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은박지
African silverbill아프리카 은박지 | |
---|---|
![]() | |
과학적 분류 ![]() | |
킹덤: | 애니멀리아 |
망울: | 코다타 |
클래스: | 아베스 |
순서: | 행인목 |
패밀리: | 에스트릴다과 |
속: | 유오디체 |
종: | E. 칸탄스 |
이항식 이름 | |
유오디체 칸탄스 (그멜린, 1789년) | |
아종 | |
| |
![]() | |
아프리카의 은제비지 분포 | |
동의어 | |
론추라 칸탄스 |
아프리카 은박지(Euodice cantans)는 작은 행인 새로, 전에는 아시아 종인 인도 은박지(Euodice malabarica)와 함께 공존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사하라 사막 이남의 건조한 사바나 서식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텃새다. 이 종은 포르투갈, 카타르, 미국 같은 다른 나라에도 소개되었다.
분류학
1789년 독일의 자연주의자 요한 프리드리히 그멜린이 로샤 칸탄스라는 이항식 이름으로 공식적으로 묘사하였다.[2] 구체적인 표현은 라틴어에서 온 것이며 "노래"를 의미한다.[3] 그렘린은 그 지역을 아프리카로 지정했지만, 이것은 윌리엄 루틀리 스클레이터와 시릴 맥워스 프레이드에 의해 세네갈의 다카르로 제한되었다.[4][5] 현재 독일의 자연주의자 루드비히 라이헨바흐가 1862년에 도입한 유오디체 속주에 놓여 있다.[6][7]
초기 문헌에서는 아프리카 은제비(Euodice cantans)와 인도 은제비(E. malabarica)가 동의어로 취급되었다. 1943년 장 테오도르 들라코르는 에스트릴디네를 개정한 것에서 두 종을 굳게 단결시켰다.[8] 그러나 1964년 콜린 해리슨은 두 종을 엄밀히 비교해서 연구했고 두 종은 별개의 두 종이라고 결론지었다. 그는 통화 노트가 비슷하긴 하지만, 곡들은 형태가 확연히 다르지만, 공통적인 패턴을 공유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들은 아라비아 반도 남쪽에 동정심이 많고 자연 교배된 기록이 없다. 해리슨이 사육 중인 새를 직접 관찰한 결과, 두 형태는 각각 그 종류에 대한 선호를 나타냈다.[9] 2020년에 발표된 에스트릴대대의 분자 계통생성학적 연구는 아프리카와 인도의 은박지가 약 100만년 전에 갈라진 자매 종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이 두 종은 론추라속 구성원들에게 기초가 되는 쇄골을 형성했다.[10]
아종
다음 두 가지 아종이 인식된다.[7]
- E. c. 칸탄(노미네이트 레이스)은 서부와 중앙 아프리카에서 발생한다.
- E. c. 오리엔티스는 동아프리카와 아라비아 반도에서 발생한다.
설명
아프리카 은박지 길이는 약 10cm(3.9인치)로 길고 검은 뾰족한 꼬리가 있다. 성인은 뭉툭한 은색 청색 지폐를 가지고 있고, 잘 녹은 연갈색의 윗부분, 희끗희끗한 아랫부분, 검은 털과 검은 날개를 가지고 있다. 성별은 비슷하지만, 성질은 해충이 부족하다. 이 종은 시럽 콜과 트릴링 송을 가지고 있다. 수컷의 연락은 단 한 번이고 암컷은 이중으로 표시된 tsiptsip이다. 나는 새들이 끊임없이 쳇바퀴를 따라다닌다만 나는 새들은 쳇바퀴를 따라간다.
아종 E. c. 오리엔티스는 다른 아종보다 얼굴과 윗부분이 더 어둡다.
분포 및 서식지
이 종은 사바나 나라, 가시덤불이 있는 건조한 풍경, 아카시아스나 건조한 초원에 널리 퍼져 있다. 그것은 또한 경작지역과 건조한 초원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천성적으로 건조한 나라의 새다. 주로 저지대 종이지만 고도 2,000m(6,600ft)까지 발견할 수 있다.
행동
아프리카 은박지는 길들여지고 사교적이며, 빽빽한 떼를 지어 나무에 앉아 서로를 만지는 것을 종종 발견한다. 그러나, 그것은 특히 활동적이지 않은 새로서, 오랫동안 옹기종기 모여 앉아 있다. 그것은 일년 내내 떼를 지어 머물며 보통 느슨한 군락에서 번식한다.
