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 코펠
Alec Coppel알렉 코펠(Alec Coppel, 1907년 9월 17일 ~ 1972년 1월 22일)은 오스트레일리아 태생의 시나리오 작가, 소설가, 극작가였다.그는 경쾌한 스릴러, 미스터리, 섹스 코미디를 전문으로 다루면서 경력의 대부분을 런던과 할리우드에서 보냈다.그는 영화 "Vertigo"(1958년), "The Captain's Paradise"(1953년), "Mr Denning Drive North"(1951년), "I Killed the Count and The Gaesbo"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전기
초년기
코펠은 멜버른에서 태어나 웨슬리 대학에 다녔다.1920년대 영국 케임브리지대에서 의학을 공부하기 위해 영국으로 건너갔으나 졸업 전에 중퇴하고 여가에 글을 쓰며 광고에 종사했다.코펠의 첫 무대 연극은 쇼트 서킷(1935년)과 스타즈 포텔(1936년)이었다.
나는 백작을 죽였다.
그의 첫 번째 큰 성공은 웨스트엔드에서 성공적인 주행을 한 그의 희곡 "I Dilked the Count" (1937년)이었다.코펠은 그것을 소설(1939), 각본과 라디오 연극으로 바꾸었다.그것은 또한 그가 시나리오 작가 제의를 받는 것으로 이어졌다.[1][2]
그의 대본 크레딧에는 Over the Moon(1939), 영화 'I Killed the Count(1939), 영화 'Just like a Woman(1939)' 등이 있다.코펠은 레뷰의 책인 Let's Saying (1940)에 기고하였고, 새로운 희곡인 Believe It Of Not (1940)을 썼다.
호주로 돌아가기
코펠은 그의 "건강"[3][4]을 위해 1940년에 호주로 돌아왔다.그곳에서 그는 화이트홀 프로덕션의 감독을 공동 설립하고, 킹스 크로스의 민베라 극장에서 운영하면서 감독으로 일했다.[5]
그가 그곳에서 선보인 연극들 중에는 자신이 만든 '미스터 스마트 가이'(1941)의 세계 시사회가 있었다.그는 또한 라디오에서 글을 썼고 이 시기에 호주에서 만들어진 몇 안 되는 장편영화 중 하나인 스미시(1946)의 대본에 기여했다.
런던으로 돌아가기
코펠은 전쟁이 끝날 무렵 런던으로 다시 이주해 소설, 연극, 각본을 번갈아 가며 계속하였다.
그의 희곡에는 '내 친구 레스터'(1947)와 '개에 관한 남자'(1949)가 있었다.그의 대본에는 브래스 몽키(1948), 우먼 하터(1948), 집착(1949), 투 온 더 타일즈(1951), 스마트 알렉(1951) 등이 있었다.
코펠은 제임스 스튜어트가 주연한 노 하이웨이 인 더 스카이 (No Highway in the Sky) (1951년)의 일부 장면들을 다시 쓰기 위해 고용되었고, 자신의 소설을 바탕으로 Mr. Denning Drives North (1951년)를 썼다.
그는 1953년 최우수 이야기상 후보에 오른 The Captain's Paradise와 함께 시나리오 작가로 아카데미상 후보에 오른 최초의 호주인이 되었다.그해 그는 소설 <마지막 비유>(1953)를 출간했다.
코펠은 워릭 픽처스 온 헬 언더그라운드 제로(1954년)와 블랙 나이트(1954년)에 의해 사용되었다. 노 하이웨이와 캡틴스 파라다이스처럼 그들은 미국 스타들이 나오는 영국 영화였고 코펠은 할리우드에서 일하고 싶어했다.
할리우드로 이동
Coppel은 1954년에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했고 그곳에서 많은 대본을 썼다.그는 '도둑을 잡기 위해'(1955)에 대한 미승인 작업을 했고, 스릴러 '그림자와 약속'(1957)을 했다.새뮤얼 A와 함께. 테일러, 코펠은 볼레아우-나르세작 소설 D'entre 레즈모르트를 원작으로 한 버티고(1958)의 각본을 공급했다.
