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렌드론산

Alendronic acid
알렌드론산
Alendronic acid.svg
Alendronate-3D-balls.png
임상자료
상명포사맥스, 비노스토 등
기타 이름알렌드론산염, 알렌드론산나트륨
AHFS/Drugs.com모노그래프
메드라인플러스a601011
라이센스 데이터
임신
범주
경로:
행정
입으로
ATC 코드
법적현황
법적현황
약동학 데이터
생체이용가능성0.6%
신진대사변변히 배출된
제거 반감기126개월
배설신장
식별자
  • 나트륨 [4-162-1-hydroxy-1-(hydroxy-oxido-phosphoryl)-butyl]phosphonic acid trihydrate.
CAS 번호
펍켐 CID
IUPHAR/BPS
드러그뱅크
켐스파이더
유니
케그
체비
켐벨
CompTox 대시보드 (EPA)
ECHA InfoCard100.128.415 Edit this at Wikidata
화학 및 물리적 데이터
공식C4H13NO7P2
어금질량249.096 g·1998−1
3D 모델(JSmol)
  • O=P(O)C(O)P(=O)P(O)o
  • InChi=1S/C4H13NO7P2/c5-3-1-2-4(6,13(7,8)-14(10,11)12/H6H,1-3,5H2,(H2,7,8,9)(H2,10,11,12) checkY
  • 키:OGSPWJRAVKPPFI-UHFFFAOYSA-N checkY
☒NcheckY (이게 뭐야?) (iii)

알렌드로닉산포사맥스라는 상표명으로 판매되는 비스포스포네이트 으로 골다공증과 파게트의 질환 치료에 쓰인다.[2]그것은 입으로 가져간다.[2]비타민D, 칼슘 보충제, 생활습관 변화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는 경우가 많다.[2]

일반적인 부작용(환자의 1~10%)으로는 변비, 복통, 메스꺼움, 산성 역류 등이 있다.[2]임신 중이나 신장 기능이 떨어지는 사람에게는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3]알렌드론산은 뼈를 분해하는 세포의 활동을 감소시켜 작용한다.[2]

알렌드론산은 1978년에 처음 설명되었고 1995년 미국에서 의료용으로 승인되었다.[2][4]그것은 일반적인 약으로 이용할 수 있다.2019년에는 미국에서 96번째로 가장 많이 처방된 의약품으로 700만 건 이상의 처방을 받았다.[5][6]

의학적 용법

알렌드론산 35mg(알렌드론산 나트륨 45.7mg) 경구용 태블릿
  • 여성 골다공증[2] 예방 및 치료
  • 남성 골다공증 치료
  • 칼슘 및 비타민 D[2] 보충제와 함께 코르티코스테로이드 관련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
  • 파게트병[2]

콘트라인커뮤니케이션

알렌드론산염은 다음 항목에 사용해서는 안 된다.

  • 위장관의 급성 염증(성형염, 위염, 궤양)
  • 임상적으로 나타난 골연화증
  • 식도의 특정 기형 및 오작동(긴장, 아칼라시아)[2]
  • 구강 투여 후 30분 동안 서 있거나 걷거나 앉아 있을 수 없음
  • 크레아티닌 간극이 30ml/min 미만임을 입증하는 신장 장애 또는 만성 신장 질환
  • 탄수화물 또는 제품의 다른 성분에 대한 과민성
  • 저칼슘혈증[2]
  • 임신과 모유수유
  • 이 모집단에 대한 임상 데이터가 없으므로 18세 미만 환자

