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기갑군
6th Panzer Army제6기갑군 | |
---|---|
6. 기갑병 | |
![]() 제6기갑군 | |
나라 | ![]() |
분점 | 독일군(Wehrmacht) |
유형 | 판저 |
역할. | 기갑전 |
크기 | 군대 |
계약 | |
지휘관 | |
주목할 만한 지휘관 | 셉 디트리히 |
제6기갑군(독일: 6기갑군)은 1944년 가을에 창설된 독일 육군의 편성이다.제6기갑군은 벌지 전투 때 독일군의 최북단 공격부대로 처음 사용되었다.이후 1945년 초 헝가리로 이송되어 공격과 방어에 모두 동원되었다.제6기갑군의 마지막 전투는 오스트리아에서 벌어져 소련군의 전락을 막았다.군대의 잔당들은 결국 미군에 항복했다.1945년 초 SS-최고사령관 요제프 디트리히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우리는 스스로를 "6 기갑군"이라고 부릅니다. 왜냐하면 우리에겐 6개의 기갑군밖에 남지 않았으니까요.[1]
유닛 이력
제6기갑군은 벌지 전투 (1944년 12월 16일-1945년 1월 25일)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제6SS기갑군이라고 불리는 SS지명을 받은 적은 없지만,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군사사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는데, 이는 아마도 SS장성이 지휘하고 많은 SS부대를 지휘하거나 독일 국방군 제6군과 분리하기 위해서였을 것이다.
1944년 12월 6기갑군이 아르덴을 공격한 것은 몬쇼와 같은 지역에서 미군의 방어 노력으로 인해 미국의 방어선을 신속하게 뚫지 못했고 귀중한 시간을 허비했다.SS 기갑사단의 배치에도 불구하고, 6 기갑군은 미 8 군단의 북쪽 방어 구역으로 조금만 침투했을 뿐이었고,[3] 그 후 공세의 북쪽 측면에 도착한 미군 증원군에 의해 진격이 저지되었다.아르덴 공세 이후, 제6기갑군은 헝가리로 옮겨져 진격하는 소련군과 싸웠다.
1945년 3월, 부다페스트가 함락된 후, 제6기갑군은 발라톤 호수 주변에서 독일군의 마지막 공격 중 하나인 프뤼흘링저바첸 작전을 개시했다.이것은 독일군이 통제하는 마지막 석유원을 보호하기 위한 시도였다.공세는 작전상의 놀라움은 부족했지만, 소련 전선 사령관 표도르 톨부킨은 스타브카 톨부킨의 직접적인 명령으로 SS에 대한 최소한의 무력만을 사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4]3월 16일 제3우크라이나 전선은 대대적인 반격을 시작했고 요제프 괴벨스는 일기에서 실패 가능성이 높다고 인정했다.3일 후, 독일군은 원래 위치로 되돌아갔다.제1, 제2, 제9 및 제12 SS 기갑 사단은 1945년 [5]3월 15일까지 31대의 작전용 장갑 전투차로 축소되었고, 남부 집단군은 1945년 [6]3월 16일 현재 772대의 작전 탱크와 공격포를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독일군은 소련의 붉은 군대의 역습을 뚫고 오스트리아로 후퇴하여 빈을 지켰다.1945년 4월, 6 기갑군은 전진하는 소련으로부터 비엔나를 방어했지만, 소련의 도시 정복은 막을 수 없었다.1945년 5월 8일 전쟁이 끝났을 때, 제6기갑군은 오스트리아 빈과 린츠 사이에 있었고, 그 지역에서 소련과 미국 군대에 항복했다.
제6기갑군 편대의 항복(1945년 5월 7일 현재 전투명령) 출처 1: Rolf Stoves, Die gepanzerten und motorisierten 도이치 그로스퍼트 1935-1945 출처 2: 게오르크 테신, Verbénde und Truppen der Deutschen Wehrmacht und Waffen-SS 1939-1945 제3권 | |||
---|---|---|---|
구성 단위 | 항복일 | 반환 장소 | 어느 쪽인가 |
제1SS기갑사단 | 1945년 5월 9일 | 오스트리아, 슈타이어 | 미군 |
제2SS기갑사단 | 1945년 5월 9일 | 오스트리아 린츠 | 미군 |
제9SS기갑사단 | 1945년 5월 8일 | 오스트리아, 슈타이어 | 미군 |
제12 SS 기갑 사단 | 1945년 5월 8일 | 오스트리아, Enns 근처 | 미군 |
제37 SS 의용 기병 사단 | 1945년 5월 9일 | 오스트리아, 슈타이어 | 미군 |
총통 수류탄 투척 사단 | ? 1945년 5월 | 오스트리아 츠베틀 | 미군 |
제117 경보병 사단 | ? 1945년 5월 | 오스트리아, 슈타이어 | 미군 |
6 기갑 사단 | ? 1945년 5월 | 오스트리아 | 미군 |
제356보병사단 | ? 1945년 5월 | 오스트리아 비너-노이스타트 | 미군 |
제710보병사단 | ? 1945년 5월 | 오스트리아, 슈타이어 | 미군 |
제10 낙하산 사단 | ? 1945년 5월 | 체코슬로바키아 | 붉은 군대 |
제1산악여단(헝가리) | ? 1945년 5월 | 오스트리아 | 미군 |
후사르 1사단 (헝가리) | ? 1945년 5월 | 오스트리아 | 미국 육군과 붉은 군대 |
레퍼런스
- ^ Mitcham, Samuel W. (2006). Panzers in Winter: Hitler's Army and the Battle of the Bulge.
- ^ 브루스 쿼리, 아덴 공세 버진아일랜드 기갑부대, 21페이지, 보틀리:Osprey, 1999, ISBN 1-85532-853-4
- ^ Hugh M. Cole, The Ardenes: Battle of the Bulge, 669–670, 워싱턴: GPO, 1965.온라인으로 이용 가능
- ^ David Glantz, Then Titans Conflicts, 253쪽, 미국:1995년 캔자스 대학교 출판부
- ^ Thomas Jentz, Panzer Truppen, 2권, 247쪽, 펜실베니아 앳글렌:쉬퍼 퍼블리싱, 1996
- ^ Krisztiann Ungvarry, Das Deutsche Reich und der Zweite Weltkrieg, Vol.8, 페이지 945, München: 도이체 베르라크스-안슈타르트, 2007
추가 정보
- Trevor N. Dupuy; David L. Bongard; Richard C. Anderson Jr. (1994). Hitler's Last Gamble, The Battle of the Bulge, December 1944 – January 1945. Harper Collins. p. 504. ISBN 0-06-01662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