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학교

Ajou University
아주대학교
亞洲大學校
아주대학교[1]
좌우명
人間尊重 인간존중, 實事求是 실사구시, 世界一家 세계일가
영어 모토
인간에 대한 존중, 사실로부터 진리를 추구, 하나의 세계, 하나의 가족
유형사설
확립된1973[2]
대통령박형주
학예사원
1,370
행정직원
1,002
학생들13,986
학부생9,850
대학원생3,642
494
위치, ,
대한민국.
캠퍼스어반
컬러스 파랑
노란색
마스코트파이오니어
웹사이트www.ajou.ac.kr
한국이름
한글
한자
수정 로마자 표기법아주대학교
매쿠네-라이샤워아주태학교

아주대학교(한국어: 아大學校; 大大學校; 亞大學校)는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에 있는 사립 연구대학이다. 1973년 프랑스와 대한민국 정부 간의 협정에 의해 설립되었다.

아주대는 프랑스와 대한민국 간의 교육을 통해 기술과 문화를 교류하자는 취지로 아주공과대학으로 출발했다. 아주대학교라는 명칭은 아시아가 세계의 중심이 되는 21세기에 아시아의 중심이 되겠다는 이념을 담고 있으며,[3] 경기도 지역을 대표하고 있다.[4]

아주시는 연구중심 대학병원, 테크노밸리, 삼성전자 본사, CJ블러썸파크, 행정타운(경기도청, 경기도의회, 교육청, 경기도대표도서관), 법률타운(수원고법, 수원고검장교외) 등 모든 세부사항을 갖춘 단일 캠퍼스에 위치하고 있다.얼음). 경기도와 행정타운, 법률타운, 약국이 아주시와 MOU를 체결했다.[5][6][7] 졸업생은 삼성, SK 등 국내 굴지의 기업에 취업한다. HYBE의 대표 인원을 배출해 세계에 대한 영향력을 키웠다.[8]

경영대학은 한국교육부의 세계적 연구중심대학 사업의 일환으로 금융공학부 유치허가를 받고 국제금융기구(IFO) 채용설명회를 연 국내 유일의 대학이다.[9] 그것의 경영대학은 AACSBEFMD 인증기관의 일원이다. e-비즈니스 부서는 SAP코리아와 교육협약을 체결했다. 소속 정보통신기술대학은 대한민국 공군과 협약을 맺고 국방디지털융합과를 신설해 공군 ICT 기술 고위임원을 양성하고 있다.[10]

의대 부속병원이자 경기도내 거점병원인 아주대병원이 아주대중간병원과 아주대평택병원, 아주대 파주병원 등을 개원한다.[11] 중국 지야윤병원으로부터 병원 브랜드 수수료를 받고 중국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12] 아주시는 연구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장기적으로 세계 100대 대학을 목표로 삼았다.[13][14] 후발주자인 아시아의 대학으로서 기술 상용화에 힘쓰고 있으며, 2028년까지 연간 200억원의 수익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4년까지 캠퍼스 내에서도 자율주행 전기차를 운행한다.[15] 아주시는 2020년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 분교 캠퍼스를 설립해 강력한 엔지니어링 프로그램에 주력하고 있다.

주목할 만한 학술 프로그램

  • 교환학생: 2021년 현재 67개국 325개 학교가 참가한 가운데 열렸다. 외국 대학, 학술교류협정이 체결된 기관과 학생을 교류하는 프로그램이다. 본교에 등록금을 내고 한 학기 동안 해외 대학에서 공부하는 것으로 해외 대학에서 받은 학점이 본교로 인정된다. 아주대는 ISEP(국제학생교류프로그램), CREPUQ(퀘벡대 학장과 교장 협의회), HUMAP(아시아태평양 효고대 이동성), n+i 네트워크(프랑스 공대연합), AUF(프랑스 대학연합)의 회원이다.
  • 복수학위: 졸업학점의 1/2을 이수하고 나머지 학점을 다른 학교에서 가져가는 프로그램으로 아주대학교와 다른 학교의 학위를 모두 취득한다. 현재 미국 일리노이 공과대학과 스토니 브룩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다.
  • 파란색 사다리: 한국 교육부의 사업. 어려운 환경에도 불구하고 자기계발과 진로발전에 대한 꿈과 열정을 가진 대학생들에게 해외연수 경험을 지원한다. 각 담당 대학이 학생을 선발해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아주대는 2018년 선정돼 3년간 운영된다. 학교로는 미시간대와 미국 워싱턴대, 중국 상하이교통대 등이 있다.
  • 글로벌 인턴십 : 전 세계 20여 개국의 기업에 학생들을 인턴십을 보내 보다 다양하고 도전적인 해외 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전공과 관련된 해외 산업현장에서 감각을 익히고 경력을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INKE(세계한인벤처네트워크), IDB(미국개발은행), KOTRA(한국무역투자진흥공사), CKP(미국아시아회계법인), W-OKTA(세계한인무역협회), HMART 등에 파견된다. 3, 4학년 인턴과정 학점으로 인정받고 있다.
  • 단기 파견: 방학 기간 약 4주간 해외 자매대학에 파견되는 프로그램이다. 자매대학의 어학연수, 국제연수 프로그램 등의 참여는 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프로그램 참여비의 일부를 장학금으로 지원할 수 있다.
  • 글로벌 경영 리더들
  • 글로벌 경영 리더십
  • ABIZ 글로벌 경영 서포터즈