그는 연극 "천재와 여신" (1957), "조슈아 트리" (1958년)를 썼고, "선장 천국" (1958년)이 뮤지컬로 각색되는 것을 보았다.그는 코펠 부부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게이즈보》(1959년)로 큰 히트를 쳤다. 이 영화는 다른 사람이 각본을 만들었지만 나중에 촬영되었다.코펠은 The Captain's Paradise(1961년)를 무대로 각색하고, 시에나의 MGM Swordsman(1962년)을 위해 스와시버클러를 했다.
후기 경력
그는 1960년대를 주로 유럽과 런던에서 일하면서 보냈다.그는 자신의 이야기 "낯선 사람과 함께 하는 웃음"을 "모멘트에 순간"(1966년)으로 각색했다.코펠은 코펠을 알고 있는 호주 출신의 돈 샤프 감독은 코펠의 작품이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6]
코펠의 마지막 두 가지 크레딧은 자신의 플레이 칩 칩 칩 칩을 바탕으로 더 블러썸 부인의 블리스와 여신상과 함께 공동 집필한 섹스 코미디 한 쌍이었다.
그는 또한 연극 "Not in My Bed," "You Don't," "Cadenza and A Bird in the Nest"를 썼고 TV 연극 "A Kiss is Just a Kiss"(1971)도 썼다.
사생활
코펠은 1972년 1월 22일 런던에서 대장암으로 사망했다.[7]
그는 두 번 결혼했다.그는 영국에 살고 있는 아들 크리스 코펠이 그의 아버지의 작품을 계속 대표하고 있다.
부분 필모그래피
연도 | 제목 | 감독 | 메모들 |
---|---|---|---|
1937 | Over the Moon | 손턴 프리랜드 | 공동화면 재생 |
1939 | 나는 백작을 죽였다. | 프레데릭 젤닉 | 각본, 그의 연극에 기반한 |
1939 | 저크 라이크 어 우먼 | 폴 스타인 | 공동화면 재생 |
1946 | 스미시 | 켄 G. 홀 | 공동화면 재생 |
1948 | 브래스 몽키 | 손턴 프리랜드 | 각본 |
1948 | 우먼 하이터 | 테런스 영 | 단편소설을 바탕으로 |
1949 | 집착 | 에드워드 디트리크 | 영화 각본, 대화 감독; 그의 소설, 개에 관한 남자에 바탕을 두고 있다. |
1950 | 투 온 더 타일 | 존 기예르민 | 각본 |
1951 | 스마트 알렉 | 존 기예르민 | 각본, 그의 희곡 Mr Smart Guy를 바탕으로 한 영화 |
1951 | 하늘에는 고속도로가 없다. | 헨리 코스터 | 공동화면 재생 |
1951 | 북쪽으로 운전하는 데닝 씨 | 앤서니 김민스 | 각본, 그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
1953 | 선장의 천국 | 앤서니 김민스 | 공동화면 재생 |
1954 | 지옥 지하 | 마크 롭슨 | 공동화면 재생 |
1954 | 블랙 나이트 | 타이 가넷 | 공동화면 재생 |
1954 | 도둑을 잡으려면 | 알프레드 히치콕 | 대본에 대한 승인되지 않은 기여 |
1957 | 그림자와의 약속 | 리처드 칼슨 | 각본 |
1958 | 현리고 | 알프레드 히치콕 | 공동화면 재생 |
1959 | 게즈보 | 조지 마셜 | 그의 플레이에 근거하여 |
1962 | 시에나의 검객 | 에티엔 페리에 | 공동화면 재생 |
1966 | 모멘트 투 모멘트 | 머빈 르로이 | 공동화면 재생 |
1968 | 블러썸 부인의 행복 | 조지프 맥그래스 | 코스크린 플레이, 그의 희곡 " 둥지 속의 새"를 바탕으로 한다. |
1971 | 여신상 | 로드 아마추 | Co-screenplay, 그의 플레이에 기반한 Chip, Chip, Chip |
1971 | 조 | 장 지로 | 프랑스 영화그의 희곡 The Gaesbo를 바탕으로 |
미사용 각본
- 중국 방[8]
- 아드리안 메신저 목록[9]
플레이스
- 단락(1935년)
- 스타즈 포텔 (1936년)
- 나는 백작을 죽였다(1937년)
- Let's Saying (1938년) – 리뷰 책에 기고
- 믿거나 말거나 (1940)
- Mr Smart Guy(1941)
- 토요일의 아이 (1946)
- 내 친구 레스터 (1947)[10]
- 개에 대한 남자 (1949)
- 천재와 여신(1957)
- 조슈아 트리 (1958) – Myra와 Alec Coppel의 이야기로부터
- 오, 선장!(1958) – 그의 이야기만을 토대로 한 것이다.
