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 사이버 작전대대대

91st Cyberspace Operations Squadron
91 사이버 작전대대대
91st Tactical Reconnaissance Squadron McDonnell Douglas RF-4C-37-MC Phantom 68-0561.jpg
제91전술정찰대대대 RF-4C[note 1]
활동적인1917-1991; 1993-2005; 2007-현재
나라 미국
나뭇가지 미국 공군
역할사이버 공간 운영
의 일부공군 전투 사령부
닉네임데몬 체서스
계약
  • World War I War Service Streamer without inscription.png
    제1차 세계 대전
  • World War II - American Campaign Streamer (Plain).png
    제2차 세계 대전 – 아메리칸 극장
  • Korean Service Medal - Streamer.png
    대한민국 봉사 메달
장식
  • Streamer PUC Army.PNG
    고유 단위 인용
  • AFOUA with Valor.jpg
    전투 "V" 장치가 장착된 공군 우수부대상
  • US Air Force Outstanding Unit Award - Stremer.jpg
    공군 우수부대상(14배)
  • French Croix De Guerre Streamer (World War I).jpg
    프랑스 크로익스 드 게레 (제1차 세계 대전)
  • Republic of Korea Presidential Unit Citation Streamer.png
    대한민국 대통령부대 표창장
지휘관
주목할 만한
지휘관들
선장 조지 C. 케니
휘장
제91차 사이버 작전 비행대 엠블럼(1995년 4월 13일 승인)[1]91st Network Warfare Squadron.PNG
91 제1관찰대대의 엠블럼(1924년 2월 12일 [2]승인91 Observation Sq emblem.png
91 에어로 비행대 동체 표시(1918년 11월 18일 승인)[3]91st Aero Squadron-Emblem.jpg

제91차 사이버 공간 작전 중대는 현재 텍사스주 래클랜드 공군기지 일부인 켈리 별관에서 제67차 사이버 공간 에 배정된 미 공군 현역 부대다.

91기는 전투 지휘관들에게 사이버전 능력을 전달한다. 그것은 공군에 인력을 제공한다.

역사

제1차 세계 대전

1번 에버렛 중령 R. 쿡, 지휘관, 91 에어로 편대, 1918년 그의 스파드 8세 항공기 옆에 서 있었다.

1917년 여름 텍사스주 샌안토니오 인근 켈리필드에서 제91대 에어로 편대로 창설된 이 부대는 제1차 세계대전 중 초기 미국 원정군 에어로 편대의 하나로 프랑스로 파견됐다. 91번째는 1918년 6월 3일부터 11월 10일까지 프랑스 제8군 미국 제1군단과 함께 프랑스 서부전선에서 관측대대로 복무했다. 91중대의 1차 임무는 정보를 수집하고 즉시 기지로 돌아와 보고하는 것이었다. 1918년 11월 독일과의 휴전 이후, 제91에어로 편대는 1919년 4월까지 제3군(미국)과 함께 독일의 점령군의 일부로 유럽에 남아 있었다.

전쟁 중 기간

참고 항목: 미 육군 국경 항공 순찰대

미국으로 돌아온 후, 1919년 9월, 그 비행대는 재편성되어 샌디에이고 근처의 록웰 필드로 배치되었다. 캘리포니아에서 그것의 임무는 캘리포니아와 애리조나 사이의 서남미/멕시코 국경을 순찰하고, 산불 순찰을 수행하고, 샌프란시스코 근처크리시필드에 배속되어 캘리포니아 연안의 숲이 우거진 지역을 훈련 비행하는 것이었다. 1919년과 1922년 사이에 그 비행대는 자주 캘리포니아와 오레곤에 있는 기지 사이를 이동했고, 작전상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지역에 분산 배치되었다.

1936년 크리시 필드가 금문교 건설을 위해 문을 닫자 91번째는 워싱턴 포트 루이스 인근 그레이 필드로 이동했다. 포트 루이스에서 이 비행대는 1930년대 후반까지 태평양 북서부의 숲 위를 산불 순찰을 계속 비행했다.

91호기는 1941년 9월 뉴욕 북부의 휠러삭 육군 비행장으로 재배치되어 제4기갑사단의 관측대대가 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기 전 미군의 증강 과정에서 뉴욕과 테네시주에서 각종 기동훈련 중 과대평가 임무를 수행했다.

