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릴 열도

Kuril Islands
쿠릴 열도
분쟁 섬
네이티브 이름:
Курильские острова(러시아어)
千島列島 (일본어)
Kuril Island.jpg
쿠릴 열도의 해안선
지리
위치태평양
좌표46°30ºN 151°30°E/46.500°N 151.500°E/ 46.500, 151.500좌표: 46°30ºN 151°30ºE / 46.500°N 151.500°E / 46.500, 151.500
전체 섬56
지역10,503.2km2 (2,595,400에이커, 4,055.3평방마일)
길이1,150km(715마일)
최고점
관리 대상자
러시아
연방 과목사할린 주
지역세베로쿠릴스키, 쿠릴스키, 유즈노쿠릴스키
청구자
일본.
(최남단 섬)
홋카이도
진흥국네무로
인구 통계
인구.21,501 (2021년 기준)
민족다수 러시아인
캄차카 반도와 네무로 반도의 섬들, 1950년대 초에 작성된 12개의 미군 지도 서비스 지도를 조합한 합성 지도

쿠릴열도 또는 쿠릴열도(/ˈkərll, kjʊrll, kjʊriːl/, 러시아어: крии́ tr tr tr tr tr tr tr tr tr tr tr tr tr tr tr tr tr tr tr tr tr tr tr tr tr tr tr tr tr tr tr tr tr tr tr tr tr, tr.Kurilskiye ostrova, IPA: [kˈrʲilʲskʲjəstrɐva]; 일본어:쿠릴 열도( kuru島, )는 러시아 극동 [1]사할린주에 있는 화산 군도이다.오호츠크해북태평양을 사이에 두고 일본 홋카이도에서 러시아 캄차카 반도까지 북동쪽으로 약 1300km(810마일) 뻗어 있다.56개의 섬과 많은 작은 바위들이 있다.쿠릴 열도는 대쿠릴 열도소쿠릴 [2]열도로 구성되어 있다.면적은 약 10,503.2 평방 킬로미터(4,055.3 평방 마일)[3]이며 인구는 약 20,[4]000명이다.

이 섬들은 제2차 세계대전 말기인 1945년 소련이 침공한 이후 러시아의 통치하에 있었다.일본은 쿠릴열도 분쟁으로 이어지고 있는 시코탄 섬과 하보마이 섬을 포함하여 3대 섬 중 2개 섬을 포함한 최남단 4개시르)을 자국 영토로 주장하고 있다.이 분쟁 섬들은 일본에서는 "북방 영토"[5]로 알려져 있다.

어원학

쿠릴이라는 이름은 원주민인 아이누의 자칭 이름에서 유래했다. 쿠릴은 '사람'[6]을 뜻한다.사할린의 쿠이 또는 쿠이에, 홋카이도의 카이 등 아이누족이 전통적으로 거주해 온 다른 섬들의 명칭과도 관련이 있을 수 있다.쿠릴 열도는 치시마 열도로 알려져 있다.18세기에 러시아인들이 이 섬에 도착했을 때, 화산에서 나오는 연기와 수증기로 인해 러시아 쿠리테에서 유래한 유사 어학을 발견했다.

지리 및 기후

쿠릴 열도는 '불의 고리'라고 불리는 태평양을 둘러싼 지각 불안정 고리의 일부를 형성한다.이 섬들 자체는 태평양 판이 오호츠크 판 아래로 가라앉은 직접적인 결과인 성층화산맥의 정상으로, 섬들에서 동쪽으로 약 200km(124mi) 떨어진 쿠릴 해구를 형성하고 있다.그 체인에는 약 100개의 화산이 있으며, 그 중 40개가 활화산이고, 많은 온천후마롤이 있다.1963년 규모 8.5의 지진과 2006년 11월 15일에 기록된 규모 8.3의 지진 등 지진 활동이 빈번하다. 이 지진캘리포니아 해안까지 1.[7]5m(5ft)의 쓰나미를 일으켰다.군도 중앙 부근의 라이코케 섬에는 2019년 6월에 다시 폭발한 활화산이 있으며, 방출량은 13,000m(42,651ft)에 이른다.

섬들의 기후는 일반적으로 길고 춥고 폭풍우가 치는 겨울과 짧고 악명 높은 안개가 낀 여름으로 혹독하다.연평균 강수량은 40~50인치(1,020~1,270mm)이며, 그 중 많은 부분이 눈으로 내린다.쿠릴의 대부분의 쾨펜 기후 분류아북극(Dfc)이지만 쿠나시르는 습한 대륙(Dfb)이다.그러나 쿠릴열도의 기후는 강수량이 많고 영구 동토층이 아예 없어 만주나 시베리아 내륙의 아열대 기후보다 알래스카 남서부의 아극대 해양성 기후와 더 닮았다.10°C 또는 50°F보다 1-3개월 높은 온화한 여름과 -3°C 또는 26.6°F보다 낮은 춥고 눈발이 날리며 바람이 매우 많이 부는 겨울이 특징입니다(보통 -10°C 또는 14°F보다 높음).

