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가네이트

Akaganeite
아카가네이트
Earth-and-Man--Akaganeite.jpg
미네랄 아카가네이트의 한 조각.불가리아 소피아에 있는 "지구와 인간" 박물관 전시.러시아 코라 반도 키비니 마시프 카스카스니춘초르에서 발견
일반
카테고리산화광물
공식
(기존 단위)
Fe3+O(OH,Cl)
IMA 기호악그[1]
스트룬츠 분류4.DK.05
크리스털 시스템단음이의
크리스털 클래스프리즘(2/m)
(동일한 H-M 기호)
스페이스 그룹I2/m
단위세포a = 10.561, b = 3.031
c = 10.483 [å]; β = 90.63°;Z = 1
식별
황갈색, 녹슨갈색
루스터지구
스트릭갈색을 띤 노란색
발데인성투명, 반투명
비중3.52

타락한 아카가네이트(Akaganeite)[2]라고도 쓰여진 아카가네이트는 염화 철(III) 산화수산화물 광물로, 피르호타이트(FeS1−x)의 풍화작용에 의해 형성된다.

아카가네이트는 흔히 무수 철산수산화물 FeOOh의 β 위상으로 설명되지만, 일부 염화물(또는 불소화) 이온은 일반적으로 구조물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공식은 FeO
0.833
(OH)
1.167
Cl
이다
0.167.[3][4]
니켈은 철을 대체하여 보다 일반적인 공식(Fe3+
,Ni2+
)(OH,O)
8
16
Cl

1.25[5] 산출할 수 있다.

아카가네이트는 금속성 광택과 갈색의 노란색 줄무늬를 가지고 있다.그것의 결정 구조는 단조롭고 4각형 격자체의 c축에 평행한 터널이 존재하여 특징지어지는 홀란타이트 BaMnO
8
16 유사하다.
이 터널들은 부분적으로 크리스털에 구조적 안정성을 주는 염화 음이온이 차지하고 있다.[4]

발생

이 광물은 일본 이와테의 아카가네 광산에서 발견되었는데, 이 광물의 이름은 이 광산의 이름이다.1968년 일본의 광물학자 마쓰오 난부에 의해 묘사되었으나,[6] 1961년에 이르면 이름이 붙여졌다.[7][8]

아카가네이트는 또한 전세계적으로 널리 분산된 장소와 아폴로 프로젝트 기간 동안 되돌아온 의 암석에서도 발견되었다.운석과 달 표본에서의 발생은 지구의 대기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생각된다.그것은 궤도 영상 분광법을 통해 화성에서 발견되었다.[9]

참고 항목

광물 목록

참조

  1. ^ Warr, L.N. (2021). "IMA–CNMNC approved mineral symbols". Mineralogical Magazine. 85 (3): 291–320. Bibcode:2021MinM...85..291W. doi:10.1180/mgm.2021.43. S2CID 235729616.
  2. ^ Ernst A.J. Burke(2008) : "미네랄 네임 수정: 접미사, 하이픈 및 분음 부호를 위한 IMA-CNMNC 체계"광물학 기록 39권 2호
  3. ^ 김종식, 클레어 P.그레이(2010), "Li Solid-State MAS NMR 연구 및 철(III) 옥시이드록사이드, 아카가네이트(β-FeOOh)에 대한 리튬 흡착.재료 화학, 22권, 페이지 5453–5462. doi:10.1021/cm100816h
  4. ^ a b C. 레마지유와 Ph.Refait(2007) : "염화물이 함유된 환경에서 β-FeOOh (아카가네이트) 형성에 관하여."부식과학, 제49권, 제2, 제844-857쪽. doi:10.1016/j.corsci.2006.06.003
  5. ^ "미네랄 314-687: 아카가네이트"Mindat.org 데이터베이스, 2019-02-12에 액세스.
  6. ^ 마츠오 남부(1968년):"岩手県赤金鉱山産新鉱物赤金鉱 (β-FeOOH) について (New mineral Akaganeite, β-FeOOH, from Akagane Mine, Iwate Prefecture, Japan)", Journal of the Japanese Association of Mineralogists, Petrologists and Economic Geologists, volume 59, issue 4, pages 143-151,doi:10.2465/ganko1941.59.143
  7. ^ 앨런 린제이 맥케이(1962년) : 광물학잡지광물학학회지 제33권, 발행 259호, 페이지 270-280. doi:10.1180/min.1962.033.259.02 마츠오 남부(1961)의 비공개 통신을 인용한다.참고: 제목에 있는 분음 부호가 잘못됨. 버크(2008)를 참조하십시오.미국 민랄로기자의 만다리노(1963) 리뷰
  8. ^ J. A. 만다리노(1963년) : "새로운 광물 이름: 아카가네이트."미국 광물학자 48권 5-6쪽 711쪽광물학 잡지에서 맥케이의 커뮤니케이션(1962)에 대한 짧은 리뷰.참고: 제목에 있는 분음 부호가 잘못됨.
  9. ^ Carter, John; Viviano-Beck, Christina; Loizeau, Damien; Bishop, Janice; Le Deit, Laetitia (1 June 2015). "Orbital detection and implications of akaganéite on Mars". Icarus. 253: 296–310. Bibcode:2015Icar..253..296C. doi:10.1016/j.icarus.2015.01.020. ISSN 0019-103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