제2차 세계 대전

B편 승무원, 91 사진 지도 편대 B-25D[note 2]

미국의 민군 지도자들은 나치 독일이 남미와 중미에 선점하는 것을 우려했다. 자신의 뒷마당에서 일어날 수 있는 적대행위에 대비하기 위해, 군사기획자들은 이 지역들의 정확한 도표와 지도가 필요했다. 수백만 평방 마일은 사실상 미개척지였고 미개척지였다. 91번째는 항공촬영을 통해 이 일을 완수해야 하는 엄청난 과제를 안게 되었다.

제91차 사진 지도 편대의 원소들은 1943년 4월 안틸레스 공군 사령부에 배치되어 1945년 6월까지 계속되었다. 91호기의 'B'편은 남미와 중미, 카리브해 전역을 비행했다. 푸에르토리코 보르긴필드에서 출발한 무대는 항공기와 승무원들이 이 지역 전역에 배치되었다.

Aircraft of Flight "B"는 페루의 탈라라(1943년과 1944년 사이), 영국령 기아나(1944–1945년), 브라질 레시페(1944–1945년), 하워드 필드와 알브룩 필드(1944–1945년), 운하 구역(1944–1945년), 브라질 나탈(1945년)과 같은 지역에서 광범위한 비행 활동을 보였다. 주로 항공 지도 제작을 포함한 이러한 작업에는 첩보 작업도 포함되었는데, 미국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는 이 지역에 대한 지도 자료의 저장소를 제공하였다.

91호기는 제311사진동대(일명 311정찰동대)에 정식으로 부착되었고, 'B편'은 6공군 사령관이 다른 임무를 위해 이용할 수 있었다. 이 부대는 여러 대의 보잉 F-9s(B-17 사진 버전)뿐만 아니라 다양한 북미 F-10 '미첼'(B-25D의 사진 재구성 변종)을 날렸다.

B편은 전쟁 중에 카리브해 지역에서 겉보기에는 "어디서나"하는 것 같았다. 전쟁이 끝난 후, 이 비행대는 플로리다주 맥딜필드에 근거지를 두고, 이후 파나마 하워드필드에서 제24 복합 윙과 함께 중남미에서 포토맵핑과 차트 작성 임무를 수행했다. 이 중대는 1949년 새 전략공군사령부에 배속돼 뉴저지 주 맥과이어 공군기지로 이동해 SAC의 글로벌 전략정찰 임무의 일환으로 장거리 사진 매핑을 실시했다.

한국 전쟁

제91 전략정찰대대대 RB-29A 한국 상공.[note 3]
제91 전략전략정찰대대의 북미 RB-45C 토네이도스

1950년 6월 북쪽에서 공산군이 남한을 침공하자 유엔(UN)은 남한 사람들의 원조에 주로 미국으로부터 군사력을 파견하여 대응하였다. 맥아더 군대의 주요한 부족은 반도의 정확한 전쟁터 지도의 부족이었다. 맥아더 장군은 91일 미 공군에서 가장 잘 갖춰진 사진 정찰부대 중 하나로 한반도에서 전투를 벌이고 있는 극동공군(FEAF)에 합류할 것을 재빠르게 요청했다. 제91 전략정찰대대는 뉴저지 맥과이어 공군기지에서 일본 요코타 기지로 이동해 유엔군 한국지원에 들어갔다. 그것은 SAC의 제15 공군에 직접 배치되었고, 제5 공군에 부속되었다.

91호기는 결국 한국전쟁에서 가장 많은 수의 다양한 비행선을 띄웠고 한국전쟁의 다른 비행부대보다 많은 인원을 배치했다. 800명 이상의 인원을 배정받은 이 비행단은 보잉 RB-29 슈퍼포트리스보잉 RB-50 슈퍼포트리스, 북미 RB-45 토네이도, WB-26 인바더, KB-29 유조선, 컨베이어 RB-36 피스메이커를 포함하여 6종의 다양한 종류의 항공기를 배정받았다. 분쟁 내내 RB-29와 RB-50은 부대의 일꾼이었다.

