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런 뱅크

Aaron Bank
애런 뱅크
태어난(1902-11-23)1902년 11월 23일
미국 뉴욕시, 뉴욕시.
죽은2004년 4월 1일(2004-04-01) (101)
미국 캘리포니아다나포인트
파묻힌
얼리전스 미국
서비스/지점 미국 육군
근속년수1942–1958
순위대령
보유된 명령제10특수전단
전투/와이어제2차 세계 대전
배우자
캐서린 수잔 와그너
(m.1948)
아이들.2

애런 뱅크(Aaron Bank, 1902년 11월 23일 ~ 2004년 4월 1일)는 미 육군 대령으로, 흔히 "그린 베레트"로 알려진 미군 특수부대를 창설하였다. 2차 세계대전 중 프랑스 저항군을 조정하기 위해 낙하산으로 프랑스에 낙하산을 타고 들어와 아돌프 히틀러를 포로로 잡으려는 작전을 조직한 OSS 장교로서의 공로도 유명하다. 은퇴 후, 은행은[1] 테러리즘과 현대 기술에 대해 경고했다. 그는 1970년대 초부터 미국 원전의 높은 수준의 보안을 책임지고 있다.

전기

제2차 세계 대전 경력

은행은 뉴욕에서 자랐다. 그의 아버지는 1904년에 돌아가셨고 그의 과부 어머니는 프랑스어, 독일어, 피아노 등을 가르치며 생계를 유지하다가 그를 키웠다. 젊은 시절, 뱅크스는 뉴욕 롱아일랜드와 바하마에서 생명수호원으로 일했고, 이후 비아리츠에 있는 고급 리조트에서 생명수호장으로 일했다.

1942년 8월 19일 육군에 입대하였고, 이후 특별 작전 업무에 자원하였다. 그는 30대 후반으로, 전투에 「너무 나이가 많다」고 생각했지만, 유별나게 운동하는 사람이어서 전략 서비스국(OSS)에 합격했다.

OSS는 사보타주 및 게릴라전을 위한 첩보작전(SI지부)과 특수작전(SO지부)을 실시했다. 은행은 SO 지사에 배속되었고, 1944년 7월 31일 제드버그 팀 PACKARD를 지휘하여 프랑스 로제레 부로 낙하산을 타고 들어가 프랑스 레지스탕스와 연계하였다.[2]

드라군 작전(노르망디 D데이 침공 후 약 6주 후 연합군의 남프랑스 침공)으로도 알려진 '안빌 작전'(Action Anvil) 당시 뱅크와 그의 프랑스 빨치산들은 연합군보다 앞서 독일군을 해안가에서 몰아내면서 정규군이 도착하기 전에 수많은 프랑스 도시들을 해방시켰다.

1944년 말과 1945년 초 뱅크스는 아돌프 히틀러를 포로로 잡거나 죽이려는 계획으로 발전한 '철십자 작전'[3]을 주도했다 OSS는 히틀러에 반대한 독일군 포로들을 모집하여, 주로 독일 공산주의자였던 옛 독일군들과, 이방인 행세를 하며 베흐마흐트로 피신했던 독일 유대인 중에서 많은 자원자들을 찾아냈다. 그들은 낙하산 보병으로 훈련된 특수부대를 구성했다. SS 제복을 착용하고 "공습과 강탈" 임무를 위해 훈련된 그들은 나치 고위 관리들이 전진하는 연합군에 대항하여 최후의 저항을 할 계획이었던 오스트리아/독일 국경의 예상 "알파인 리두트"에 삽입하기 위한 것이었다.

히틀러는 소련군이 수도에 진입하기 전에 베를린에서 피신하여 알프스 레두브로 은퇴할 것으로 예상되었기 때문에 OSS 총책임자인 윌리엄 조셉 도노반 장군은 "은행에 히틀러를 잡으라"는 명령을 내렸다.

'아이언 크로스'는 히틀러가 베를린에 남아 있었다는 첩보가 전해졌기 때문에 처형 전날 거의 취소되었다. (그는 1945년 4월 30일 자신의 베를린 벙커에서 자살했다.) 게다가 101공수단과 7군단은 너무 빨리 진격하여 '철십자사'가 실행되기 전에 존재하지 않는 알프스 리두트를 점령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뱅크의 적 제복 지원병들도 연합군의 주요 목표물이 될 것이다.)[4]

1945년 5월 독일의 항복과 함께 뱅크(Bank)는 태평양 극장에 재배치되었고, 그곳에서 인도차이나에 삽입되어 호치민과 연계되어 일본인에 대한 저항을 주도하였다. 은행은 호와 함께 베트남을 여행하며 상당한 시간을 보냈고 호가 베트남 인구 사이에서 두드러진 인기에 감명을 받았다. 은행은 호가 큰 인기를 끄는 OSS에 조언하고, 호가 연립정부를 구성할 수 있도록 권고한 뒤, 호가 실시되면 민선이 압도적으로 승리할 것으로 예측했다.

