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바스 미르자

Abbas Mirza
아바스 미르자 왕자
شاهزاده عباس ميرزا
A Portrait of The Crown Prince Abbas Mirza, Signed L. Herr, Dated (1)833.jpg
L이 서명한 아바스 미르자 왕자. 헤르, 1833년 데이트.
이란황태자
후계자모하마드 미르자
태어난(1789-08-20)1789년 8월 20일
나바, 마잔다란, 카자르 이란
죽은1833년 10월 25일 (1833-10-25) (44)
이란마샤드
매장
왕조카자르
아버지파스알리 샤 카자르
어머니아시예하눔
전투 중 검토

아바스 미르자(Persian: :عبا میز 17; 1789년 8월 20일 ~ 1833년 10월 25일)는 이란카자르 황태자였다. 그는 1804–1813년의 루소-페르시아 전쟁과 1826–1828년의 루소-페르시아 전쟁 동안, 그리고 1821–1823년의 오스만-페르시아 전쟁을 통해 군사 지휘관으로서의 명성을 발전시켰다. 그는 더 나아가 페르시아의 군대와 제도의 초기 근대화자로, 아버지인 Fath Ali Shah보다 먼저 세상을 떠난 것으로 유명하다.

아바스 수반은 총명한 왕자였으며, 문학적 취향을 지니고 있었으며, 그의 삶의 비교적 단순함 때문에 주목할 만하다.[2]

압바스 미르자를 페르시아군의 군사령관으로 둔 이란은 1804~1813년, 1826~1828년 전쟁의 결과에 따라 1813년 굴리스탄 조약과 1828년 투르크멘차이 조약에 따라 러시아에 트라사카시아북캅카스(다게스탄) 일부 지역을 구성하는 코카서스에서 영토를 모두 잃었다.

전기

아바스 미르자는 1789년 8월 20일 마잔다란 나바에서 태어났다. 그는 Fath Ali Shah의 어린 아들이었지만, 어머니의 왕실 탄생 때문에 그의 아버지가 그의 뒤를 이을 운명이었다.[2] 아버지가 가장 아끼는 아들로 여겨지는 그는 10세 때인 약 1798년 페르시아 아제르바이잔 지역의 주지사(베글러베그)로 임명되었다.[3][1][4] 아그하 모하마드 칸이 죽은 지 3년 후인 1801년, 러시아인들은 그 순간을 자본화하여 카틀리-카케티를 합병하였다. 그루지야는 16세기 초부터 간헐적으로 이란의 지배하에 있었기 때문에, 러시아인들의 이러한 행동은 이란 영토에 침입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1804년 이란의 나머지 영토를 차지하기 위해 파벨 치치시아노프 장군이 이끄는 러시아군은 간자 시를 포위하고 포로로 잡아서 자해함으로써 루소-페르시아 전쟁(1804–13)을 일으켰다. 파스알리 샤는 아바스 미르자를 3만 명의 원정군 사령관으로 임명했다.[1][4] 그의 원조는 특히 페르시아가 공통의 경쟁자, 즉 제국 러시아에 접해 있는 가운데,[2] 동방에서 서로를 견제하고 싶어 영국과 나폴레옹 모두에게 간절히 부탁받았다. 프랑스의 우의를 선호하면서, 압바스 미르자는 겨우 스물아홉 살의 젊은 러시아 장군 코틀랴렙스키와 전쟁을 계속했지만, 그의 새로운 동맹국은 그에게 거의 도움을 주지 못했다.[5]

파드 알리 샤가 그루지야와 현대 아제르바이잔 공화국의 북부 지역을 침공하고 되찾아오라는 명령에 따른 전쟁의 초기 단계들은 상대적으로 영토의 퀴퀴한 전쟁으로 끝나게 되었다. 그러나 교수로서. 알렉산더 미카베리제는 압바스 미르자는 러시아인에 대한 전반적인 참담한 캠페인으로 군대를 이끌고 갸므리, 칼라기리, 자감 강(1805년), 카라카펫(1806년), 카라바바(1808년), 간자(1809년), 메그리, 아라스 강, 아크할랄라키(188년)[4]에서 패배를 당했다. 러시아가 점점 더 진보된 무기를 보내고 군인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조류는 결정적으로 바뀌기 시작했다. 긴 전쟁 동안 최남단의 러시아 사단을 지휘한 코틀랴렙스키는 아스란두즈 전투(1812년)에서 수적으로 우월한 페르시아 군대를 격파했고, 1813년 초 란카란을 난입하여 점령했다. 러시아인들은 그의 두 영국 고문인 크리스티 대위와 포틴저 중위가 그에게 보초 피켓을 빠른 순서로 게시하라고 말했을 때 반대편 아라스 강둑에 진을 쳤다. 그러나 미르자는 그 경고를 무시했다. 크리스티와 다른 영국 장교들은 공포에 질려 후퇴하는 군대를 집결시키려 했다; 며칠 동안 러시아인들은 격렬한 공격을 가했지만, 마침내 크리스티는 쓰러졌고, 미르자는 완전한 퇴각을 명령했다. 무사안일함은 만 명의 페르시아 인명을 앗아갔고, 미르자는 우월한 숫자의 무게를 잘못 믿고 있었다. 리더십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렌코란에 있는 페르시아인들은 4,000명의 장교와 군인들의 수비대를 부수고 지나갈 때까지 몇 주 동안 버텼다.