먹이 주기
아프리카 은박지는 대부분 땅에서 따온 풀 씨앗을 먹고 살지만, 가능하다면 자라는 식물에서 채취하기도 한다. 그것은 꽃가루로부터 씨앗을 채취하기 위해 풀 줄기에 매달릴 것이다. 주로 식물성 물질을 먹고, 종자를 먹고 새끼를 기르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워터 민트(Meinertzhagen 1954)에서 진딧물을 채취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구애
수컷은 한쪽 끝에서 풀 한 줄기를 잡고 암컷 가까이에서 깡충깡충 뛰거나 줄로 늘어놓는다. 그는 즉시 깃털을 날렵하게 내리고, 꼬리를 아래로 곧게 세운 채 서 있다가 고개를 몇 번 홱 들어올린다. 그리고 나서 그는 앞으로 몸을 기울이며 암컷을 향해 꼬리를 비틀고 옆구리와 배 깃털을 부풀린다. 이 단계에서 그는 보통 짚을 떨어뜨리고 노래하고 춤추기 시작한다. 옆구리 깃털과 복부 깃털이 항상 부풀어 오르는 것은 아니며, 전시의 강도는 아마도 두 마리의 새의 관계에 달려 있을 것이다. 만약 암컷이 수용적인 것처럼 보인다면 수컷은 교미를 시도할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디스플레이는 이 최종 단계에 도달하기 전에 종료된다. 성공적인 짝짓기는 보통 작은 빌 펜싱과 상호 프리닝이 뒤따른다. (Baptista와 Horblit 1990).
사육
아프리카 은쟁이의 둥지는 보통 둥근 풀 다발의 형태로 지어진다. 그것은 부드러운 섬유와 때로는 깃털로 줄지어 있고, 두꺼운 덤불이나 울타리에 놓이거나 집 위의 소름끼치는 사람들 사이에 놓일 수도 있다. 수컷은 모든 둥지 재료(Meinertzhagen 1954)를 수집하는 것으로 야생에서 기록되고, 암컷은 단지 건설에만 관여한다.
클러치는 3개에서 6개의 타원형, 매끄러운 흰색의 알까지 다양하다. 암컷은 낮에 부화하며, 수컷은 먹이를 주기 위해 둥지를 떠날 때 암컷을 풀어줄 수 있다. 수컷이 실제로 곰곰이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이 제안되었다(소더버그 1956). 그들은 둘 다 밤에 둥지에 있다. 잠복기는 평균 11~13일 정도며, 새끼는 약 21일 만에 새끼를 낳아 새끼를 낳은 지 한 달 만에 독립한다.
갓 부화한 새끼들은 어둡고 왁스처럼 생긴 노란 가페가 부풀어 있다. 판은 하얀 입 플랜지 안쪽에 묵직한 검정색 원 하나가 들어가 있는데, 이 원은 입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고 있다.
위협
아프리카 은박지는 현재 새장 거래를 위해 갇혀 있다. 그러나, 그것의 수와 상당한 범위는 이것이 종의 생존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참조
- ^ BirdLife International (2018). "Euodice cantans".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8: e.T22719761A131997328. doi:10.2305/IUCN.UK.2018-2.RLTS.T22719761A131997328.en. Retrieved 13 November 2021.
- ^ Gmelin, Johann Friedrich (1789).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in Latin). Vol. Volume 1, Part 2 (13th ed.). Lipsiae [Leipzig]: Georg. Emanuel. Beer. p. 859.
{{cite book}}
:volume=
추가 텍스트(도움말) - ^ Jobling, James A. (2010).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London: Christopher Helm. p. 89. ISBN 978-1-4081-2501-4.
- ^ Sclater, William Lutley; Mackworth-Praed, Cyril (1918). "List of birds of the Anglo-Indian Sudan, based on the collections of Mr. A.L. Butler, Mr. A. Chapman and Capt. H. Lynes, R.N., and Major Cuthbert Christy, R.A.M.C. (T.F.). Part I. Corvidae - Fringillidae". Ibis. 10th series. 6: 416-476 [440.
- ^ Paynter, Raymond A. Jr, ed. (1968).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Vol. Volume 14. Cambridge, Massachusetts: Museum of Comparative Zoology. p. 440.
{{cite book}}
:volume=
추가 텍스트(도움말) - ^ Reichenbach, Ludwig (1862). Die Singvögel als Fortsetzung de vollständigsten Naturgeschichte und zugleich als Central-Atlas für zoologische Gärten und für Thierfreunde. Ein durch zahlreiche illuminirte Abbildungen illustrirtes Handbuch zur richtigten Bestimmung und Pflege der Thiere aller Classen (in German). Dresden and Leipzig: Expedition Vollständigsten Naturgeschichte. p. 46.
- ^ a b Gill, Frank; Donsker, David; Rasmussen, Pamela, eds. (July 2021). "Waxbills, parrotfinches, munias, whydahs, Olive Warbler, accentors, pipits". IOC World Bird List Version 11.2.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Retrieved 13 July 2021.
- ^ Delacour, Jean (1943). "A revision of the subfamily Estrildinae of the family Ploceidae". Zoologica. 28 (11): 69–86.
- ^ Harrison, C.J.O. (1964). "The taxonomic status of the African silverbill". Ibis. 106 (4): 462–468. doi:10.1111/j.1474-919X.1964.tb03727.x.
- ^ Olsson, Urban; Alström, Per (2020). "A comprehensive phylogeny and taxonomic evaluation of the waxbills (Aves: Estrildidae)".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146: 106757. doi:10.1016/j.ympev.2020.106757.
- 감비아 바를로, 와처 앤 디슬리, ISBN 1-873403-32-1
- 버드라이프 종 팩트시트
- ISBN 1-873403-51-8 로빈 레스톨의 Munias와 Mannik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