은행의 추천이 해리 S 대통령에게 도달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트루먼, 그러나 미국의 정책은 반대였다. 호는 1920년대 파리에서 입당한 오랜 공산당원이었고, 따라서 연립정부의 지도자로서 받아들일 수 없는 것으로 여겨졌다. 일부 프랑스 '비치' 군대는 인도차이나에 남아 있었고, 미국은 이제 이러한 잔존세력을 이용해 호를 봉쇄하고 인도차이나를 프랑스의 식민지로 복위시키는 데 동의하였다. 트루먼 대통령과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는 프랑스인들에게 재정적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인도차이나 전쟁과 궁극적으로 베트남 전쟁으로 이어졌다.

뱅크는 프랑스 관리들에 의해 라오 잇사라와 베트민 민족주의 단체들 사이에서 반프랑스 선전을 확산시켰다는 비난을 받았다. 이들 사건은 1945년 9월 27일 피터 켐프가 이끄는 영국 일행이 태국 북동부의 기지에서 메콩강을 건너 무장한 베트민 순찰대에 둘러싸여 프랑스 중위의 항복을 요구하면서 절정에 달했다. 베트민은 영국군의 보호를 받으면서도 프랑스 중위를 암살했다. 미국의 OSS 장교, 중위. 리스는 켐프와 프랑스 장교와 함께 있었고 그가 "중립적"이라고 말하면서 옆으로 비켜섰다. 켐프는 리스가 어떤 기개를 보였더라면 프랑스 장교는 죽이지 않았을 것이라고 믿었다. 은행과 OSS 임무는 쿤밍의 당국에 의해 회수되었다.[5][6]

전후 활동과 특전사 창설

전쟁 후 뱅크(Bank)는 육군에 남아서 OSS의 SO 지부에 해당하는 전문 특수부대(비관습전) 사단 형성의 주도적인 주창자가 되었다. 필리핀에서 게릴라로 활동하던 러셀 W. 볼크만 대령과 함께 소련이 장악하고 있는 동유럽 국가들에 '철의 장막' 뒤에 이 병력을 배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그 곳에서 지역 저항 운동이 일어날 가능성이 실제로 있었다.

1952년 뱅크는 제10기 특수부대라고 불리는 육군 최초의 특수부대 사령관이 되었는데, 이 숫자는 러시아인들을 혼란스럽게 하기 위해 선택된 숫자다. 10기를 세우면서 는 '아이언 크로스'에 몸담았던 만큼 유연성이 뛰어나 '악마의 여단'으로 알려진 '제1특수부대'의 전 대원들과 태평양의 OSS, 낙하산 보병부대, 게릴라 부대원들을 끌어들였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배운 훈련과 전략과 교훈을 이용하여, 은행은 외국어에 능통한 남성들로 구성된 엘리트 부대를 창설했다. (외국의 저항세력과 교류하기 위해), 사보타주 및 스텔스 전술, 파괴를 위한 폭발물 사용, 수륙양용전, 암벽등반, 정글전, 산악전, 그리고 스키 부대로서.

1952년 10기 특수부대원들을 조직해 각 분야의 전문가 2명이 참여한 가운데, 오늘날 특수부대는 여전히 모두 자원봉사를 하고 있으며 'A팀'으로 조직되어 있다. 이들은 은행이 '철십자 작전'에 요구하는 대로 여전히 많은 수의 남자들이 실패하거나 그만두는 고된 훈련 과정을 거친다.

은행은 그의 백번째 생일을 맞은 2002년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찬사를 받았다. 그는 탈레반을 쓰러뜨리는 데 사용되었던 관습 없는 전쟁 프로그램과 기술을 개발했기 때문이다.

만년

뱅크는 1958년 육군에서 은퇴했고, 캘리포니아클레멘테에 있는 그의 집 근처 태평양에서 하루에 수 마일을 수영하며 80대까지 왕성한 사람으로 남아 있었다.

1970년대 초, 은행은 산 클레멘테에서 남쪽으로 몇 마일 떨어진 산 오노프레 원자력 발전소에서 보안 부족에 대한 개인 조사를 시작했다. 뱅크스는 산오노프레 공장이 민간인 절도만이 걱정인 듯 사이드암을 가진 사설 경비원 1명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고 판단했다. 뱅크스는 특수부대 병사 한 명이 이 경계를 극복하고 공장을 점령한 뒤 소량의 폭발물로 파괴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 결과는 체르노빌형 사고가 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손상된 발전소는 대기 중으로 방사능을 방출하고 인근 로스앤젤레스 분지를 포함하여 수천 평방 마일을 오염시킬 것이다.

