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키닐레우모자

Akinyele Umoja

아키닐 우모자(Akinyele Umoja, 1954년 출생)는 미국의 교육자 겸 작가로서 아프리카계 미국인 학문을 전문으로 한다. 활동가로서 신아프리칸 인민기구와 말콤 엑스 풀뿌리 운동의 창립 멤버다.[1] 2013년 4월 뉴욕대 출판사는 우모자의 저서 '위 윌 슈트 백: 미시시피 자유운동의 무장 저항'을 출간했다. 현재 조지아 주립대학교(GSU) 아프리카-미국학부 교수 겸 학과장을 맡고 있다.

조기생활과 교육

아키닐 오모왈레 우모자는 1954년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의 대부분을 캘리포니아 콤프턴에서 보냈다.[2] 그는 1972년에 고등학교를 졸업했다.[3] 우모자는 1986년 6월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주립대학에서 아프리카계 미국학 학사학위를 받았다.[1] 1990년 8월 조지아 애틀랜타있는 에모리 대학 교양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로빈 켈리 박사 밑에서 에모리 박사 학위를 받은 동안, 그의 논문 주제는 "Eye for a Eye: 미시시피 자유 운동의 무장 저항."[1]

경력

캘리포니아의 초기 활동주의

우모자는 특히 신아프리카 독립 운동과 함께 활동하면서 아프리칸인들의 해방 투쟁에 적극적이었다.[3] 1972년 UCLA에 입학하기 시작한 뒤 신입생으로서 학생신문 NOMMO에 기고하기 시작했고, 무하마드 아마드(맥스 스탠퍼드) 국방위원회(MADC)에도 가입했다.[3] 활동가 아흐마드가 음모 혐의로 억류되자 우모자는 탄원서와 모금행사를 조직해 아흐마드의 석방을 확보했다. UCLA를 중퇴하고, 아프리카 인민당, 우모자 가문에 입당하기도 했다. 2년 후,[3] 그는 말콤 X 풀뿌리 운동과 뉴 아프리칸 인민 기구의 창립 멤버였다.[4] 우모자는 이후 카리브해, 아프리카, 유럽의 국가 및 국제 포럼에서 두 기관을 대표했다.[4]

1972년부터 1982년까지 우모자는 소울북의 직원으로 있었다. 마마두 루뭄바가 창간한 <흑계의 혁명 저널>.[3] 그는 또한 이 기간 동안 로스앤젤레스에서 활동적으로 활동했는데, 그곳에서 말콤 엑스의 몇몇 동료들을 위한 보안과 지원을 조직했다. 그는 또한 로스앤젤레스에서 경찰학대방지연합(CAPA)에서 활동했다.[3] 1979년 우모자는 '흑인해방운동의 자결 요구와 배상 요구, 정치범 석방 요구 등을 상세히 기술한 문서'를 제작하는 국가흑인권연합 위원회에 소속되어 있었다. 당시 유엔 사무총장에게 제시되었는데, 탄자니아살림 살림이었다.[3]

교육직업

우모자는 교육자로서 다양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그는 중등학교, 대안학교, 단과대학 등에서 가르쳤으며, 공립학교와 지역사회 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아프리카 중심의 커리큘럼을 개발했다. 1980년대 후반에는 애틀랜타의 공립학교에서 사회학을 가르쳤으며, 1986년부터 1991년까지 애틀랜타 메트로폴리탄 칼리지에서 아프리카계 미국 역사도 가르쳤다.[1] 1990년대 초 클라크 애틀랜타 대학교의 역사학과에서 강의를 시작하여 1996년까지 강의를 하였다.[1] 이어 조지아 주립대(GSU) 아프리카아메리카학부 교수가 되었고 학과장도 맡고 있다.[1][2]

