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E. 스테디

A. E. Staley
Tate & Lyle Factories Americas LLC
이전에A. E. 스테디 제조 회사(1906-1985)
스티니 컨티넨탈 주식회사 (1985-1993)
A. E. 스테디 제조 회사(1993-2005)
유형자회사
설립됨1906년(A. E. 스테디 제조회사로 법인)
본부미국 일리노이 디케이터
상품들녹말
감미료
부모테이트 & 라일 PLC

Tate & Lyle Materials Americas LLC(구 A. E. Steeny Manufacturing Company)는 Tate & Lyle PLC의 미국 자회사로 식품, 종이 및 기타 산업용 녹말 제품, 고과당 옥수수 시럽, 결정과당 및 기타 농공업 제품을 생산한다. 이 회사는 1906년 아우구스투스 유진 스티니에 의해 A. E. 스테디 제조 회사로 합병되었다.

역사

옥수수 시럽을 실은 테이트 & 라일 탱크차

아우구스투스 유진 "제네" 스티디 (Augustus Eugene "Gene" Steeny, 1867년 2월 25일 – 1940년 12월 26일)[1]는 1898년 볼티모어에서 자신의 크림 브랜드로 콘스타치를 리패킹하고 판매하는 사업을 시작했다. 1906년 11월 6일, 그는 자신의 식품 전분 생산을 시작하기 위해 이 사업을 A. E. 스테디 제조회사(A. E. Custy)로 편입시켰다. 1909년 진 스테니는 일리노이 디케이터에 있는 작동하지 않는 옥수수 녹말 공장을 구입했다.[2] 그는 4만 5천 달러를 지불하고 주주들로부터 모금한 자본으로 공장을 재건하고 업그레이드하는데 3년을 보냈다.[3] 그 공장은 1912년 3월 12일에 가공을 시작했다.[4]

A. E. 스테니는 미국에서 가장 큰 옥수수 가공품 중 하나가 되었으며, 일리노이주 디케이터에 본사를 둔 아처 대니얼스 미들랜드(ADM)에 이어 두 번째가 되었다. 일리노이주 디케이터 공장에서 ADM과의 파트너십 협약에 따라 콩도 가공했다. ADM은 자회사를 통해 A. E. Steiny의 지분 7.4%를 소유했으며, 회사가 제품을 공급하지 않을 때 CPC International의 옥수수 시럽 주문을 채우는 데 A. E. Steiny를 종종 도왔다. 두 회사 모두 중앙아메리카에서 옥수수 감미료를 생산하는 합작법인을 설립했다.[5]

A. E. Custiny는 또한 크림 콘 전분, 스테이시 팬케이크 및 와플 시럽, Sta-Puf 직물 유연제, Sta-Flo 액상 전분, Sno Boll 변기 세척제 등 많은 유명 식품 및 가정용 브랜드를 생산했다. 이후 식품과 가정용 브랜드는 1981년에 퓨렉스 인더스트리즈에 판매되었다.[6]

1985년 A. E. 스테니는 도매 식료품 회사인 CFS 콘티넨탈을 3억 6천만 달러에 구입했다. A. E. 스테니는 대량 식품 가공에서 벗어나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인수 후 A. E. 스테니는 스테디 컨티넨탈 주식회사로 이름을 바꾸었다. (1993년까지)[7]

1988년 영국 기업 테이트 라일은 A. E. 스테니의 90%를 14억2000만 달러에 인수했다.[8] 구매에 앞서 테이트앤라일은 CFS 콘티넨탈을 또 다른 도매 식료품점인 SYSCO에 7억 달러에 매각해 인수 자금을 조달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9] 2000년에 테이트 & 라일은 회사의 나머지 10%를 인수했다.

2005년에 이 회사는 이름을 Tate & Lyle Factors America LLC로 바꾸었다.

1993년 노동절폐 논란

1993년 6월 27일 일요일, A. E. Steiny 관리들은 미국 연합 산업 노동자 연합의 일원이었던 A. E. Steiny 직원들을 폐쇄하기로 결정했다. [10] 이번 직장폐쇄 사건은 10년 가까이 사측과 스테디 노조간 노사분규의 결과였다. 임금과 임금의 감소는 1985년 A. E. Steiny가 Continental Foods와 합병하여 Steiny Continental을 형성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3년 동안 노조는 경영진이 공장이 존속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해 양보할 수밖에 없었다. 기본급은 시간당 10달러 80센트로 동결됐고 근로자들은 장시간 야근과 안전 조건 하락을 호소했다. 런던에 본사를 둔 테이트 & 라일이 1988년에 A. E. 스테디를 구입한 후, 공장 노동자들의 상황은 더 악화되었다. 1989년에 새로운 3년 계약을 위한 계약 협상이 시작되었다. 교섭위원회가 임금 동결과 안전 기준 개선을 희망하고 있는 동안, 회사는 많은 안전 절차를 없앨 뿐만 아니라 교대 근무와 직업의 책상과 같은 새로운 관행을 안내하고 있었다.