- The Gaesbo (1959년) – Myra와 Alec Coppel의 이야기에 나오는 것
- 비바 르 차이(1960년)
- 선장의 낙원 (1961년)
- 내 침대에서가 아니라, You don't (1968년) – Myra Coppel과 함께
- 카덴자 (1977년)
- 둥지 속의 새
- 칩, 칩, 칩
TV연극
- 저녁식사 손님(1956년) – 알코아 극장[11][12] 에피소드
- A Kiss is Just a Kiss (1971)
소설
- 나는 백작을 죽였다(런던: Blackie, 1939년)
- 개에 대한 남자 (런던:George G Harrap and Company Ltd, 1947) (미국: Over the Line)
- 데닝 씨는 북쪽으로 운전한다(런던:George G Harrap & Co., 1950)
- 마지막 비유(런던:아서 베이커, 1953)
- 모멘트 투 모멘트(그리니치:포셋 출판사, 1966)
- 트위들덤과 트위들디 (런던:제프리 블레스, 1967)
라디오 플레이
언메이드 프로젝트
- 우리 시대의 평화(1940년) – 영국[15] 영화) – 영국 영화
참조
- ^ "HE KILLED THE COUNT!—and became a Famous Playwright!". Table Talk. Melbourne. 7 September 1939. p. 6. Retrieved 19 February 2015 – via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 ^ "Belated £3,000 for playwright". The Argus. Melbourne. 3 August 1951. p. 7. Retrieved 19 February 2015 – via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 ^ "Across the Stage". The Daily Telegraph. Vol. I, no. 47. New South Wales, Australia. 6 October 1940. p. 23. Retrieved 22 March 2019 – via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 ^ The bulletin, John Haynes and J.F. Archibald, 1880, retrieved 22 March 2019
- ^ "AusStage". www.ausstage.edu.au. Retrieved 2 June 2020.
- ^ Sharp, Don (2 November 1993). "Don Sharp Side 5" (Interview). Interviewed by Teddy Darvas and Alan Lawson. London: History Project. Retrieved 14 July 2021.
- ^ 질, 스티븐.'알렉 코펠:호주 극작가와 서바이버.'2010년 4월 56일 호주의 연극 연구: 219–232.
- ^ "필름랜드 이벤트: 미스 린드퍼스가 브로드웨이에 출연한다" 1960년 9월 12일: C11
- ^ Boxoffice; Boxoffice (1961). Boxoffice (Oct-Dec 1961). Media History Digital Library. New York, Boxoffice.
- ^ "Britain Lean But Alive And Kicking". The Sun. No. 11, 638 (LATE FINAL EXTRA ed.). Sydney. 14 May 1947. p. 10. Retrieved 22 October 2017 – via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 ^ AustLitt에서 저녁식사를 위한 손님들
- ^ "Guests for dinner". The Australian Women's Weekly. Vol. 24, no. [?]. 12 December 1956. p. 40. Retrieved 11 June 2016 – via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 ^ "BROADCAST FEATURES From A.B.C. Stations". Riverine Herald. Echuca, Vic. 15 November 1940. p. 1. Retrieved 19 February 2015 – via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 ^ "RADIOPINION". Sunday Mail. Brisbane. 28 May 1950. p. 8. Retrieved 19 February 2015 – via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 ^ "Motion Picture Herald - Lantern: Search, Visualize & Explore the Media History Digital Library". lantern.mediahist.org. Retrieved 2 June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