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정확인
Account verification
계정 확인은 신규 또는 기존 계정이 특정 실제 개인이나 단체에 의해 소유되고 운영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다. 소셜 미디어 웹사이트와 같은 많은 웹사이트들은 계정 검증 서비스를 제공한다. 확인된 계정은 종종 개인이나 조직의 이름 옆에 체크 표시 아이콘이나 배지로 시각적으로 구분된다.
계정 검증은 온라인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양말퍼피트리, 봇, 트롤링, 스팸, 공공 기물 파손, 가짜 뉴스, 부정행위 및 선거 간섭을 완화시킬 수 있다.
역사
계정 검증은 처음에는 "음악, 연기, 패션, 정부, 정치, 종교, 언론, 언론, 스포츠, 사업, 기타 주요 관심 분야"에 속한 개인과 공인을 위한 기능이었다.[1] 2009년 6월 트위터가 선보인 [2][3][4]데 이어 2011년 구글플러스,[5] 2012년 페이스북,[6] 2014년 인스타그램,[7] 2015년 핀터레스트 등이 뒤를 이었다.[8] 유튜브에서는 10만 명 이상의 가입자를 확보하면 인증 배지 요청서를 제출할 수 있다.[9] 음악가와 밴드를 위한 '공식 아티스트' 배지도 달았다.[10]
2016년 7월 트위터는 공인을 넘어 어떤 개인이라도 계정 검증 신청을 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11][12] 이는 검증이 '확실성'이나 '중요성'을 전달한다는 인식에 따라 극우단체 연합 더 라이트(Unit the Right) 집회 주최자 중 한 명에 대한 검증에 대한 반발에 이어 2018년 2월 잠정 중단됐다.[13][14] 2018년 3월, 페리스코프 라이브 스트림에서, 트위터 공동창업자 겸 CEO인 잭 도시는 어떤 개인이라도 검증된 계정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아이디어를 토론했다.[15] 트위터는 계정 인증 기준을 개편한 뒤 2021년 5월 계정 인증 애플리케이션을 다시 열었다.[16] 인스타그램은 2018년 8월부터 사용자들이 검증을 요청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 시작했다.[17]
2018년 4월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공동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정치 또는 이슈 기반 광고 구매자가 자신의 정체성과 위치를 검증해야 한다고 발표했다.[18][19] 그는 또한 페이스북이 큰 페이지를 관리하는 개인들에게 검증을 요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18] 2018년 5월 켄트 워커 구글 수석부사장은 미국에서 정치성향 광고 구매자들이 자신의 신원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발표했다.[20]
기술
신원확인 서비스
신원확인 서비스는 사람이 실제 사람의 신원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제3자 솔루션이다. 이러한 서비스는 운전 면허증이나 여권과 같은 신분증 문서의 진위를 증명하거나, 신용 국이나 정부 자료와 같은 권위 있는 출처(비문서 검증)에 대해 신분 정보를 검증할 수 있다.
신원문서 확인
예를 들어, 페이스북에서 스캔하거나 촬영한 신분증 문서의 업로드는 사용 중인 관행이다.[21] 페이스북에 따르면, 한 사람이 아이디의 스캔이나 사진을 페이스북에 보내도록 요청 받는 이유는 두 가지인데, 그것은 계정 소유권을 보여주고 그들의 이름을 확인하기 위해서라고 한다.[21]
페이스북은 2018년 1월 신원확인 문서의 진위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기술을 고도화하던 스타트업 [22]Confirm.io을 인수했다.
생체검증
행동 검증
행동 검증은 계정을 검증하기 위한 행동과 행동패턴의 컴퓨터 지원 및 자동 감지 분석이다. 탐지할 수 있는 행동에는 양말퍼펫, 봇, 사이보그, 트롤, 스팸 발송자, 반달, 가짜뉴스의 출처와 유포자, 허위사실 공표, 선거방해 등이 포함된다. 행동 검증 프로세스는 계정을 의심스러운 것으로 표시하거나 의심에서 계정을 제외하거나 계정 검증 프로세스에 대한 확실한 증거를 제공할 수 있다.
은행계좌확인
많은 국가에서 은행 계좌와 기타 금융 계좌를 설립하기 위해서는 신원 확인이 필요하다. 금융권에서의 신원 확인은 흔히 '고객 알기'나 '고객 식별 프로그램'과 같은 규정에 의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은행계좌는 계좌확인 시 증빙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계좌를 만들거나 확인하거나 구매할 때 은행 계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우편주소확인
계좌를 만들거나 확인하거나 구매를 한 후 배송할 때 우편주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하이퍼링크 또는 코드는 우편으로 사용자에게 발송될 수 있으며, 수신인은 자신의 우편 주소를 확인하는 웹사이트에 이를 입력한다.
전화 번호 확인
계정을 만들거나 확인할 때 전화 번호를 제공하거나 계정에 추가하여 기능 집합을 얻을 수 있다. 전화번호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휴대전화로 전송되는 SMS 메시지 등 사용자가 지정한 전화번호로 확인 코드가 전송된다. 사용자가 보낸 코드를 받으면 웹사이트에 입력해 영수증을 확인할 수 있다.