RB-29는 전쟁 초기 한반도 전역을 비행했지만, 곧 소련 MiG-15 항공기가 공산군에 의해 공중전에 추가되면서 곤경에 처했다. 91호기의 프로펠러식 항공기가 공격을 받아 극심한 피해와 전투 손실을 입었다. 이에 영국 RAF 스컬토프에서 제트기종 개량형 RB-50J와 제트기종 RB-45C 정찰기가 배치됐다. 영국에서 근무 중인 다른 항공기는 RB-45를 일시적으로 RAF Manston에 배치하고, 켄트는 RB-29 부대와 RAF Lakenheath에 배치하고, RB-36 부대는 RAF Brize Norton에 배치하는 것이었다.

RB-45 정찰기가 여러 차례 MiGs를 앞지르고 앞서고 있지만, 그들 역시 결국 표적이 되었다. 비록 그들은 북한 서북부를 엄호하는 임무를 수행하도록 허용되었지만, 1951년 4월 이후에는 록히드 F-80 슈팅 스타공화국 F-84 썬더젯 전투기 호위 항공기의 호위를 받아야 했다. 1952년 1월까지 그들은 사진 표적을 밝히기 위해 플래시 폭탄을 사용하는 야간 작업에 제한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비생산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왜냐하면 RB-45 포워드 폭탄 베이가 플래시 폭탄을 투하하기 위해 개방되었을 때, 비행기는 정확한 사진 촬영에 너무 심하게 충돌했기 때문이다.[4]

이 비행대는 또한 배정된 RB-29 항공기로 심리전단 투하를 실시하도록 요청받았다. 91호에는 한반도 전역과 만주, 중국 등지에 한국의 '사이콥스' 전단을 투하했을 뿐만 아니라, 소련 출신 고문들이 공산군을 보좌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러시아어 전단이 투하되기도 했다.

91번째는 폭격기 사령부와 FEAF를 대상으로 폭탄 피해 평가, 표적화, 공중사진 촬영 외에도 방공 사이트의 극장 지도 레이더 방출에 있어 전자정보(ELINT)와 '페렛' 임무를 수행했다. 그것은 USAF에 의한 최초의 페렛 미션을 수행했다.[dubious ] 소련이 지배하는 극동섬의 상공비행은 1951년에 시작되었다. 이러한 유형의 작업의 한 예는 소련이 이 섬에 광범위한 지하 시설과 미사일 발사 시설을 건설했다는 보고에 따라 카라푸토 상공에서 수행된 정찰 임무였다. 51 프로젝트에서는, 요코타토에서 이륙한 91번째 SRW RB-45s가 사할린 섬의 남쪽 지역을 정찰한다. 무르만스크-콜라 반도와 시베리아 상공에서도 사진 및 레이더 정찰 임무를 수행했다. 1952년 말, 6대의 RB-36을 야코타에 파견하여 91단과 함께 비행하고, 만주 목표물 위로 고고도 정찰 비행을 했다.

한국 정전협정 직후인 1953년 7월 29일, 임시로 91에 파견된 343d 정찰대 RB-50이 블라디보스토크 남쪽 약 90마일 지점에서 소련 전투기에 의해 격추되었다. 소련은 비행기의 위치가 물 건너갔다는 사실을 부인하지는 않았지만, 폭격기가 소련 영토를 두 번 날아와 그들의 미그스에 발포했다고 주장했고, 미그스는 방어적으로 화력을 되돌려주었다. 1954년 11월 7일, 두 명의 소련 전투기가 홋카이도 상공에서 RB-29 편대를 공격했다. 승무원 10명 중 9명은 케네베쓰 마을 근처에서 추락한 폭격기에서 탈출할 수 있었다. 미 국무부의 항의에 대해 소련측은 슈퍼포트리스호가 쿠릴열도 상공에서 요격당했다고 주장하며, 소련 전투기를 요격하는 데 사격을 가했고, 이에 보복할 수 밖에 없었다가 남향으로 출발했다.[5]

91번째는 태평양에서 철수하여 1954년 12월 20일 미국과 몬태나주 그레이트폴스 공군기지로 귀환하였다. FEAF에 전략정찰 및 정보수집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일본 제5공군에 이 비행대의 요소가 남아 있었다. 91호기의 요소들은 정전 이후 일본의 많은 한국전투부대를 통합하기 위해 조직된 새로 구성된 FEAF 6007 정찰대의 일부로서 6091호 정찰대대에 재배치되었다. 6007호는 RB-29, RB-50B, RB-50G, 더글러스 C-47 스카이트레인, 페어차일드 C-119 플라잉 박스카 항공기가 배정된 복합 그룹이었다.