체인은 온대 기후 유형에서 아북극 기후 유형까지 다양하며, 결과적으로 식물성 덮개는 북쪽의 툰드라에서 더 큰 남쪽 섬의 울창한 가문비나무낙엽송 숲까지 다양합니다.섬에서 가장 높은 고도는 사슬의 북쪽 끝에 있는 아틀라소프 섬의 알라이드 화산(가장 높은 지점: 2,339m 또는 7,674ft)과 남쪽 끝에 있는 쿠나시르 섬의 티아티아 화산(1,819m 또는 5,968ft)이다.

섬의 풍경 유형과 서식지는 많은 종류의 해변과 바위 해안, 절벽, 넓은 강, 빠른 자갈이 많은 개울, 숲, 초원, 고산 툰드라, 분화구 호수, 이탄 늪을 포함한다.토양은 화산재의 주기적인 유입과 바닷새 구아노상당한 비옥함 때문에 일반적으로 생산성이 높다.그러나, 많은 가파른 비고장 경사지는 산사태에 취약하며, 새로운 화산 활동은 경관을 완전히 파괴할 수 있다.가장 남쪽에 있는 섬만이 나무로 덮인 넓은 지역을 가지고 있는 반면, 더 북쪽에 있는 섬들은 나무나 반점이 있는 나무 덮개가 없다.

최북단의 아틀라소프섬(일본어로 오야코바)은 바다 밖으로 솟아 있는 거의 완벽한 화산 원추형으로, 일본인들에게는 유명한 후지산과 같은 방식으로 하이쿠, 목판화 등의 형태로 칭송받고 있다.정상은 사할린주에서 가장 높은 지점이다.

생태학

마린

쿠릴열도는 태평양붕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해 있고 오호츠크해와 남쪽 오야시오 해류의 합류로 인해 북태평양에서 가장 생산성이 높은 해역에 둘러싸여 있어 해양생물이 풍부하게 살고 있다.

무척추동물:거의 모든 섬을 둘러싸고 있는 넓은 다시마 지대성게, 다양한 연체동물 그리고 수많은 다른 무척추동물들과 그들의 포식자들에게 중요한 서식지를 제공합니다.많은 종류의 오징어는 사슬을 따라 있는 많은 작은 해양 포유류들과 새들의 식단의 주요 구성 요소를 제공합니다.

물고기: 더 먼바다, 월레아이 명태, 태평양 대구, 몇몇 종류의 광어들은 상업적으로 가장 중요합니다.1980년대에 철새 정어리는 여름에 가장 많은 물고기 중 하나였다.

피니피드:주요 피니피드는 쿠릴 제도의 원주민들에게 피부와 뼈와 같은 음식과 재료 모두를 위한 수확의 중요한 대상이었다.쿠릴섬을 따라 인간 거주지의 분포와 분포의 장기적인 변동은 아마도 날개 달린 산맥을 추적했을 것이다.역사적으로, 모피 물개는 19세기에서 20세기 초에 그들의 모피로 많이 이용되었고 레이코크 섬에서와 같이 가장 큰 번식 루키 몇 마리는 멸종되었다.반면 쿠릴열도에서는 바다표범바다사자의 상업적 수확이 상대적으로 미미했다.1960년대 이후 추가 수확은 거의 없었고 쿠릴 열도의 날개 달린 개체 수는 상당히 건강한 것으로 보이며 어떤 경우에는 확대되고 있다.눈에 띄는 예외는 쿠릴열도에서 가끔 출몰하는 것으로 알려진 지금은 멸종된 일본 바다사자다.

해달:19세기와 20세기 포경 어획과 목격 [8]기록에서 알 수 있듯이, 해달은 19세기에 그들의 모피를 얻기 위해 매우 많이 이용되었다.

바다새:쿠릴 열도는 북방 지렁이, 멧돼지, , 키티웨이크, 갈매기, 오크렛, 페트렐, 갈매기, 가마우지수백만 마리의 바닷새들의 서식지이다.육지 포식자가 없는 여름의 많은 작은 섬들에서는 거의 모든 혹, 절벽 틈새 또는 바위의 밑부분을 둥지 새가 차지하고 있다.남쿠릴의 쿠나시르 섬과 소쿠릴 열도, 우룹에서 파라무시르 섬까지 북쿠릴 섬들은 많은 물새, 바닷새,[9] 물새 등 다양한 멸종위기 조류 개체군을 지원하기 때문에 국제조류협회(IBA)에 의해 중요 조류지역으로 인정받았다.