1991년 노조의 파업 관행을 홍보한 것으로 알려진 노동관계국장을 새로 채용했다. 공장에서 수 년, 수십 년의 경력을 가진 노동자들은 해고되었고 새로운 감독관들은 노동자들에게 OSHA 규정을 무시하도록 강요했다. 매년 7회 이상 결석하면 해고되고 결석 허용 건수가 매년 줄어든다는 사실을 알고 근로자들은 충격을 받았다. 몇 달 후, 회사 경영진은 즉각적인 해지의 근거가 되는 일련의 새로운 범죄를 발표했다. 이 목록에는 "지정된 구역 밖에서 흡연, 빈둥빈둥 놀고, 정직하지 못하고, 근무 중 잠을 자고, 반항하고, 지시에 따라 초과근무를 거부하고, 카메라를 무단 점유하고, 욕설을 하거나 위협적인 언사를 사용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이는 고용주가 '정당한 사유'를 갖지 않고는 직원을 해고할 수 없다는 노조계약에 대한 중대한 위반이었다. 이 새로운 규정 때문에, 지난 20년 동안 해고되었던 것보다 더 많은 노동자들이 다음 해 동안 해고되었다.

기후를 고려할 때, 계속되는 계약 협상이 성공하지 못한 것은 놀랄 일이 아니었다. 노조는 제리 터커의 지도 아래 노동자들이 파업에 돌입하지 않고 직장에서의 행동을 변화시켜 공정한 캠페인에 도달하도록 경영진을 압박하는 소내 '통치를 위한 일' 캠페인을 조직하기 시작했다. A. E. 스티니에서 이는 근로자들이 과거 지식과 경험 없이 상사에게 시키는 일만 하기로 집단적으로 결정했다는 것을 의미했다. 그들은 단지 그들의 대략적인 직무만 수행했을 뿐 그 외는 아무것도 수행하지 않았다. 노동자들의 지식과 기술 없이는 공장이 운영될 수 없다는 것을 경영진에게 보여주는 것이 통치 캠페인의 목표였다. 여러 가지 면에서 A. E. 스테니는 이런 종류의 노동 전술을 위한 완벽한 환경이었다. 대부분의 노조원들은 수년간 제품의 전반적인 생산과 품질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습득했기 때문이다. 경영진과 새 감독관들은 단지 근로자들에게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이는 통치 캠페인이 일어난 이후 11개월 동안 생산이 급격히 감소했다는 사실에서 증명되었다. 회사 대변인은 생산량이 32%[11][page needed] 감소했다고 추정했지만 노조 추정치는 50% 이상이었다.

뉴욕타임스는 A.E.스티니 노조원들의 폐쇄로 이어진 이번 결정은 직원들이 폐쇄 전 몇 주 동안 공장 운영을 방해해왔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라고 보도했다. 미국 연합 산업 노동자 대표들은 폐쇄된 지 9개월을 거슬러 올라가면서 어떤 직원도 사보타주로 징계를 받았다는 보고는 없었다고 주장했다.[10]

그 폐쇄는 1996년에 끝날 2년 반의 노동운동을 야기할 것이다. 이 기간 동안 노조원들은 12시간 교대근무와 야근 의무화를 없애고 안전 우려를 해소하는 공정한 계약을 따내기 위해 투쟁했다.[12] 1994년 8월 다른 두 디케이터에 본사를 둔 캐터필러 사와 파이어스톤 타이어와 고무 회사의 노조원들이 계약 분쟁으로 퇴사하고 A. E. 스테니 사의 노조원들과 함께 시위, 피켓팅, 대중 시위에 참여하면서 이 폐쇄는 전국적인 노동운동으로 변했다.[13]

시카고 베어스 축구팀

"진 스테스티가 없었다면 시카고 베어스는 없었을 겁니다.
스테디 회사는 내셔널 풋볼 리그의 창립에 간접적이고도 부분적으로 책임이 있었다."

