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W. 로렌스

A. W. Lawrence
옴니버스의 A. W. 로렌스(BBC, 1985년)

아놀드 월터 로렌스 FBA(Arnold Walter Lawrence FBA, 1900년 5월 2일 ~ 1991년 3월 31일)는 영국의 고전 조각과 건축 권위자였다. 그는 1940년대에 케임브리지 대학교고전 고고학 교수로 재직했고, 1950년대 초 아크라에서 그는 후에 가나 박물관과 기념물 위원회가 되고 가나 국립 박물관이 되었다. 는 T. E. 로렌스의 막내 동생이자 그의 문학 집행관이었다.

초년기

1910년 로렌스 형제 – 토마스(왼쪽), 프랭크, 아놀드(센트리), 밥과 윌

아놀드 로렌스는 1900년 5월 2일 옥스퍼드폴스테드 로드 2번지에서 웨스트미트 카운티 출신의 앵글로-이리쉬 귀족인 토마스 채프먼 경(1914년 7대 남작)과 사라 준너(1861~1959)가 낳은 다섯 아들 중 막내로 태어났다. 이 커플은 미혼이었지만 "토마스 로버트 로렌스"와 "사라 로렌스"라는 이름을 땄다. 그들의 둘째 아들은 에 "아라비아의 로렌스"로 명성을 얻은 T. E. 로렌스였다. 그와 아놀드 로렌스는 친했다.[1]

로렌스 아이들은 옥스포드에서 신앙심이 깊은 어머니에 의해 길러졌다. 그러나 아놀드 로렌스는 노골적인 반종교적 견해를 피력했다; 그는 한때 "모든 종교는 해충"이라고 말했다.[2] 옥스퍼드주 뉴 칼리지에 입학하기 전 옥스퍼드 고등학교 소년학교를 다녔고, 1920년[1] 고전고고학 학위를 취득했으며, 1921년 문학 휴머니오어 3등으로 졸업했다.[3] 고전 고고학은 그의 두 번째 선택이었다; 젊은 A. W. 로렌스는 남미 고고학에서 전문화하기를 원했지만, 어떤 영국 대학도 과정을 제안하지 않았다.

아놀드 로렌스는 1921년 로마에 있는 영국학교에서 1926년까지 아테네에 있는 영국학교에서 공부했다.[3] 1923년, 로렌스는 제1차 세계대전 전 T. E. 로렌스가 카르케미시에서 발굴한 레오나드 울리가 지휘한 우르 발굴 작업을 했다.[4] 1925년에 로렌스는 바바라 이네스 톰슨(1902–1986)과 결혼했는데,[1] 이 톰슨은 제인 헬렌 테라 로렌스(1926–1978)와 함께 한 아이를 낳았다.[3]

A. W. 로렌스는 캐슬린 스콧의 "청춘"(1922/3)의 모델이었다.

로렌스는 1922년 12월에 조각가 캐슬린 스콧의 모형을 만들었다.[5] "청춘" 동상은 나중에 캠브리지의 스콧 극지 연구소에 세워졌다.[6][2]

1935년 T. E. 로렌스가 사망한 후 A. W. 로렌스는 형에 대한 기억을 홍보하여 형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언론에서 그의 인물의 잘못된 표현을 바로잡으려고 시도했다.[7] 1936년, A. W. 로렌스는 클라우드 힐을 내셔널 트러스트에 주었고, 지금은 박물관이 되었다.[8] T. E.의 영원한 명성은 A. W.에게는 부담이었다; 20대 초반부터 그가 죽는 날까지, 많은 사람들은 A. W. 로렌스를 주로 다른 누군가의 형으로 보았다.[citation needed]

학력

그는 서아프리카의 요새뿐만 아니라 그리스 건축과 조각에 대해서도 폭넓게 글을 썼다.[9] 1930년에 그는 케임브리지 대학고전 고고학에서 로렌스 독자층에 선출되었다. 1944년에 그는 A. J. B.의 뒤를 이었다. 케임브리지의 로렌스 고전고고고학 교수웨이스케임브리지의 예수 대학에서 펠로우쉽에 선출되었다.[3] 1951년 그는 T. E. 로렌스로부터 물려받은 주제인 고대 요새 연구를 위한 레버훌메 연구 펠로우쉽을 취득했다. 1951년 케임브리지에서 사임하여 국립박물관을 설립하고 기념물유물위원회의 비서 겸 관리위원을 역임한 골드코스트 대학 고고학 교수가 되었다. 그는 가나가 독립한 후 1957년에 이 직책에서 물러났고, 곧 요크셔의 파텔리 다리에 정착한 후, 후에 Bouthwaite로 이사했다.[3]