피콘 프로젝트

GRB-36 공중에서 YRF-84F를 발사한다. USAF 박물관 사진 보관소
F-84E, FICON 공중제비.

1954년 말 미국으로 돌아온 91기는 B-36 피스메이커 전략폭격기의 장거리 에스코트를 위해 대륙 간 임무 수행 중이었다. 625전쟁에서 얻은 교훈은 미국 항공기가 적 전투기를 격추하거나 격추하기 위해 보낸 전투기를 앞지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미국은 더 크고 느린 정찰기를 정찰 작업에 사용할 수 있는 더 빠른 플랫폼이 필요했다.

91호기는 '전투기-컨베어링(FICON)' 시스템이라는 작전 절차를 진행했다. FICON은 필요한 사거리를 제공하는 "모함"으로 기능하는 B-36과 고속정찰기로 기능하는 수정된 Republic RF-84F Thunderflash 제트기 등 두 대의 항공기를 사용했다. 특수 설계된 RF-84K는 예상 목표 위치 가까이에서 건조되어 비행 중에 발사되고, 목표물 위로 고속 패스를 한 다음, 검색되어 본래의 운용 기지로 다시 운반된다. 제트 정찰 조종사들은 정찰 임무를 위해 B-36의 폭탄 베이를 통해 RF-84를 드나들었다.

1955년부터 제91차 SRS가 F-84 FICON 프로토타입 2개를 테스트하자 USAF는 RF-84Ks 25개를 주문하고 10개의 B-36을 GRB-36 FICON 캐리어로 개조하기 시작했다. RF-84K 설계는 당시 USAF의 가장 많고 첨단 전술정찰기인 RF-84F를 개조한 것이다. 유일한 큰 차이점은 (GRB-36의 폭탄 베이에 맞도록) 코 상부에 있는 RF-84K의 수축식 후크, 조종석 뒤 양쪽에 있는 로드, 아래로 꺾인 수평 안정기였다.

RF-84K는 1955년에 91번째와 함께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듬해 91기 조종사들은 RF-84Ks 비행에 성공했지만 GRB-36 항모전단을 분리하거나 다시 연결하면서 재난에 가까운 경험을 많이 했다.

록히드 U-2의 개발로 보다 취약한 프로펠러식 정찰기가 필요 없게 되었기 때문에 기술은 곧 이 임무를 쓸모없게 만들었다. 더 이상 장거리 전략 정찰 임무에 필요하지 않게 된 91번째는 1957년 7월 1일에 비활성화되었다.

전술항공사령부

버그스트롬 AFB 항공기의 91번째 TRS RF-4C는 맥도넬 RF-4C 팬텀 II 시리얼 69-376이다. 1973년 촬영.

이 중대는 맥도넬 RF-4C 팬텀 II 전술정찰대대로 재활성화돼 1967년 2월 대체 조종훈련을 실시하고 1971년 7월부터 전술정찰 임무를 수행했다. 1982년부터 1989년까지 USAF, 미 해병대, 연합군의 RF-4 정찰기 등을 대상으로 정찰훈련을 실시했으며 1992년까지 공군 정찰부대의 고문으로 활동했으며 1983년부터 미국 관세청을 지원하는 정찰임무를 수행했다. 1991년 8월 30일 버그스트롬 AFB의 폐쇄와 RF-4C의 폐기의 일환으로 91번째가 비활성화되었다.

