XC2 | 2011-12-03 | 0.00232 AU(347,000km, 0.90 LD) | 23.2 | 61 – 140 |
참고 항목
메모들
- ^ 이 소행성은 2019년 11월 8일부터 2020년 6월 5일 07:27 UT까지 태양의 60도 이내에 있었다.
- ^ a b 2018 AH의 일반적 크기 추정치가 84–190m인 경우, 우리는 89–200m의 일반적 추정치에서 2020 LD가 더 큰지 확신할 수 없다. 보다 정확한 크기를 알기 위해서는 알베도를 알아야 한다(표면이 얼마나 반사적인지). 알베도는 절대 크기(H)와 결합되어 소행성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 가장 최근에 발견된 지구 가까이 있는 소행성의 지름은 일반적으로 소행성의 절대 크기(H)에 근거하여 약 2의 요인 내에서만 추정할 수 있다. 이를 근거로 지구로부터 달 거리 1개 미만의 거리를 통과한 유일한 대형 소행성은 (458732) 2011 MD5, (163132) 2002원 11, (152680) 1998 KJ9, 2017 VW13, 2002 JE9, 2012 TY52, (308635) 2005 YU55이다.
참조
- ^ "MPEC 2020-L35 : 2020 LD". IAU Minor Planet Center. 2020-06-09. Retrieved 2020-06-11. (K20L00D)
- ^ a b c d e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2020 LD)". Jet Propulsion Laborato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06-11. Retrieved 2020-06-11.
- ^ "2020LD Ephemerides for Nov 2019 – June 2020" (The SolEl column is the solar elongation). NEODyS (Near Earth Objects – Dynamic Site). Retrieved 2020-06-11.
- ^ JPL 5(6일 관측 호 포함)
- ^ "Earth Impact Risk Summary: 2020 LD". NASA/JPL Near-Earth Object Program Office. Retrieved 2020-06-18.(esa 임팩터 아카이브)
외부 링크
- 올해 가장 큰 소행성이 근접(발견되지 않은)을 통과했다.
- NeoDyS-2의 2020 LD, 근지구 물체—동적 사이트
- LD 2020 LD ESA-공간 상황 인식
- JPL 소형 본체 데이터베이스의 2020 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