지상파

쿠릴열도의 육생종 구성은 홋카이도와 사할린열도로부터의 이주를 통한 아시아 본토 분류군과 북한으로부터의 캄차칸 분류군이 지배하고 있다.매우 다양하지만, 종족 수준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내생성이 존재한다.

WWF는 쿠릴열도를 두 개의 생태지역으로 나눈다.남부 쿠릴은 남서부 사할린과 함께 남부 사할린-쿠릴레 혼합림 생태계를 구성한다.북부 섬은 캄차카-쿠릴레 초원과 드문드문 숲의 일부이며 캄차카 반도와 코만도르 제도까지 뻗어 있는 더 큰 생태 지역이다.

중앙 섬들은 일반적으로 크기가 작고 고립되어 있기 때문에, 비록 붉은 여우북극 여우들이 1880년대에 모피 무역을 위해 도입되었지만, 주요 육상 포유류들은 거의 이러한 섬들을 식민지로 삼았다.육생 포유류의 바이오매스의 대부분은 설치류가 차지하는데, 이는 역사적으로 많이 도입된 것이다.가장 큰 섬들은 불곰, 여우, 그리고 담비들이 살고 있습니다.표범들은 한때 그 섬에 살았다.사슴의 어떤 종은 더 남쪽의 섬에서 발견됩니다.야생 고양이 쿠릴리안 밥테일이 쿠릴 열도에서 유래했다고 한다.보브테일은 우성 유전자의 돌연변이 때문이다.이 고양이는 인근 러시아로 길들여져 수출되고 그곳에서 사육되어 인기 있는 국내 고양이가 되었다.

육생 조류로는 갈매기, 송골매, 송골매, 물갈퀴 등이 흔하다.

역사

쿠릴아이누족은 그들의 전통 주택 옆에 있다.
사사모리 기스케의 1893년 책 치시마 단켄의 쿠릴 열도 지도

초기 역사

아이누족의 역사적 범위

아이누족은 쿠릴 열도에 초기부터 거주했지만 17세기 이전의 기록은 거의 없다.일본 정권은 에도시대(1603-1868)에 마쓰마에 씨에 의한 주장의 형태로 처음으로 섬을 명목상의 지배권을 장악했다.일본인들은 370년[timeframe?] 전에 [10][need quotation to verify]북방 섬에 대해 알고 있었다고 주장합니다[by whom?].1644년 도쿠가와 막부에 의해 만들어진 일본 쇼호 시대 지도(쇼호쿠니 에즈)는 홋카이도 시레토코 반도와 노사푸 북동쪽 39개의 크고 작은 섬을 보여준다.마르텐 게리츠 프리스가 이끄는 네덜란드 탐험대는 1643년에 그 섬을 탐험했다.러시아의 유명한 전설은 페도트 알렉세예비치 포포프가 1649년 [11]이 지역으로 항해하고 있다.1711년 [12]러시아의 코사크가 Shumshu에 상륙했다.

미국 고래잡이 [13]배들은 1847년과 1892년 사이에 섬 밖에서 참고래를 잡았습니다.1855년에[14][15] Urup에서 2척,[16] 1856년에 Makanrushi에서 1척 등 3척이 섬에서 난파되었다.1892년 9월 쿠나시르섬 북쪽에서 러시아 스쿠너선뉴베드포드뿔피죤 곶을 나포해 블라디보스토크까지 호송해 2주 [17]가까이 억류됐다.

일본 행정

에토로후 샤나무라(쇼와 시대):전면에는 마을병원, 왼쪽에는 어업이 있는 공장, 중앙전파탑(1945년 이전).

19세기 말, 일본 정부는 아이누족의 [18][19]강제 동화를 시작했습니다.또, 이 시기에 아이누인은 자동 국적을 취득해, 원주민의 지위를 사실상 부정했다.많은 일본인들이 쿠릴 열도를 포함한 옛 아이누 지역으로 이주했다.아이누인들은 일본어를 배우도록 강요받았고, 일본식 이름을 채택하도록 요구받았으며, 동물 제물과 [19]문신 관습과 같은 종교적 관행을 중단하라는 명령을 받았다.일본 식민지 시대(1868년[20]) 이전에는 약 100명의 [21]아이누가 쿠릴 열도에 살았다고 한다.