리니지

  • 1917년 8월 21일 제91차 에어로 비행대(관찰대)로 조직됨
1921년 3월 14일 재설계 91 비행대(관찰)
1923년 1월 25일 제91관측대 재설계
1942년 1월 13일 제91관측대(중대) 재설계
1942년 7월 4일 제91관측대 재설계
1943년 4월 2일 제91정찰대대대(범버) 재설계
1943년 8월 11일 제91전술정찰대대대 재설계
1943년 10월 9일 제91차 사진 지도 편대 재설계
1944년 10월 17일 제91차 사진 차팅 편대 재설계
1945년 6월 15일 제91정찰대대대, 장거리, 사진 재설계
제91 전략정찰대대대 재설계, 1949년 3월 25일 사진
1950년 7월 6일 제91 전략정찰대대대, 중대, 사진 재설계
제91 전략정찰대대대, 1954년 12월 20일 전투기 재설계
1957년 7월 1일 비활성화됨
  • 1967년 4월 12일 제91전술정찰대대를 재설계하고 활성화(조직화되지 않음)
1967년 7월 1일 조직
1991년 8월 30일 비활성화됨
91 정보대대를 재설계하고 1993년 10월 1일 창설
2005년 5월 5일에 비활성화됨
  • 2007년 6월 28일 제91차 네트워크전투비행단 재설계
2007년 7월 26일 활성화
2015년[1] 7월 1일 제91차 사이버작전대대대 재설계

과제들

  • 1917년 8월 21일 켈리필드 우체국
  • 항공집중센터, 1917년 10월 5일
  • 미국 원정군, 1917년 11월 10일
  • 제1군관찰단, 1917년 12월 13일
  • 미국 제3군, 1918년 11월 21일
  • 제1항공기지, 미국 원정군, 1919년 4월 17일
  • 미국 원정군, 1919년 5월 6일
  • 1919년 6월 17일 미첼 필드 우체국
  • 1919년 7월 남동부
  • 1919년 9월 서관부
  • 1920년 8월 20일 IX 군단 구역
  • 제12차 관찰단 (1930년 10월 1일 이후 IX 군단 구역에 부속)
  • IX 군단 구역, 1931년 3월 23일
  • 제4군, 1940년 10월 3일
  • IX 군단, 1940년 11월 9일
  • 73d 관측(후속 정찰) 그룹, 1941년 9월 1일
  • 제26차 정찰대, 1943년 6월
  • 제76차 전술정찰단, 1943년 8월 11일
  • 제26차 전술정찰단, 1943년 8월 23일
  • 제1차 사진 그룹, 1943년 10월 9일
  • 제311차 사진관측소, 1944년 10월 5일
  • 카리브해 공군사령부, 1946년 8월 26일
1947년 6월 30일 브라질-미국 합동 군사위원회에 첨부된 비행

스테이션

제1차 세계 대전

1918년 10월 16일 - 11월 수이리 비행장에서 분리 운영

전쟁 기간

  • 1919년 6월 17일 뉴욕 미첼 필드
  • 1919년 7월 4일 테네시 주 파크 필드
  • 1919년 9월 29일 캘리포니아 주 록웰 필드
  • 1919년 11월 3일 캘리포니아 매더필드
  • 1920년 1월 24일 캘리포니아 주 램 필드
1920년 3월 17일 – 7월 30일 캘리포니아주센트로칼렉시코에서 운항된 비행 또는 분리
  • 1920년 4월 30일 캘리포니아 주 록웰 필드
오레곤 유진에서 비행했으며 6월 c일 오레곤 메드포드에서 비행기로 운항했다. 1920년 9월
  • 1920년 11월 3일 캘리포니아 매더필드
1921년 1월까지 캘리포니아주 록웰필드의 분견
  • 1921년 5월, 오레곤 주 유진
분리대는 오리건주 메드포드에서 워싱턴주 포트루이스에서 c로 운항했다. 1921년 9월
  • 1921년 10월 12일 캘리포니아 주 크리시 필드
1922년 8월-9월, 오레곤 주 유진에서 파견된 분견
  • 1936년[1] 6월 30일 워싱턴 포트 루이스

제2차 세계 대전

1943년 11월부터 1946년 8월까지의 남미 및 중앙 아메리카의 다양한 지점에서의 비행, 특히 탈라라, 페루, 1943–1944년, 영국령 기아나, 1944–1945년, 레시페, 1944–1945년, 하워드 필드, 파나마 운하 구역, 1944–1946년, 1944년 브라질, 나탈, 1945–1946년 8월.