평판 및 순위

대학순위
QS 내셔널[16]일반 16
ARWU 내셔널[17]일반 25
USNWR 내셔널[18]일반 24
QS 아시아
(아시아 랭킹 버전)[19]
일반 25
아시아[20]일반 130
USNWR 아시아[21]일반 209
[22] 월드일반 601-800
QS 월드[23]일반 531~540
USNWR 월드[24]일반 999
ARWU 월드[25]리서치 801-900
월드 (영)[26]장군/영 152
QS 월드(50세 이하)[27]장군/영 101-150
  • 2022년 QS : 세계 531~540위.[28]
  • 2021 QS 50 언더 50 : 세계 101-150위.[29]
  • 2019 중앙일보 대학평가(한국언론) : 전국 11위.[30]
  • 2019년 한경 취업 및 창업 평가 : 전국 5위.[31]
  • 2021 WURI 글로벌 100대 혁신대학 : 세계 62위.[32]
  • 2019년 로이터 아시아 태평양의 가장 혁신적인 대학: 아시아 24위.[33]
  • 2021년 영향 순위: 201-300위.[34]

교육 프로그램

학부과정 대학원 프로그램
인문대학 국제대학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정보통신대학원
사회과학대학 IT융합대학원
공과대학 경영대학원
상업 전문학교 공학대학원
정보통신기술대학 교통대학원 및 ITS
의과대학 교육대학원
간호대학 공공정책대학원
약대 법학전문대학원
국제학부 임상 치의학 대학원
법대 보건대학원
문과 대학 임상약학대학원
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글로벌 교양 학부. 10개 대학 부속 대학원
연계전공(문화산업/인문사회과학과의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분석/자동차 SW)
기숙사 구내식당 옆 벤치에 앉은 학생

기호

개척자상

개척자상은 아주대학교의 상징이다. 학교 정문에 있다.

중앙도서관

정보의 수집·축적·보급을 통해 학생과 교직원의 학습·양성·연구에 기여하기 위하여 1973년 3월 15일 중앙도서관을 설립하였다. 현립 초·중등학교 개교와 함께 개교하였다. 개관 당시 본관 1층 좌석은 120석이었다. 1973년 4월 12일부터 사서 한 명과 함께 1272권의 책을 구입하였다. 1983년 대우그룹 김대우 회장이 중앙도서관 개보수를 위해 50억원을 기부했다. 새로 지은 연면적은 4026평이었다. 2017년 10월 16일 리모델링을 통해 2층 도서관 전체가 커뮤니티 라운지로 전환되었다. 또 1층에는 기존에 복도에 사용하던 공간을 확장해 카페를 만들어 휴게공간과 편의시설이 가능해졌다.[citation needed]

식당

그 캠퍼스는 주로 두 개의 큰 카페테리아와 많은 작은 식당들에 의해 제공된다. 가장 큰 식당은 기숙사에서 가깝고 기숙사 식당이라고 불린다. 2층으로 되어 있으며, 매일 회전식 메뉴로 한식과 양식이 모두 제공된다. 두 번째로 큰 식당은 학생 식당이라고 불리며 학생회관에 위치하고 있다. 팔달관, 다산관, 종합관 등에도 소규모 식당이 있다.[citation needed]

기숙사

캠퍼스에는 남재 기숙사, 용지 기숙사, 화홍 기숙사, 광규 기숙사 등 4개의 큰 기숙사가 있다. 남재와 용지 기숙사는 남학생 전용 기숙사, 광규는 여학생 기숙사다. 화홍은 남성과 여성 모두를 수용하고 있으며(별도층, 여학생 층은 여성용 키카드 접근 전용) 교환학생이나 일반 학생으로 외국인에게 개방된 유일한 기숙사다. 화홍 기숙사를 제외한 모든 기숙사에는 각각 4명의 입주자가 있는 방이 있다. 화홍은 침실이 두 개, 네 개다. 초빙교수들을 위한 1인실도 갖췄다. 아주대학교 국제기숙사영상[citation needed]