1985년 여름, 로렌스는 줄리아 동굴에서 BBC 옴니버스 프로그램을 위해 T. E. 로렌스에 관한 인터뷰를 가졌다.[1]

1985년 9월, 그와 그의 아내가 더 이상 운전을 할 수 없게 되자, 그들은 두 손자가 살고 있는 곳과 가까운 빅글레스웨이드 근처의 랭포드로 이사했다. 1986년 11월 아내의 죽음에 따라 로렌스는 윌트셔 데비즈에 있는 친구 겸 동료 고고학자 페기 귀도(1912~1994)의 집으로 이사했다. 그곳에서 그는 결코 완성되지 않은 1935년 작 Annotated Herdotus의 새 판을 준비하기 위해 일했다. 1991년 3월 31일 데바이즈의 롱스트리트 44번지에서 9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 미완성된 헤로도토스 자료는 나머지 로렌스 논문들과 함께 보들리언 도서관에 넘겨졌다.[7]

로렌스는 영국 사관학교의 펠로우였다.

책들

  • 로렌스, A. W. 후기 그리스 조각과 영향. 런던: 조나단 케이프; 뉴욕: 하코트 브레이스, 1927.
  • 로렌스, A. W. 고전 조각상 초기 시대부터 콘스탄티누스의 죽음까지의 역사. 런던: 조나단 케이프, 1929년.
  • 로렌스, A. W. 에드 티푸의 포로: 생존자의 내러티브 런던: 1929년 조나단 케이프.
  • 로렌스, A. W. 에드. 디스커버리 오브 아메리카의 내러티브. 런던: 조나단 케이프, 1931.
  • 로렌스, A. W. 헤로도투스, 롤린슨의 번역 수정 주석 달기. 런던: 노네수치 프레스, 1935.
  • 로렌스, A. W. 에드. T.E. 로렌스, 그의 친구들. 런던: 조나단 케이프; 가든 시티, 뉴욕: 더블데이, 1937.
  • 로렌스, A. W. 에드 T.E. 로렌스의 동양 의회. 런던: 윌리엄스 & 노게이트, 1939년
  • 로렌스, A. W. 그리스 건축. 런던: 펭귄; 뉴 헤이븐: 예일 대학교 출판부, 1957; 2차 개정 1967.
  • 로렌스, A. W. 에드. T.E. 로렌스에게 보내는 편지. 런던: 조나단 케이프, 1962년.
  • 로렌스, A. W. 트레이드 캐슬과 포츠 서아프리카. 런던: 조나단 케이프; 팔로 알토, CA: 스탠포드 대학 출판부, 1963.
  • 로렌스, A. W. 그리스 로마 조각상. 런던: 조나단 케이프, 1972.
  • 로렌스, 요새의 그리스 목표들 옥스퍼드: 클라렌던 프레스, 1979.

참조

  1. ^ a b c d "Biography of Lawrence at Dictionary of Art Historian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November 2009. Retrieved 17 October 2009.
  2. ^ a b Cave, Julia (8 April 1991). "Brotherly reminders and Avesbury saved". The Guardian. p. 35. ProQuest 187220904.
  3. ^ a b c d e f R. M. Cook, '로렌스, 아놀드 월터(1900–1991), 옥스퍼드 국립 전기 사전,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2004년 9월, 온라인 에든, 2009년 5월, 2009년 10월 17일에 접속
  4. ^ "Professor A. W. Lawrence". The Times. 6 April 1991. p. 10. Retrieved 25 April 2019 – via Gale Group.
  5. ^ Jolley, Alison (2011). "Let Light Perpetual Shine". The T.E. Lawrence Society Newsletter (97): 11. Retrieved 6 October 2018.
  6. ^ "History of the Institute". Scott Polar Research Institute, Cambridge. Retrieved 25 April 2019.
  7. ^ a b "Papers of T.E Lawrence and A.W. Lawrence". The Archives Hub.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May 2012. Retrieved 25 April 2019.
  8. ^ Historic England. "Clouds Hill (Lawrence of Arabia's Cottage) (1120423)". National Heritage List for England. Retrieved 25 April 2019.
  9. ^ "Greek Architecture". Yale University Pres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June 2011. Retrieved 17 October 2009.

외부 링크

학무실
선행자 로렌스 고고학 교수 케임브리지 대학교
1944–1951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