글쓰기 및 근황

우모자의 글은 흑학술지, 신정치학, 아프리카나학 국제학술지, 흑학자, 급진사적 고찰, 사회주의와 민주주의라는 학술적 출판물에 실렸다. 우모자는 아프리카계 미국 역사에 관한 블랙웰 컴패니언, 블랙 팬더당 재심의, 해방, 상상, 블랙 팬더당, 그리고 말콤 엑스: 역사책자의 공헌자 중 한 명이었다.[citation needed] 2013년 4월 미국 뉴욕대 출판사(NYU)는 우모자의 첫 싱글 저술집 '위 백: 미시시피 자유 운동에서 무장 저항'을 출간했다.[5] 2015년 '클라리온-레저'의 한 리뷰는 이 책을 "1970년대 말까지 주 전역의 지역사회에서 일어난 대립"이라고 묘사하면서 흑인 미시시피인들이 어떻게 궁극적으로 주류사회의 위협을 극복하고, 법적 분리를 물리치고, 자신들의 국가에 대한 정치적 통제 수단을 주장할 수 있었는지를 보여주었다.[6] 그는 2014년 오클랜드에서 이 책으로 영예를 안았다.[7]

우모자는 흑역사에 관한 상업적이고 인기 있는 다큐멘터리에 기여해왔다. 우모자는 2008년 11월 8일 방송된 미국 갱스터 에피소드 '닥터 무툴루 샤쿠르'의 특집 해설위원이었다. 는 또한 당의 개자식(2006)과 자유기록원의 코인텔프로 101(2010)에도 등장한다.[citation needed] 최근에는 가이아나아이티에서 운동을 지원했고, 2010년 8월에는 말콤 엑스 풀뿌리 운동의 블랙 어거스트 대표단을 이끌고 아이티로 가서 최근 지진 후의 상황을 조사하였다.[3] 2013년 미시시피에서 흑인 시민들의 1965년 보이콧에 대해 강연했다.[8] 2014년 미시시피주 잭슨에서 열린 시장 장례식에서 고인이 된 친구 초크위 루뭄바를 기리는 엄숙한 성전을 바쳤다.[9][10][11]

수상 및 인정

1990년부터 1993년까지 패트리샤 해리스 펠로우십을 수상했으며, 1994년에는 Who's Who in America'[1]s Teachers에 이름을 올렸다. 1995년에는 전국 골든키 아너 소사이어티의 명예 회원이었다.[1]

출판물

영화 출연

  • 2008: 미국 갱스터 에피소드 "닥터 무툴루 샤쿠르"—유능 해설가
  • 2006년: 당의 서자 앤서니 푸쿠아, 클레 "본" 슬론 감독
  • 2010: 자유기록원 별 Cointelpro 101

참고 항목

참조

  1. ^ Jump up to: a b c d e f g h 아키닐 K교수. 우모자 gsu.edu
  2. ^ Jump up to: a b "About Dr. Umoj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01-26. Retrieved 2017-04-21.
  3. ^ Jump up to: a b c d e f g h "Activism". Akumoja.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1-03. Retrieved 2015-04-26.
  4. ^ Jump up to: a b "Dr. Akinyele Umoja".
  5. ^ "We Will Shoot Back: Armed Resistance in the Mississippi Freedom Movement: Akinyele Omowale Umoja: 9780814725245: Amazon.com: Books". 누락 또는 비어 있음 url= (도움말)
  6. ^ Goodwin, Chris (August 1, 2015), "Review: "We Will Shoot Back"", The Clarion-Ledger, retrieved April 19, 2017
  7. ^ Kekauoha, Alex (December 8, 2014), "Oakland honors authors at annual ceremony", Oakland North
  8. ^ Shelton, Lindsey (April 20, 2013), "History conference speaker says 1965 boycott became model for state", The Democrat
  9. ^ "One Year After Chokwe".
  10. ^ "A Tribute to Chokwe Lumumba by Akinyele Umoja - The Black Scholar". 16 September 2014.
  11. ^ "A Freedom Fighter Goes Home: Reflections on Mayor Chokwe's Lumumba's Funeral - Malcolm X Grassroots Moveme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7-04-22. Retrieved 2017-04-2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