주목할 만한 동문

아주에서 사계절

참고 항목

참조

  1. ^ 아주대학교 한국어 약칭: 아대(대大; A대) 영어: AU
  2. ^ http://www.ajou.ac.kr/en/about/about03.jsp
  3. ^ "Eight ways China is changing your world". BBC News. 2012-10-15. Retrieved 2021-08-15.
  4. ^ "It is responsible for 16 million people, the Unification Education Center of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Gyeonggi-Incheon area". 인천일보 (in Korean). 2020-07-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07-14. Retrieved 2021-02-18.
  5. ^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 Ajou University, MOU". 뉴스피크 (in Korean). 2017-02-0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9-01. Retrieved 2021-02-18.
  6. ^ "Gyeonggi-do Court-Ajou Law School, MOU". 법률저널 (in Korean). 2009-07-2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2-06. Retrieved 2021-02-18.
  7. ^ "Gyeonggi-do Pharmacy - Ajou University, Convergence Research MOU". 한국의약통신 (in Korean). 2016-11-2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7-17. Retrieved 2021-03-04.
  8. ^ "Yoon Seokjoon, CEO of HYBE, selected by Billboard Indie Power Playe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7-16.
  9. ^ "Training experts to lea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대한뉴스 (in Korean). 2009-06-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9-01. Retrieved 2021-02-18.
  10. ^ "Department of Defense, Air Force High Position Service for 7 Years After Graduation". hankyung.com (in Korean). 2014-07-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9-01. Retrieved 2021-02-18.
  11. ^ "Promotion of establishment of medical hospital". 인천일보 (in Korean). 2020-08-3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10-03. Retrieved 2021-02-18.
  12. ^ "呼兰区人民政府 领导活动 哈尔滨嘉润医院与韩国亚洲大学附属医院举行合作揭牌仪式". www.hulan.gov.cn. Retrieved 2021-07-23.
  13. ^ "It is the fifth largest university in the country among the national universities in terms of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project". m.facebook.com. Retrieved 2021-02-22.{{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14. ^ "Education costs per person, ranking 4th among national universities". Usline(유스라인) (in Korean). 2019-11-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9-12-09. Retrieved 2021-02-22.
  15. ^ 아주대학교 비전 4.0
  16. ^ "QS South Korea University Rankings 2019". Top Universities. 2019. Retrieved July 20, 2019.
  17. ^ World University Rankings - 2019 (2019). "South Korea Universities in Top 500 universities".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Retrieved August 16, 2019.
  18. ^ U.S.News & World Report (2019). "Search Best Global Universities - US News Education". U.S. News & World Report LP. Retrieved July 20, 2019.
  19. ^ "QS Asian University Rankings". QS Quacquarelli Symonds Limited. 2019. Retrieved August 16, 2019.
  20. ^ "Times Higher Education Asia University Rankings". Times Higher Education. 2019. Retrieved August 16, 2019.
  21. ^ U.S.News & World Report (2019). "Best Global Universities in Asia - US News Education". U.S. News & World Report LP. Retrieved July 20, 2019.
  22. ^ "THE World University Rankings". Times Higher Education. 2020. Retrieved October 19, 2019.
  23. ^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QS Quacquarelli Symonds Limited. 2020. Retrieved August 16, 2019.
  24. ^ U.S.News & World Report (2019). "Best Global Universities - US News". U.S. News & World Report LP. Retrieved July 20, 2019.
  25. ^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Institute of Higher Education, Shanghai Jiao Tong University. 2019. Retrieved August 16, 2019.
  26. ^ "Young University Rankings 2019". Times Higher Education (THE). 2019. Retrieved July 21, 2019.
  27. ^ "QS Top 50 Under 50 2020". QS Quacquarelli Symonds Limited. 2020. Retrieved July 21, 2019.
  28. ^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1". Top Universities. Retrieved 2021-02-18.
  29. ^ "QS Top 50 Under 50 2021". Top Universities. 2020-06-19. Retrieved 2021-02-18.
  30. ^ 수정 2019.11.16 02:52, 입력 2019 11 16 00:04 (2019-11-16). "[2019 대학평가]서울대 5년 연속 1위, 성균관 2위, 한양 3위". 중앙일보 (in Korean). Retrieved 2021-02-18.
  31. ^ 매거진한경. "[2020 한경 대학 취업·창업 평가] 한양대, 창업·취업 최고…광운대 첫 톱10 진입". magazine.hankyung.com (in Korean). Retrieved 2021-02-18.
  32. ^ "Global Top 100 Innovative Universities WURI ranking". WURI (in Korean). Retrieved 2021-02-18.
  33. ^ "Reuters Top 75". Reuters. Retrieved 2021-02-18.
  34. ^ "Impact Ranking". Times Higher Education (THE). 2021-04-16. Retrieved 2021-07-23.

좌표: 37°16′58″N 127°02′46″E / 37.282913°N 127.04607°E / 37.282913; 127.04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