George Halas, [14]

1917년 A. E. 스테니의 펠로우쉽 클럽은 미래의 야구 명예의 전당 맥기니티가 관리하는 야구팀을 결성했다.[15] 진 스테디는 그것이 그의 직원들에게 인격을 형성하고 경쟁의식을 심어준다고 믿으며 스포츠 팬이었다. 2년 후, 펠로우쉽 클럽은 축구 상대를 만들었다.[16] 양 팀의 선수들은 그의 공장에서 준 프로페셔널로 일했다. 디케이터 스티니스라는 별명이 있고 브레넌이라는 코치가 이끄는 이 축구팀은 1919년 독립 서킷에서 경쟁했는데, 첫 경기에서 패한 후, 이 팀은 6연승을 거두며 6 대 1로 승리했다.[17]

1920년 3월, 마이너리그 야구 선수 겸 대학 축구 선수인 조지 할라스가 A. E. 스테니 감독 조지 체임벌린의 초청을 받아 축구팀을 이끌었다.[18] 할라스는 전임 동료들을 영입하고 초청해 회사를 위해 일할 수 있다는 조건에 동의했고, 체임벌린은 이를 받아들였다. 할라스는 자서전에서 "나는 의기양양했다"고 썼다. "나는 그 제안을 흥미진진한 기회로 보았지만, 스테디씨가 나에게 열어주고 있는 엄청난 미래를 의심하지는 않았다."[19] 할라스는 체중계 점원으로 일하는 것 외에도 축구와 야구팀에서 뛰었다. 여름에 그는 미국 프로 축구 협회(APFA)를 결성하는데 도움을 주었고, 결국 미국 프로 축구 리그가 될 것이다.[20] 스테니스는 1920시즌에 10-1-2로 뒤져 Akron Pros에게 패했다.[21] 의 홈경기 중 상당 부분이 스테디필드에서 열렸지만 경기장에 1500명만 팬이 몰리고 티켓 판매로 충분한 돈을 벌지 못해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회사 직원들이 입장권을 50% 할인받으면서 상황은 더 악화되었다. 할라스는 금전적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해 시카고 컵스 파크에 시카고 카디널스와의 경기를 옮기기로 결정했다.[22] 그럼에도 불구하고 A. E. 스테니의 자금은 계속 빠져나갔고, 회사는 14,406.36달러의 손실을 입고 1920년 시즌을 마감했다. 보상으로 진 스테니는 연습에 사용되었던 2.5시간의 작업을 갚으라고 팀에 명령했다.[23]

할라스는 1921년 3월 A. E. 스테니의 운동 감독이 되었다.[20] 1920-21년의 불경기가 닥치자 진 스티니는 할라스를 설득하여 1921년 APFA 시즌에 대비해 팀을 시카고로 옮기도록 했고, 스테니스라는 이름을 유지하는 대가로 팀 자금과 회사 홍보를 위해 5천 달러를 주었다.[24] 현재 시카고 스테니스로 알려진 이 팀은 9 대 1 대 1의 기록으로 우승을 차지했다.[25]

1922년 리그 회의 동안, 스테니스의 소유권에 대한 논쟁이 불붙었다. 할라스와 파트너 네덜란드 스테르나만이 팀을 운영했지만, 에이전트 빌 할리도 같은 일을 하려고 했다. APFA가 스테디와 접촉했을 때, 그는 시카고로의 이적에 할라스도 팀의 전 소유권을 상속받는 것이 포함되었다고 응답했다. 8 대 2의 투표에서, 리그 소유주들은 할라스/스테르나만에게 찬성하기로 결정했다. 할라스는 나중에 그 팀의 이름을 시카고 베어스로 바꾸었다.[26] 비록 그는 더 이상 팀을 소유하지 않았지만, 스테니는 정기적으로 베어스 경기에 참석했고 그들에게 "트랜스포트"[14]라는 별명을 붙여주었다.

1956년 10월, A. E. 스티니의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할라스는 리글리 필드에서 열린 베어스-발티모어 콜츠 경기를 위해 "스탈리 데이"를 조직했다. 베어스는 회사원 1000석을 예약하고 9월 3일부터 10일까지만 게임 티켓을 구매할 수 있도록 했으며 와바시 철도디어본역에서 경기장까지 특별열차를 지정했다.[27] 할라스는 살아남은 스테디 팀 동료들을 경기에 초대하고 저녁 식사를 대접했으며,[23] 스테디의 아들 A. E. 스테디 주니어와 디케이터 시장 클라렌스 A를 초대했다. Sablotny도 이 게임에 참석했다. 베어스는 1940년 이후 가장 많은 58-27로 승리했다.[28]

스테디는 베어스의 마스코트인 스테디 다베어의 이름을 딴 역할을 한다.[29]