제2차 세계 대전

  • 1941년 야마모토 이소로쿠 제독은 남쿠릴 이투루프 섬의 단칸 또는 히토카푸 만의 하와이 작전 공격을 위해 일본 제국 해군의 타격대를 소집하라고 명령했다.그 지역은 인구가 희박하고, 외국인이 부족하고, 안개가 끊임없이 끼어있어서 선택되었다.제독은 11월 26일 아침 하와이로 이동할 것을 명령했다.
  • 1943년 7월 10일, 미군이 ShumshuParamushir에 있는 일본 기지에 대한 첫 번째 폭격이 일어났다.Alexai 비행장에서 77 폭격 비행대대의 B-25 미첼이 제임스 L. 대위가 이끄는 이륙했다.휴델슨.이 임무는 주로 파라무시르를 공격했다.
  • 1943년 9월 11일 11공군이 8대의 B-24 해방기와 12대의 B-25를 파견했을 때 또 다른 임무가 수행되었다.강화된 일본의 방어에 직면하여, 3대의 B-24와 7대의 B-25 선원 74명이 귀환하지 못했다. 22명이 전사했고, 1명이 포로로 잡혔으며 51명이[by whom?] 캄차카에 억류되었다.
  • 제11공군은 1944년 2월 5일 제404폭격비행대대의 6대의 B-24제54전투비행대16대의 P-38이 북쿠릴에 대한 폭격 임무를 수행했다.
  • 일본[which?] 소식통에 따르면 마쓰와 군사 시설은 1943년에서 1944년 사이에 미군의 공습 대상이었다고 한다.
  • 미국의 '웨드록 작전'이라는 전략적 위트는 일본의 관심을 북쪽으로 돌려 미국의 태평양 [22]전략에 대해 현혹시켰다.이 계획에는 미 해군의 해안 폭격과 잠수함 작전이 포함된 USAAF와 미 해군의 폭격기가 포함되었다.일본은 1943년 8,000명이었던 북쿠릴의 수비대를 1944년 4만 1,000명으로 늘렸고, 미국이 알래스카에서 침략할 것을 예상하여 쿠릴과 홋카이도 지역에 400대 이상의 항공기를 보유했다.
  • 미국의 계획자들은 1943년 가을 알류샨 열도로부터의 일본 북부 침공을 잠시 고려했지만, 그 생각은 너무 위험하고 비현실적이라고 거절했다.그들은 Amchitka와 Shemya 기지에 보잉 B-29 Superfortresses의 사용을 고려했지만, 그 제안을 거절했다.미군은 서부 알류샨족의 기지 확장을 지시했을 때 이 계획에 관심을 유지했고, 셰미야에 대규모 건설이 시작되었다.1945년, 북쪽 항로를 통한 일본 침략 계획은 보류되었다[by whom?].
  • 1945년 8월 18일부터 8월 31일까지 소련군은 북쿠릴과 남쿠릴을 침공했다.
  • 소련은 1946년까지 약 17,000명의 일본 민간인들을 추방했다.
  • 1945년 8월 24일에서 9월 4일 사이에 미 육군 항공대의 11공군은 북쿠릴 열도 상공에 정찰 임무를 위해 두 대의 B-24를 보냈다.소련 전투기가 그들을 가로채서 [citation needed]쫓아냈다.

1945년 2월 얄타협정[23] 제2차 세계대전 중 태평양전쟁에 참전하는 대가로 소련 남사할린쿠릴열도에 약속했다.1945년 8월 소련은 5,000명이 넘는 소련인과 일본인의 [citation needed]목숨을 희생하고 남사할린에 대한 무력 침략을 감행했다.

러시아 행정

쿠릴 열도는 사할린 주의 세 개의 행정 구역(라이온)으로 나뉜다.

일본은 쿠나시르 섬, 이투루프 , 시코탄 섬, 하보마이 바위 등 최남단 4개 섬을 북방영토라고 부른다.

2017년 2월 8일 러시아 정부는 사할린주에 있는 5개의 쿠릴 섬에 이름을 붙였다.데레비얀코 섬(쿠즈마 데레비얀코 이후 43°22′8nN 146°1)3E/43.3689°N 146.01750°E/43.3689;146.01750;네코섬(Alexey Gnechko, 43°48º5″N 146°52′1E/43.80139°N 146.86694°E/146.09).3⁄2ºE / 43.80139°N 146.88389°E / 43.80139; 146.88389) 및 슈체티나 섬(Anna Shchetinina 이후 46°13º7°N 150°3)4µ6µE / 46.21861°N 150.56833°E / 46.21861; 150.56833).[24]

인구 통계

시코탄 본촌
러시아 정교회 쿠나시르

2013년 현재, 19,434명의 사람들이 쿠릴 열도에 살고 있다.여기에는 러시아인, 우크라이나인, 벨라루스인, 타타르인, 니브흐스인, 오로치인, 아이누스가 포함된다.러시아 정교회는 주요 종교이다.이 마을들 중 일부는 러시아 군인들이 상주하고 있다(특히 최근의 긴장에 따른 쿠나시르).다른 사람들은 주로 어부, 생선 공장 노동자, 부두 노동자, 그리고 사회권 노동자(경찰, 의료진, 교사 등)인 민간인들이 살고 있다.이 섬들의 최근 건설 공사는 러시아 나머지 지역과 소련 이후의 다른 국가들에서 온 많은 이주 노동자들을 끌어 모으고 있다.2014년 현재 56개 섬 중 8개 섬만이 사람이 살고 있다.이투루프 섬은 60%가 넘는 우크라이나 [5]민족이다.

