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산투스
African Sanctus아프리카산투스는 1972년 합창 미사로 영국 작곡가 겸 수집가 데이비드 팬샤웨의 작품 중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이다.[1]
아프리카 산투스에서는 라틴 미사가 지중해에서 빅토리아 호수까지 나일강을 오르는 동안 작곡가가 1969년에서 1973년 사이에 직접 녹음한 전통 아프리카 음악의 생생한 녹음으로 연결되어 있다.작품은 13개의 동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작곡가가 아프리카를 거쳐 가는 여정을 따라간다.이 녹음 파일은 이집트, 수단, 우간다, 케냐에서 온 것이다.
아프리카 산투스 개념의 중요한 순간은 1969년 판샤웨의 이집트 여행의 시작에 있었다.기독교 교회에 앉아 그는 기도하는 신자들을 부르는 근처 모스크의 무에진 소리를 듣고, 서양의 합창 조화와 대척점에 서 있는 이 아름다운 소리를 상상했다.[2]원래 '아프리카 폭로'라는 제목이 붙었던 아프리카 생투스는 1972년 7월 살타렐로 합창단에 의해 런던에서 처음 공연되었고, 이후 유엔의 날에 BBC 라디오에서 연주되었다.
1975년 부활절 일요일, BBC1의 옴니버스 프로그램에서 작품의 제작에 관한 다큐멘터리가 방송되었다.작곡가 겸 영화 제작자인 허버트 채펠이 만든 이 도표는 북 아프리카와 동아프리카의 작품을 기록한 팬샤웨의 진행 상황을 도표로 작성했으며, 앨범 발매와 맞물렸다.두 사람은 팬샤웨의 원래 여정을 되짚어보고, 그가 원래 여행에서 녹음한 음악가를 찾으려 했으나 대체로 성공하지 못했다.이 다큐멘터리는 'Prix Italia'[2][3] 후보에 올랐다.
1977년 만점 발행에 이어 1978년 토론토, 1978년 우스터 대성당, 1979년 데이비드 윌콕스 경의 로얄 알버트 홀에서 초연공연이 펼쳐졌다.[3]이 작품은 북미에서 극동에 이르기까지 천여 차례의 공연을 받았는데, 팬샤웨 자신이 직접 많은 공연을 감독하기도 하고, 때로는 자신이 녹음한 뮤지션들의 사진 슬라이드쇼와 함께 작품을 곁들이기도 했다.[2]
1994년 팬샤웨는 'Agnus Dei'를 완성한 '도나 노비스 파썸 - 세계 평화를 위한 찬가'라는 작품의 새로운 녹음을 위한 추가 움직임을 작곡했다.이 새로운 녹화를 바탕으로 BBC는 1975년 다큐멘터리 제작자인 허버트 채펠에게 새로운 프로그램인 아프리카 생투스 재방문을 의뢰했다.
몇몇 사람들은 팬샤위의 작품을 비판해왔다.텔레그래프는 "다른 모험가들이 사자 가죽이나 코끼리 엄니를 들고 먼 땅에서 돌아오는 동안 팬샤웨의 오디세이에서 받은 트로피는 녹음된 것"이라고 지적했다.[4]
그리고 워싱턴포스트는 다음과 같이 관측했다.
이 작곡가의 노력은 그의 음반이 원주민 음악가를 착취한 일종의 무협적 제국주의인지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들로부터 윤리적 의문을 제기했다.
캐롤 A는 "비범한 음악과 이미지의 모음곡"이라고 말했다.뮬러 펜실베니아 대학교의 윤리학 교수.하지만..."아프리카에 가서 이런 녹음을 만들어서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일종의 식민주의적 사고방식인 완전한 오만의 수준이 있다."[5]
동작
이 작품은 13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중해에서 빅토리아 호수에 이르는 이 작곡가의 십자가 모양의 순례지를 지리적으로 반영하고 있으며, '키리'는 카이로와 '산투스' 북부 우간다를 상징한다.
- 아프리카산투스 1마리
아콜리 브왈라 댄스, 북우간다
- 2 Kyrie: Call To Pray
카이로 무하마드 알리 모스크의 무에진
- 3 글로리아: 나일강의 신부
이집트 결혼식, 룩소르 이슬람 기도학교, 동수단
- 4 크레도: 수단 춤
구애 댄스, 키아타 트럼펫 댄스 코라닉 레크레이션, 마라 산맥
- 5 러브송: 피아노 솔로
동수단 바젠코프 하프 사막종과 함께하는 하단두아 소 소년
- 6 엣 인 스피르툼 생텀
남수단의 개구리 잔데 난민
- 7 십자수: 비송
우간다 라티고 오텐그(Latigo Oteng)의 딩기딩기 춤, 비 & 천둥 "Rain Song"
- 8 생투스: 브왈라 댄스
분요로 마린다 실로폰 아콜리 브왈라 춤, 우간다
한탄, 교가 호수, 우간다 더 오퍼토리(영어)
- 성가 10명
마사이 밀링송, 케냐의 강가, 카라모자, 우간다 투르카나 소의 노래, 케냐의 루오 제례무용
- 11 아그누스 데이
수단 사막의 하단두아 전쟁 드럼통
- 12 기도 전화: 키리(회상)
카이로 무하마드 알리 모스크의 무아진
- 13 피날레 & 글로리아
아콜리 브왈라 댄스, 북우간다
- Dona Nobis Pacem(선택 사항)
세계 평화를 위한 찬송가(짧은 버전 또는 긴 버전)
차트
차트(1974년) | 피크 포지션 |
---|---|
오스트레일리아어(켄트 음악 보고서) | 71[6] |
인증
지역 | 인증 | 인증 단위/판매 |
---|---|---|
오스트레일리아(아리아)[7] | 금 | 35,000^ |
^ 출하량은 인증만으로 계산된다. |
참조
- ^ 데이비드 팬샤웨의 웹사이트
- ^ a b c The Times 부고 2010년 7월 9일
- ^ a b '아프리카 산투스' 웹사이트
- ^ 2010년 7월 14일 The Telegraph, David Fanshaewe 부고
- ^ Brown, Emma (2010-07-13). "David Fanshawe, 68, dies; ethnomusicologist who composed 'African Sanctus'". The Washington Post. ISSN 0190-8286. Retrieved 2021-07-13.
- ^ Kent, David (1993).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illustrated ed.). St Ives, N.S.W.: Australian Chart Book. p. 108. ISBN 0-646-11917-6.
- ^ "ARIA Charts – Accreditations – 1990 Albums" (PDF). Australian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Retrieved 25 November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