이메일 확인
계정을 만들려면 이메일 계정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이 과정에서 확인 하이퍼링크는 이메일 메시지로 개인이 지정한 이메일 주소로 전송된다. 이메일 수신자는 계정을 만드는 사람이면 제공된 확인 하이퍼링크로 이동하도록 이메일 메시지에 지시된다. 하이퍼링크로 이동하는 행위는 그 사람에 의한 이메일 수신을 확인시켜준다.
계정 확인 목적을 위한 이메일 계정의 부가가치는 특정 이메일 서비스 제공업체가 수행하는 계정 확인 프로세스에 따라 달라진다.
다요소검증
다요소 계정 검증은 다수의 기법을 동시에 활용하는 계정 검증이다.
다당제 검증
복수의 서비스 제공자가 이용하는 계정 검증 프로세스는 서로 확증할 수 있다. OpenID Connect에는 여러 계정을 연결하여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 프로토콜이 포함되어 있다.[23]
계정검증 및 입지가 양호함
일부 서비스에서 계정 검증은 좋은 입장과 동의어다.
트위터는 예고 없이 언제든지 사용자 계정에서 계정 검증을 제거할 수 있는 권리를 보유한다.[24] 제거 사유는 트위터 안팎에서 행해지는 행동을 반영할 수 있으며, 인종, 민족, 국적, 성적 지향, 성별, 성 정체성, 종교적 제휴, 연령, 장애 또는 질병에 근거하여 다른 사람에 대한 증오 및/또는 폭력을 조장하거나 직접 공격하거나 위협할 수 있다.이상을 촉진하는 것; 다른 사람의 괴롭힘을 부추기거나 관여하는 것; 폭력과 위험한 행동; 개인이나 어떤 집단에 대한 신체적 폭력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위협하거나 조장하는 것, 테러리즘을 위협하거나 조장하는 것; 폭력적, 섬뜩함, 충격적 또는 불안정한 이미지; 자해, 자살행위자.e; 그리고 트위터에서 트위터 규칙을 위반하는 다른 활동을 하는 것.[25]
참고 항목
참조
- ^ "Twitter verification requirements - how to get the blue check". help.twitter.com.
- ^ Stone, Biz (June 6, 2009). "Not Playing Ball". Twitter.
- ^ Kanalley, Craig (March 12, 2013). "Why Twitter Verifies Users: The History Behind the Blue Checkmark". Huffington Post. Retrieved June 9, 2014.
- ^ Cashmore, Pete. "Twitter Launches Verified Accounts".
- ^ "Google+ now verifying accounts of the famous". 21 August 2011.
- ^ Constine, Josh. "Facebook Launches Verified Accounts and Pseudonyms".
- ^ D'Onfro, Jillian. "Instagram Is Introducing 'Verified Badges' For Public Figures". Business Insider.
- ^ D'Onfro, Jillian. "Pinterest is introducing verified accounts for public figures". Business Insider.
- ^ "Verification badges on channels - YouTube Help". support.google.com. Retrieved 8 February 2019.
- ^ "Introduction to Official Artist Channels - YouTube Help". support.google.com. Retrieved 8 February 2019.
- ^ Olivarez-Giles, Nathan (19 July 2016). "Twitter Lets Anyone Apply for a Blue 'Verified' Badge" – via www.wsj.com.
- ^ Association, Press (19 July 2016). "Blue ticks for all: Twitter allows users to apply to be verified" – via www.theguardian.com.
- ^ Roettgers, Janko (9 November 2017). "Twitter Pauses Verifications After Backlash Over Verifying Far-Right Extremist". Variety. Retrieved 5 April 2019.
- ^ Cakebread, Caroline (9 November 2017). "Twitter stops its verification program after giving its 'verified' badge to the organizer of the Charlottesville 'Unite the Right' rally" – via http://www.businessinsider.com.
- ^ Spangler, Todd. "Twitter CEO Wants to Open Up Verified Accounts to Everyone". Variety.
- ^ Porter, Jon (2021-05-20). "Twitter is letting anyone apply for verification for the first time since 2017". The Verge. Retrieved 24 May 2021.
- ^ Liao, Shannon (28 August 2018). "You can now apply to be verified in Instagram". The Verge. Retrieved 26 September 2018.
- ^ a b "Log into Facebook". Facebook. Cite는 일반 제목(도움말)을 사용한다.
- ^ Nicas, Jack (6 April 2018). "Facebook to Require Verified Identities for Future Political Ads". The New York Times.
- ^ "Supporting election integrity through greater advertising transparency". 4 May 2018.
- ^ a b "Confirm Your Identity With Facebook Facebook". www.facebook.com.
- ^ "Facebook acquires biometric ID verification startup Confirm.io".
- ^ "Final: OpenID Connect Core 1.0 incorporating errata set 1". openid.net.
- ^ "Twitter verification FAQ Twitter Help". help.twitter.com.
- ^ "The Twitter rules: safety, privacy, authenticity, and more". help.twitt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