1813년 10월, 압바스 미르자가 여전히 총사령관을 맡고 있는 가운데, 페르시아는 굴리스탄 조약으로 알려진 심각하게 불리한 평화를 만들도록 강요당했다. 굴리스탄 조약은 현재조지아, 다게스탄, 그리고 가장 최근에 아제르바이잔 공화국이 된 것들로 이루어진,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코카서스에 영토를 메꾸었다.[6] 그 대가로 샤가 받은 약속은 미르자가 허락도 방해도 없이 왕위를 계승할 것이라는 미온적인 보장뿐이었다. 페르시아의 끔찍한 패배는 대영제국의 관심을 끌었다; 초기 성공이 번복된 후, 러시아인들은 현재 코카서스로부터 심각한 위협을 받았다.[7]

그의 군대에 의해 당한 엄청난 손실은 그가 페르시아의 군대를 유럽식 전쟁 방식으로 훈련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을 깨닫게 했고, 그는 그의 학생들을 유럽으로 군사 훈련을 보내기 시작했다.[4] 압바스 미르자는 유럽식 연대를 도입함으로써 이란이 러시아에 대한 우위를 확보하고 잃어버린 영토를 되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다. [4] 술탄 셀림 3세의 개혁에 영향을 받은 압바스 미르자는 오스만 니잠-제드 세디드의 이란판을 만들고, 부족과 지방군에 대한 카자르의 의존도를 줄이는데 나섰다.[4] 1811년과 1815년에는 두 개의 단체가 영국에 파견되었고, 1812년에는 유럽의 군사 핸드북을 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타브리즈에서 인쇄기가 완성되었다. 타브리즈도 화약공장과 군수창고를 보았다. 훈련은 보병과 포병을 중심으로 영국 고문들의 끊임없는 시추로 이어졌다.[1]

압바스 미르자와 이반 파스케비치, 1828년 투르크멘세이 조약 체결

오스만-페르시아 전쟁(1821–1823)이 시작되었을 때 그는 새롭게 개혁된 군대를 시험할 기회를 얻었고, 그들은 몇 번의 승리로 그들 자신을 증명했다. 이로써 에르주룸 전투 이후 1823년 체결된 평화협정이 성립되었다. 전쟁은 페르시아의 승리였으며, 특히 수적으로 열세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것은 그의 군대에 필요한 신뢰를 주었다. 1826년에 시작된 그의 러시아와의 두 번째 전쟁러-페르시아 전쟁(1804–13)에서 패한 영토 대부분을 되찾으면서 좋은 기세로 시작되었지만, 페르시아는 그 후 일련의 값비싼 패배로 끝났고, 그 후 현대판 아르메니아, 나크치반, 나머지 국가들로 구성된 마지막 코카시아 영토를 양도할 수밖에 없었다.그는 여전히 이란 수중에 있던 현대 아제르바이잔 공화국, 그리고 이그디르 지방의 나머지 국가들 모두 1828년 투르크멘차이 조약을 준수한다.[8] 궁극적인 손실은 그와 그의 군대 실력 때문은 아니며, 증원군의 부족과 압도적인 수적 우위 때문이기도 했다. 북부 코카서스남부 코카서스의 모든 카자르 이란 영토에 총합한 돌이킬 수 없는 손실은 압바스 미르자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그의 건강이 악화되기 시작했다. 그는 또한 더 이상의 군사 개혁에 대한 열의를 잃었다.[1] 1833년 명목상 페르시아의 패권하에 있던 호라산 지방의 질서 회복을 도모하였고, 그 과업에 종사하던 중 1833년 마샤드에서 사망하였다. 1834년 그의 장남인 모하메드 미르자가 파드 알리 샤의 뒤를 이어 다음 왕으로 즉위하였다.[2] R. G. 왓슨(페르시아의 역사, 128–9)은 그를 "카자르 민족 중 가장 고귀한 민족"[9]이라고 묘사했다.

그는 전투에서의 용기와 페르시아 군대의 현대화에 실패한 것으로 가장 기억된다. 그는 이 시대 이란에서 정부의 중앙집권화가 이뤄지지 않아 부분적으로 성공하지 못했다. 게다가 이란 학생들을 처음으로 유럽에 파견하여 서양 교육을 받은 사람은 압바스 미르자였다.[10] 그는 결국 자신이 얻은 것보다 더 많은 영토를 잃게 되면서 러시아와의 전쟁에서 장기적으로 성공했음을 증명할 수 없었다.[3]

대중문화에서

아들들

아바스 미르자의 아들들

참고 항목

메모들

  1. ^ a b c d e 호이버그 2010 페이지 10
  2. ^ a b c d 앞의 문장 중 하나 이상이 현재 공개 영역에 있는 출판물의 텍스트를 포함한다. Chisholm, Hugh, ed. (1911). "Abbas Mirza". Encyclopædia Britannica. 1 (11th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10.
  3. ^ a b 마그누손 & 고링 1990, 페이지 2
  4. ^ a b c d e f 미카베리제 2011, 페이지 2.
  5. ^ 홉키르크, 페이지 60-3
  6. ^ 티모시 C 다울링 러시아 전쟁: 몽골 정복에서 아프가니스탄, 체첸, 비욘드 p 728 ABC-CLIO, 2014년 12월 2일 ISBN 1598849484
  7. ^ 홉키르크, 페이지 65-8
  8. ^ 티모시 C 다울링 러시아 전쟁: 몽골 정복에서 아프가니스탄, 체첸, 비욘드 p 729 ABC-CLIO, 2014년 12월 2일 ISBN 1598849484
  9. ^ 록하트 2007
  10. ^ Coleson & Rubin 2005, 페이지 34

참조

추가 읽기

  • Shahvar, Soli (2020). "Domestic and external considerations in the struggle over regency in early Qajar Iran: The princely rivalry between ʿAbbas Mirza and Muhammad-ʿAli Mirza". Middle Eastern Studies. 56 (4): 549–569. doi:10.1080/00263206.2020.1751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