미국 공군

  • 1946년 4월 21일 플로리다 주 맥딜 필드
  • 파나마 운하 구역 하워드 필드, 1946년 8월 26일
1946년 10월 31일까지의 브라질 나탈과 1946년 10월 31일 ~ 1947년 9월 23일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비행; 4월 18일 칠레 산티아고에서 비행. 1947년 7월

항공기

  • 커티스 JN-4, 1917년
  • 아비온 드 정찰 1 및 2 (AR 1 AR 2), 1918
  • 샘슨 2A2 1918-1919
  • 브레게 14, 1918-1919
  • 드 하빌랜드 DH-4, 1918-19, 1919-1928
  • 스파드 13세, 1918-1919
  • O-2, C. 1926-1930
  • 1925-1930년의 OA-1과 C-1
  • O-25, 1930-1936
  • 1930-1936년 동안 OA-2, C-6, C-8
  • O-46, 1936-1942
  • O-47과 O-52, 1941-1942
  • 1941-C 1943년 O-49
  • A-20, 1942-1943
  • L-4, 1942-1943
  • 1943년 B-25
  • DB-7, L-5, O-47 및 P-40 1942-1943년 기간
  • B-25/F-10, 1943-1945
  • B-17/F-9, 1945-1950
  • F-2, 1945-1948
  • B-50, 1949-1950
  • RB-50, 1950
  • RB-29, 1950-1954
  • RB-45 및 RB-50, 1951–1954
  • RBF-84, 1955-1957
  • RF-84, 1956-1957
  • RF-4, 1967-1991[1]

참고 항목

참조

메모들
  1. ^ 항공기는 맥도넬 더글러스 RF-4C-37-MC 팬텀 II 직렬 68-561이다. 1992년 촬영.
  2. ^ 항공기는 북미 B-25D-30 미첼 시리얼 43-3438이다. 1944년쯤이야
  3. ^ 항공기는 보잉 RB-29A 슈퍼포트리스 시리얼 44-61727이다. 이 항공기는 1952년 7월 4일 중국 상공이나 극북 지역 상공에서 MiG-15에 의해 격추되었다. 13명의 승무원 중 11명이 포로로 잡혔고, 2명의 승무원이 사망했다.
인용구
  1. ^ Jump up to: a b c d e f g h Robertson, Patsy (11 August 2015). "Factsheet 91 Cyberspace Operations Squadron (AFSPC)". Air Force Historical Research Agency. Retrieved 20 May 2014.
  2. ^ 마우러, 전투비행대대, 307-309쪽
  3. ^ Cross & Cockade, Vol. 5번, 3번.
  4. ^ 크낙, 페이지 89
  5. ^ 파르쿠하르, 페이지 46-48

참고 문헌 목록

Public Domain 기사는 공군역사연구기관 웹사이트 http://www.afhra.af.mil/의 공공 도메인 자료를 통합하고 있다.

  • 1995년 10월 1일 현재 엔디콧, 주디 G, USAF 액티브 플라잉, 우주 미사일 비행대대대. 공군역사관
  • Farquhar, John T. (2015). "Aerial Reconnaissance, the Press, and American Foreign Policy, 1950–1954" (PDF). Air Power History. Air Force Historical Foundation. 62 (4). Retrieved 6 January 2016. (웹 액세스는 회원으로 제한됨)
  • Knaack, Marcelle Size (1988). Encyclopedia of US Air Force Aircraft and Missile Systems. Vol. 2, Post-World War II Bombers 1945–1973. Washington, DC: Office of Air Force History. ISBN 0-912799-59-5. volume= 추가 텍스트(도움말)
  • 마우러, 마우러,(1983년)[1961년].공군 전투 단위 2차 세계 대전(재판 교육.)(PDF).워싱턴, DC:사무소 공군사.아이 에스비엔 0-912799-02-1.LCCN 61060979.*마우러, 마우러(1987년).미 육군에서 항공, 1919-1939(PDF).워싱턴, DC:사무소 공군사, 미국 공군.아이 에스비엔 0-912799-38-2. LCCN 87012257.OCLC 15661556.202013년 7월 Retrieved.
  • Maurer, Maurer (1978). The US Air Service in World War I (PDF). Volume 1: The Final Tactical Report. Washington, DC: Office of Air Force History, United States Air Force. ISBN 978-1477602-74-4. volume= 추가 텍스트(도움말)
  • Ravenstein, Charles A. (1984). Air Force Combat Wings, Lineage & Honors Histories 1947-1977. Washington, DC: Office of Air Force History. ISBN 0-912799-12-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