경제.

낚시가 주된 직업이다.이 섬들은 어업과 황철광, 유황, 다양다금속 광산의 광물 매장량 측면에서 전략적, 경제적 가치가 있다.석유 탐사가 그 [25]섬들에 경제적 활력을 줄 것이라는 희망이 있다.

2014년 건설 노동자들은 중부 이투루프주 키토비만에 부두와 방파제를 건설했다.여기에는 바지선이 주요 교통수단인 만과 앞바다에 정박해 있는 배 사이를 항해한다.섬에서 가장 큰 마을인 쿠릴스크 인근 숲 사이로 유즈노-쿠릴스크 멘델레예보 [26]공항 부지로 가는 새로운 길이 파였다.

Kurils의 최대 비즈니스 그룹인 Gidrostroy는 어업, 건설, 부동산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2006년 최첨단 컨베이어 시스템을 도입하여 이투루프 섬에 두 번째 생선 가공 공장을 건설했다.

전력 수요 증가에 대처하기 위해 현지 정부는 수증기와 온수를 찾을 수 있는 [27]활화산 바란스키 화산의 국영 지열 발전소도 업그레이드하고 있다.

군사의

이 섬에 주둔하고 있는 러시아군은 이투루프섬고랴치예 클류치에 본부를 둔 제18기관총사단이다.이 섬에는 국경수비대 병력도 주둔하고 있다.2011년 2월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은 쿠릴열도 방어의 대폭적인 강화를 요구했다.그 후 2015년에는 추가 대공미사일 시스템 Tor와 Buk, 해안방어 미사일 시스템 Bastion, Kamov Ka-52 전투헬기, 그리고 1척의 Varshavyanka 프로젝트 잠수함이 쿠릴열도를 [28]방어하기 위해 왔다.2022년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 제18기관총포사단의 일부가 우크라이나 동부로 재배치된 [29]것으로 알려졌다.

주요 섬 목록

쿠나시르 주 유즈노쿠릴스크
파라무시르 주 세베로쿠릴스크
아틀라소프
이투루프 섬의 보그단 흐멜니츠키 화산 전경
쿠나시르 남부의 멘델레예바
유즈노쿠릴스키 군
파라무시르 화산
화이트록스, 이투루프

러시아[citation needed] 자료에서 이 섬들이 1646년에 처음으로 언급되었지만, 탐험가 블라디미르 아틀라소프에 의해 1697년에 그 섬들에 대한 가장 초기의 세부 정보가 제공되었다.18세기와 19세기 초에, 쿠릴 열도는 다니라 안시페로프, 코지레프스키, 이반 예브레이노프, 표도르 루진, 마틴 슈판버그, 아담 요한크루젠스테른, 바실리 골로브닌, 헨리 제임스 스노에 의해 탐험되었다.

다음 표에 북쪽에서 남쪽으로 주요 섬에 대한 정보를 보여 줍니다.