은행은 산오노프레의 민간 운영자들의 무모함에 경악하게 되었고, 적극적으로 로비를 한 다음, 산오노프레에서의 테러 파괴의 위험성을 경고하면서 미국 원자력 위원회의 비공개 회기에 앞서 증언했다. 세계 유수의 발전설비 파괴 전문가 중 한 명인 뱅크(Bank)는 막강한 권한을 갖고 발언했지만, AEC는 결국 이러한 노력을 무시하고 발전소의 정책을 바꾸지 않았다.

그 후, 은행은 1974년 산 오노프레의 원자 과학자 회보에서 형편없는 보안에 대한 설명을 쓴 한 조사 기자와 그의 우려를 공유했다. 이것은 의회 조사로 이어졌고 의회 위원회에 앞서 은행의 추가적인 비밀 증언으로 이어졌다. 이번에는 은행의 증언에 주의를 기울였고, 의회의 압력으로 AEC와 그 후임인 원자력규제위원회가 행동을 취할 수밖에 없었다. 미국 원자력 산업은 전국 상업용 원자로에서 대테러 보안조치를 이행하는 데 수십억 달러를 투입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며, 여기에는 자동무기를 탑재한 현장 보안반, 원격 스크램 능력(원전을 원거리에서 장악해 공격시 폐쇄하는 것), 사용법 등이 포함된다.f "빨간색 팀"으로 방어력을 탐색하여 취약점을 제거한다.[7]

1970년대 후반 캘리포니아 주 [8]다나포인트 옆 카피스트라노 해변가의 민박집인 비치 로드(Beach Road)의 카피스트라노 베이 커뮤니티 서비스 지구 보안 책임자로 근무했다.[citation needed]

사생활

뱅크는 1948년 8월 4일 독일 태생의 캐서린 수잔 와그너와 뮌헨에서 결혼했고, 린다와 알렉산드라라는 두 딸을 두었다.[9] 그는 두 권의 책을 썼다. 첫째, OSS에서 녹색 베레트로: 프랑스와 인도차이나에서의 그의 공훈과 특수부대 창설에서의 그의 역할을 기술한 특수부대의 탄생, 그리고 E. M. Nathanson과 공동 집필한 완성된 철십자 작전의 가상화된 설명인 Knight's Cross. 2004년 4월 1일 캘리포니아 다나포인트에서 101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10] 그는 캘리포니아 리버사이드리버사이드 국립묘지에 안장되어 있다.[11]

수상

뱅크 대령의 상은 다음과 같다.[2]

배지 및 탭

참조

  1. ^ Goldstein, Richard (April 6, 2004). "Col. Aaron Bank, 101, Dies; Was 'Father of Special Forces'".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August 9, 2014.
  2. ^ a b Iannello, Robert R. "In Memory of Col. Aaron Bank, "Father of Green Berets"". Crestline Experimental Dive Unit. Retrieved June 18, 2010.
  3. ^ Ricketts, Bruce (2014). "The Devils Brigade, First Special Service Force". Mysteries of Canada. Retrieved August 9, 2014.
  4. ^ Sapp, Darren (March 13, 2017). Aaron Bank and the Early Days of US Army Special Forces. ISBN 978-1520650043.
  5. ^ Gunn, Geoffrey (March 9, 2009). Origins of the American War in Vietnam: The OSS Role in Saigon in 1945. Asia-Pacific Journal: Japan Focus. Retrieved October 25, 2020.
  6. ^ Kemp, Peter (2020). Alms for Oblivion. Mystery Grove Publishing Company. pp. 34–46. ISBN 979-8673442760.
  7. ^ McLellan, Dennis (January 11, 1987). "Special Force Behind U.S. Special Forces : Retired Colonel Is Father of Green Berets". Los Angeles Times. Retrieved January 28, 2018.
  8. ^ (도날 러셀, 카피스트라노 비치 커뮤니티 서비스 구역 관리)
  9. ^ "Catherine Bank". The Green Beret. Special Forces Association Chapter XII. 2015. Retrieved January 28, 2018.
  10. ^ McLellan, Dennis (April 2, 2004). "Aaron Bank, 101; OSS Officer Became 'Father of the Green Berets'". Los Angeles Times. Retrieved January 28, 2018.
  11. ^ 리버사이드 국립묘지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