디케이터 호

1922년 진 스테니는 디케이터 시에 일리노이에서 가장 큰 인공수역인 디케이터 호수를 만드는 프로젝트를 제안했다. 스테니는 생산 유지를 위해 하루에 1,900만 갤런의 물을 필요로 하는 공장의 필요성을 유지하기 위해 인공 호수를 필요로 했다. 스테니는 디케이터 시 의회에 만일 도시가 인공호수의 건설을 허락하지 않을 경우 자신의 공장을 폐쇄하고 일리노이주 피오리아로 옮기겠다고 위협했다. 디케이터는 이 회사가 이 프로젝트를 추진할 수 있도록 했고, 1922년에 2,800개의 아치와 30마일의 인공호수 해안선 건설이 시작되었다.[30]

참고 항목

참조

  1. ^ A. E. 스테디 제조 회사(1922–1980년대): 소이와 작업
  2. ^ 비즈니스 정책 의사결정 구글 서적
  3. ^ 애쉬비 & 호킹 2009, 페이지 8.
  4. ^ 아우구스투스 유진 스티니 – 2011년 1월 7일 웨이백 기계보관테이트 & 라일
  5. ^ 애쉬비 & 호킹 2009년 페이지 20–21.
  6. ^ "Purex Industries Inc". United Press International. 26 October 1981. Retrieved 2 December 2018.
  7. ^ [1] Nordlund: Steeny-CFS Continental 딜의 배후 인물 – 1984년 11월 5일, Don Jeffrey Recovered 2011년[dead link] 2월 9일자의 Don Nordlund National 레스토랑 뉴스
  8. ^ Siler, Julia Flynn (14 May 1988). "Staley accepts offer by Tate & Lyle".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2 December 2018.
  9. ^ Liz Sly (Jun 7, 1988). "TATE & LYLE TO SELL CFS TO SYSCO CORP". Chicago Tribune (NATIONAL, C ed.). p. 1.
  10. ^ a b Uchitelle, Louis (June 29, 1993). "COMPANY NEWS; 800 Workers Locked Out By Staley".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27 October 2013.
  11. ^ 애쉬비 & 호킹 2009.
  12. ^ Cloud, Diana (May 2005). "Fighting Words: Labor and the Limits of Communication at Staley, 1993 to 1996".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8 (5): 509. doi:10.1177/0893318904273688. ISSN 0893-3189. S2CID 144120518.
  13. ^ Moberg, David (November 11, 1994). "Labor Intensive Illinois Town Becomes A Rallying Point For Striking Workers And Their Backers". Chicago Tribune. Retrieved 27 October 2013.
  14. ^ a b 애쉬비 & 호킹 2009, 페이지 9.
  15. ^ Peterson, Robert (1997). Pigskin: The Early Years of Pro Football. Oxford University Press. p. 68. ISBN 0195353307.
  16. ^ Sorensen, Mark W. "History of the Decatur Staleys / Chicago Bears". Staley Museum. Retrieved March 10, 2018.
  17. ^ "1919 Decatur Staleys". Pro Football Archives. Retrieved March 10, 2018.
  18. ^ Halas, George; Gwen Morgan; Arthur Veysey (1979). Halas By Halas. McGraw Hill. pp. 53–54.
  19. ^ 윌리스 2010, 페이지 121-122.
  20. ^ a b Sorensen, Mark W. "George Stanley Halas". Staley Museum. Retrieved March 10, 2018.
  21. ^ "1920 Decatur Staleys Statistics & Players". Pro-Football-Reference.com. Retrieved March 10, 2018.
  22. ^ 윌리스 2010 페이지 131.
  23. ^ a b "Staleys, Shades of Early Bears, to Meet". Chicago Tribune. October 17, 1956. Retrieved March 10, 2018 – via Newspapers.com.
  24. ^ Willis 2010, 페이지 141–142.
  25. ^ "1921 Chicago Staleys Statistics & Players". Pro-Football-Reference.com. Retrieved March 10, 2018.
  26. ^ 윌리스 2010 페이지 148.
  27. ^ "Halas Plans Staley Day As Tribute". The Decatur Review. August 31, 1956. Retrieved March 10, 2018 – via Newspapers.com.
  28. ^ "Fans Go to Chicago Bears Game to Help Honor Old-Time Staley Players". The Decatur Review. October 28, 1956. Retrieved March 10, 2018 – via Newspapers.com.
  29. ^ "Staley Da Bear's Bio". Chicago Bears. February 13, 2013. Retrieved March 10, 2018.
  30. ^ Mathew, Jan. "Evolution of the Lake". Decatur Magaz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October 2013. Retrieved 20 October 2013.

추가 읽기

  • Ashby, Steven K.; Hawking, C. J. (13 March 2009). Staley: The Fight For A New American Labor Movement.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ISBN 9780252076404.
  • Willis, Chris (August 19, 2010). The Man Who Built the National Football League: Joe F. Carr. Scarecrow Press. ISBN 978-0810876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