섬. 러시아어: 이름 일본어:이름 대안
이름
아일랜드 그룹 관리 센터 /
착륙 지점
기타 결산 지역 Pop.
세베로쿠릴스키 군 북쿠릴 주 북쿠릴(키타치시마/北島) 세베로쿠릴스크 셀리코보, 포드고니, 바이코보 3,504 km2
(1,353 평방 밀리)
2,560
Shumshu Шумшу 占守島しゅむしゅとう 슈무슈 북쿠릴 주 바이코보 388km2
(150 평방 mi)
20
아틀라소프 Атласова 阿頼度島あらいどとう 아라이도 오야코바 북쿠릴 주 알라스카야 만 150km2
(58평방미)
0
파라무시르 Парамушир 幌筵島ぱらむしるとう 호로무시로 파라무시루 북쿠릴 주 세베로쿠릴스크 셀리코보, 포드고니 2,053 km2
(793 평방 mi)
2,540
안시페로프 Анциферова 志林規島しりんきとう 시린키 북쿠릴 주 안티페로프 해변 테르쿠트 곶 7km2
(2.7 평방 밀리)
0
마칸루시 Маканруши 磨勘留島まかんるとう 마칸루 북쿠릴 주 자바트 50km2
(19평방미)
0
Avos의 Авось 帆掛岩ほかけいわ 호카케, 하이노코 북쿠릴 주 0.1km2
(0.039 평방 밀리)
0
오네코탄 Онекотан 温禰古丹島おんねこたんとう 온와코탄 북쿠릴 주 홍합 쿠로이시, 니모, 셰스타코프 425km2
(140평방미)
0
하림코탄 Харимкотан 志林規島しりんきとう春牟古丹島 하리무코탄, 하루무코탄 북쿠릴 주 수나즈마 세버진 만 70km2
(27평방미)
0
에카르마 Экарма 越渇磨島えかるまとう 에카루마 북쿠릴 주 크루글리 30km2
(12평방밀리)
0
치린코탄 Чиринкотан 知林古丹島ちりんこたんとう 북쿠릴 주 피티치 곶 6km2
(2.3 평방 밀리)
0
시아시코탄 Шиашкотан 捨子古丹島しゃすこたんとう 사스코탄 북쿠릴 주 마카로프카 122km2
(47 평방 mi)
0
로우슈키펠센 Ловушки 牟知列岩むしるれつがん 무시루 북쿠릴 주 1.5km2
(0.58 평방 밀리)
0
라이코케 Райкоке 雷公計島らいこけとう 북쿠릴 주 라이코케 4.6km2
(1.8 평방 밀리)
0
마투아 Матуа 松輪島まつわとう 마쓰와 북쿠릴 주 사리체보 52km2
(20평방미)
0
라슈아 Расшуа 羅処和島らしょわとう 라쇼와, 라수츠아 북쿠릴 주 아치점 67km2
(26평방미)
0
스레드네고 Среднего 摺手岩すりでいわ 서라이드 북쿠릴 주 불명 0
우시시르 Ушишир 宇志知島うししるとう 우시시루 북쿠릴 주 크라테냐 리폰키차 5km2
(1.9 평방 밀리)
0
케토이 Кетой 計吐夷島けといとう 케토이 북쿠릴 주 스토로제바 73km2
(28평방미)
0
쿠릴스키 군 중쿠릴(나카치시마/中島) 양일본 집단으로 분열하다 쿠릴스크 리도보, 키토비, 리바키, 고랴치예클류치, 카사카, 부레베스트니크, 슈미고로독, 고르니 5,1802 km
(1,984 평방 mi)
6,606
시무시르 Симушир 新知島しむしるとう 시무시루, 신시루 북쿠릴 주 크라테니 스레드나야 만 360km2
(140 평방 mi)
0
브루토나 Броутона 武魯頓島ぶろとんとう 마칸루루 주 부로톤 북쿠릴 주 네도스투프니 7km2
(2.7 평방 밀리)
0
차포이 Чирпой 知理保以島ちりほいとう 치리호이치루포이 북쿠릴 주 페차나야 만 21km2
(8.1 평방 밀리)
0
브라트 치포예프 Брат Чирпоев 知理保以南島ちりほいなんじま 치리호이난 북쿠릴 주 가로브니코바 세메노바 16km2
(6.2 평방 밀리)
0
요람 Уруп 得撫島うるっぷとう 우루뿌 북쿠릴 주 마스 카스트리쿰 오스 반더린드 1,450 km2
(140평방미)
0
다른. 북쿠릴 주 4.4km2
(1.7 평방 밀리)
0
이투루프 Итуруп 択捉島えとろふとう 에토로후, 이토루푸 남쿠릴스 (미나미치시마 / 미나미치시마) 쿠릴스크 리도보, 키토비, 리바키, 고랴치예클류치, 카사카, 부레베스트니크, 슈미고로독, 고르니 3,280 km2
(1,194 평방 밀리)
6,602
유즈노쿠릴스키 군 남쿠릴 주 남쿠릴 주 유즈노쿠릴스크 말로쿠릴스코예, 루드나야, 라군노이예, 오트라다, 고랴치이 플랴지, 알리거, 멘델레예보, 두보보예, 폴리노, 골로브니노 1,860.8km2
(718.5 평방 mi)
10,268
쿠나시르 Кунашир 国後島くなしりとう 쿠나시리 남쿠릴 주 유즈노쿠릴스크 루드나야, 라군노예, 오트라다, 고랴치 플랴즈, 알리거, 멘델레예보, 두보예, 폴리노, 골로브니노 1,499km2
(579 평방 밀리)
7,800
시코탄 그룹 Шикотан 色丹列島しこたんれっとう 남쿠릴 주 말로쿠릴스코예 덤노바, 오트나야, 크라보자보드스코예(구 아나마), 즈베즈나야, 볼로시나, 크레이 스베타 264.13km2
(101.98 평방 mi)
2,440
시코탄 Шикотан 色丹島しこたんとう 남쿠릴 주 말로쿠릴스코예 덤노바, 오트나야, 크라보자보드스코예(구 아나마), 즈베즈나야, 볼로시나, 크레이 스베타 255km2
(98평방미)
2,440
다른. 남쿠릴 주 아이바조브스코보 9.1km2
(3.5 평방 밀리)
0
하보마이 Хабомаи 歯舞群島はぼまいぐんとう 하보마이 남쿠릴 주 조키 폴론스코고 97.7km2
(37.7 평방 밀리)
28
폴론스코고 Полонского 多楽島たらくとう 타라쿠 남쿠릴 주 모리아코프 베이 역 11.57km2
(4.47 평방 mi)
2
오스콜키 Осколки 海馬島かいばとう 도도, 카이바 남쿠릴 주 불명 0
젤료니 Зелёный 志発島しぼつとう 시보츠 남쿠릴 주 글루슈네프스키 역 58.72km2
(22.67 평방 mi)
3
하르카루 Харкар 春苅島はるかるとう 하루카루, 료미나시 남쿠릴 주 하루카 0.8km2
(0.31 평방 밀리)
0
유리 Юрий 勇留島ゆりとう 유리 남쿠릴 주 칼레나야 10.32km2
(3.98 평방 밀리)
0
아누차이나 Анучина 秋勇留島あきゆりとう 아키유리 남쿠릴 주 볼쇼예 만 2.35km2
(0.91 평방 밀리)
0
탄필리예프 Танфильев 水晶島すいしょうじま 스이쇼 남쿠릴 주 조키 볼로트노이예 주 탄필리예프카 만 12.92km2
(4.99 평방 mi)
23
스토로제보이 Сторожевой 萌茂尻島もえもしりとう 모에모시리 남쿠릴 주 0.07 km2
(0.027 평방 밀리)
0
리포비지 Рифовый オドケ島 오도케 남쿠릴 주 불명 0
시그널니 Сигнальный 貝殻島かいがらじま 카이가라 남쿠릴 주 0.02km2
(0.0077 평방 밀리)
0
다른. 남쿠릴 주 오파스나가, 우디비텔나야 1km2
(0.39 평방 밀리)
0
합계: 10,503.2km2
(4,055.3 평방 밀리)
19,434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Kuril Islands". Britannica.com.
  2. ^ 2013-04-24 GSEWayback Machine에서 아카이브
  3.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1-14. Retrieved 2011-02-01.{{cite web}}: CS1 maint: 제목으로 아카이브된 복사(링크)
  4. ^ "Kuril Islands: factfile". The Daily Telegraph. London. November 1, 2010.
  5. ^ a b Koike, Yuriko (31 March 2014). "Japan's Russian Dilemma".
  6. ^ 스물여섯 살★★★★★★★★★★★★★★★★★★★★★★★★★★★★★★★★★★★★★★★★★★★★★★★★★
  7. ^ 캘리포니아 크레센트 시티의 중부 쿠릴 섬 쓰나미 2010-02-26 남부 캘리포니아 웨이백 머신 대학에 보관
