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공동체주의

African communalism

아프리카 공동체주의는 아프리카의 농촌이 과거에 기능했던 전통적인 방식을 말한다. 아프리카에서 사회는 수십 년 동안 형식적인 위계질서가 없이 평등주의와 사회주의 형태와 유사한 방식으로 모두에게 땅과 강에 평등하게 접근했다. 이런 생활방식의 어떤 요소들은 오늘날까지 지속된다.

철학자 폴리카프 이쿠에노베에 따르면 아프리카 공산주의는 인간의 존엄성, 권리, 책임도 중시하는 도덕적 교리다.[1] 이쿠에노베는 "아프리카 공산주의가 반드시 개인과 공동체 간의 갈등을 보는 것은 아니다"라고 주장한다. 그들은 상호 지지적이며, 사람들은 자신의 행복을 위해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도덕적 태도를 가져야 한다. 이런 태도는 개인의 실질적인 권리와 웰빙을 실현하기 위한 물질적 조건을 제공하기 위해 공동체를 만드는 근본적인 목표를 위한 의무의 우선순위를 만든다."[1]

이 아프리카 코뮌리즘의 개념에 철학적 도전들이 있었다: 철학자 Olufẹ́mimi Taiwò는 현재의 아프리카 코뮌리즘 개념은 그들의 "살인"으로 악명이 높으며, 현대 철학적 담론에서 그것의 확산을 정당화하기 위해 이 철학의 보다 정교한 개념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2] 또한, 타위프는 현재의 아프리카 공동체주의의 개념은 아프리카의 현재 정치 풍토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한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21세기에 그 대륙을 인도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현대 철학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1]

공동체주의라는 용어는 자유주의 철학자 머레이 북친에 의해 만들어졌다.[3]

참조

  1. ^ a b c Ikuenobe, Polycarp (2018-10-20). "Human rights, personhood, dignity, and African communalism". Journal of Human Rights. 17 (5): 589–604. doi:10.1080/14754835.2018.1533455. ISSN 1475-4835.
  2. ^ Táíwò, Olúfẹ́mi (2016-10-12). "Against African Communalism". Journal of French and Francophone Philosophy. 24 (1): 81–100. doi:10.5195/JFFP.2016.759. ISSN 2155-1162.
  3. ^ Etta, Emmanuel E.; Esowe, Dimgba Dimgba; Asukwo, Offiong O. (2016-06-06). "African communalism and globalization". African Research Review. African Journals Online (AJOL). 10 (3): 302. doi:10.4314/afrrev.v10i3.20. ISSN 2070-00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