  8. ^ Clapham, P. J.; C. Good; S. E. Quinn; R. R. Reeves; J. E. Scarff; R.L. Brownell Jr (2004). "Distribution of North Pacific". Journal of Cetacean Research and Management. 6 (1): 1–6.
  9. ^ "Kuril islands (between Urup and Paramushir)". BirdLife Data Zone. BirdLife International. 2021. Retrieved 7 February 2021.
  10. ^ Stephan, John J (1974). The Kuril Islands. Oxford: Clarendon Press. pp. 50–56. ISBN 978-0-19-821563-9.
  11. ^ Stephan, John J. (1974). The Kuril Islands: Russo-Japanese Frontier in the Pacific. Clarendon Press. pp. 38–39. ISBN 9780198215639. Retrieved 27 January 2021. According to subsequent elaborations, a document in the Central State Archives [...] indicated that a merchant adventurer by the name of Fedot Alekseev Popov had reached the Kurils in 1649 after completing an odyssey from the Arctic [...] popular Soviet publications [...] have enshrined Popov as the discoverer of the Kurils.
  12. ^ Vysokov, Mikhail Stanislavovich (1996). A Brief History of Sakhalin and the Kurils. Sakhalin Book Publishing House. p. D-24. ISBN 9785884531222. Retrieved 27 January 2021. Russians first set foot on the Kuril islands in August 1711 , when a detachment of Kamchatka Cossacks under the leadership of Daniil Antsiferov and Ivan Kozyrevsky landed on Shumshu, the northernmost of the Greater Kurils.
  13. ^ 페어헤이븐의 엘리자베스 아담스 1847년 5월 29일 6월 13일 6월 24일 8월 1일 올드 다트머스 역사학회(ODHS); 에드가타운의 화려함, 1848년 8월 12일~6월 6일 니콜슨 포경 컬렉션(NWC); 메이직의 셰퍼드리스, 8월 30일케이프 혼 비둘기, 뉴 베드포드의 1892년 8월 23일~10일 KWM.
  14. ^ 낸터킷의 렉싱턴, 1855년 5월 31일 낸터킷 역사 협회
  15. ^ Starbuck, Alexander (1878). History of the American Whale Fishery from Its Earliest Inception to the year 1876. Castle. ISBN 1-55521-537-8.
  16. ^ 프렌드 (V. V. 12, 1856년 12월 11일, 93페이지, 호놀룰루)
  17. ^ 케이프 혼 피죤, 뉴 베드포드의 1892년 9월 10일~10월 1일 KWM.
  18. ^ Loos, Noel; Osani, Takeshi, eds. (1993). Indigenous Minorities and Education: Australian and Japanese Perspectives on their Indigenous Peoples, the Ainu, Aborigines and Torres Strait Islanders. Tokyo: Sanyusha Publishing Co., Ltd. ISBN 978-4-88322-597-2.
  19. ^ a b Levinson, David (2002). Encyclopedia of Modern Asia. Vol. 1. Charles Scribner's Sons. p. 72. ISBN 978-0-684-80617-4.
  20. ^ Siddle, Richard (1996). Race, Resistance, and the Ainu of Japan. Routledge. p. 51. ISBN 978-0-41513-228-2.
  21. ^ Howell, David (1997). "The Meiji State and the Logic of Ainu 'Protection'". In Hardacre, Helen (ed.). New Directions in the Study of Meiji Japan. Leiden: Brill Publishers. p. 614. ISBN 978-9-00410-735-9.
  22. ^ Gawne, Jonathan (2002). Ghosts of the ETO: American Tactical Deception Units in the European Theater, 1944–1945. Havertown, Pennsylvania: Casemate (published 2007). p. 10. ISBN 9781935149927. Retrieved 27 January 2021. Operation WEDLOCK in 1944 created a notional force in the northern Pacific that appeared ready to invade the Kuril Islands. This pinned down Japanese troops and equipment in an area the Americans had no intention of attacking.
  23. ^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Diplomatic Papers, Conferences at Malta and Yalta, 1945 - Office of the Historian". history.state.gov. Retrieved 2019-04-04.
  24. ^ "Распоряжение Правительств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от 08.02.2017 № 223-р" (in Russian). Publication.pravo.gov.ru. 8 February 2017. Retrieved 11 February 2017.
  25. ^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의 수익금이 이 지역의 높은 빈곤 수준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었습니다."동유럽, 러시아중앙아시아, s.v. 사할린주" (유로파 출판물) 2003.
  26. ^ "Profile on Yuzhno-Kurilsk Mendeleyevo Airport". Retrieved May 24, 2014.
  27. ^ "Islands disputed with Japan feel Russia's bo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10-29.
  28. ^ "러시아, 쿠릴열도 주장 방어 움직임"RIA Novosti, 2011년 2월 9일
  29. ^ [1]

추가 정보

  • Gorshkov, G. S. Volcanism, 그리고 쿠릴레 섬의 상부 맨틀 조사.지구과학에 관한 논문들.뉴욕: 플레넘 프레스, 1970.ISBN 0-306-30407-4
  • 크라셰니코프, 스테판 페트로비치, 제임스 그리브.캄차카와 쿠릴스키 제도의 역사, 인접한 나라들.시카고:사각형 북스, 1963년
  • 리즈, 데이비드소련의 쿠릴레스 점령.뉴욕: Praeger, 1985.ISBN 0-03-002552-4
  • 타카하시, 히데키, 오하라 마사히로.쿠릴열도와 사할린의 생물다양성과 생물지리학.홋카이도 대학 박물관 회보 제2호 - 일본 삿포로 :홋카이도 대학 박물관, 2004년.
  • 하세가와 츠요시적과 경쟁하는 것: 스탈린, 트루먼, 그리고 일본의 항복. 2006년.ISBN 978-0-674-02241-6.
  • 앨런 캐서린과 데니스 클리어리입니다.반갑지 않은 회사. 1984년 도쿄와 쿠릴레 가족을 배경으로 한 픽션 스릴러 소설로, 경비행기 추락과 러시아령 영토로부터의 탈출을 다루고 있다.Kindle의 경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