부작용

  • 위장관:
    • 궤양식도의 파열 가능성; 이것은 입원 및 집중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위궤양과 십이지장궤양도 발생할 수 있다.
    • 식도암, 메타 분석은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는 식도암의 초과 위험과 관련이 없다고 결론지었다.[7][8]
  • 일반: 피부 발진이 드물고 스티븐스처럼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다.존슨 증후군독성 표피 네크로리시스, 안구질환(우비염, 척추염), 일반화된 근육, 관절, 뼈 통증[9](급증) 등이 보고됐다.실험실 테스트에서 칼슘 및 인산염 값 감소를 볼 수 있지만 약물의 예상 작용을 반영할 수 있으며 거의 항상 임상적으로 관련이 없다.
  • 이 약물을 복용하는 동안 어떤 종류의 치과 치료가 진행된다면 턱의 골화증이 발생할 수 있다.[10]비록 이 부작용은 드문 일이(구강alendronic 산성을 위해 0.4-1.6%)4년 이상의 그것을 복용해 왔다 그 위험은 하악골(아래 턱)에 extractions의 입의 다른 지역보다, 걸릴 위험이 높아지면 주로 환자들 정맥 bisphosphonates 관리 하는데 있어, 대부분의와 함께 일어난다. cases는 암 환자들에게 보고되고 있다.[11][12]
  • 뼈: 신장염은 장기간 사용자로 하여금 저충격 대퇴골절의 발달과 연관되어 왔다.[13]게다가, 연구들은 알렌드론산염의 사용자들이 골수성형 수의 증가를 가지고 있고 거대하고 다핵화된 골수성형을 개발한다고 제안한다;; 이 발달의 중요성은 불분명하다.[14]포사맥스는 거의 또는 전혀 외상(하위 골절)이 없는 상태에서 허벅지 윗뼈를 직선으로 자르는 희귀한 형태의 다리 골절과 연결돼 왔다.[15]

상호작용

  • 칼슘, 마그네슘 또는 알루미늄(항산화제)이 다량 함유된 식품과 약물은 알렌드론산염의 흡수를 감소시킨다.유제품을 먹거나 보충제나 약물을 복용하기 전에 적어도 30분이 지나야 한다.
  • 활성도가 높은 비타민D 아날로그 또는 불소화합물:[clarification needed] 데이터를 사용할 수 없음.그에 상응하는 치료는 피해야 한다.[citation needed]
  • 골다공증이 있는 폐경 후 여성에게서 에스트로겐/프로게스틴 또는 랄록시펜을 사용한 HRT(호르몬 대체요법)의 추가적인 이로운 효과는 아직 해명되어야 하지만, 어떠한 상호작용도 발견되지 않았다.따라서 이 조합은 가능하지만 논란의 여지가 있다.
  • 정맥내 라니틴은 알렌드론산염의 경구 생체이용률을 높인다.어떤 임상 결과도 알려져 있지 않다.
  • NSAIDs와 신장염의 결합은 위궤양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이 두 약 모두 위장관 점막을 자극할 가능성이 있다.

약리학

작용기전

상대 효력[16]
비스포스포네이트 상대 효력
에티드로나이트 1
틸루드로나이트 10
파미드로나이트 100
알렌드로나이트 100-500
이반드로나이트 500-1000
레드로네이트 1000
자오레드로네이트 5000

알렌드론산염은 골수성 매개 골격회복을 억제한다.모든 비스포스포네이트와 마찬가지로, 그것은 화학적으로 뼈 이직의 내생적 조절기인 무기체 파이로인산염과 관련이 있다.그러나 화인산염은 골수성 뼈 재흡수골수성자에 의해 새롭게 형성된 뼈의 광물화를 모두 억제하지만, 알렌드론산염은 특히 약리학적으로 달성 가능한 용량에서 광물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뼈 재흡수를 억제한다.골격회복을 억제하는 것은 용량 의존적이며, 최초의 비스포스포네이트 약품인 에티드로네이트의 등극 효과보다 약 1,000배 더 강하다.치료를 받으면 정상적인 골조직이 발달하고, 알렌드론산염은 약리학적으로 비활성화된 형태로 골격 매트릭스에 침전된다.최적의 작용을 위해서는 정상적인 뼈 발달을 촉진하기 위해 체내에 충분한 칼슘과 비타민 D가 필요하다.그러므로 저칼로리혈증은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고쳐져야 한다.

에티드로나이트는 광물화를 억제하는 데 있어 피로인산염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지만, 알렌드로나이트, 레이드로나이트, 이반드로나이트, zoledronate 등 N 함유 비스포네이트가 모두 그렇지 않다.

약동학

모든 강력한 비스포스포네이트와 마찬가지로 경구 투여 후 순환계에 온전하게 도달하는 약물의 분율(시스템 생체이용률)이 낮아 단식 조건의 여성과 남성에서는 평균 0.6-0.7%에 불과하다.물 이외의 식사와 음료를 함께 섭취하면 생체이용률이 더욱 낮아진다.흡수된 약물은 노출된 뼈 표면에 약 50%의 결합으로 빠르게 분할되며, 나머지는 신장에 의해 변경되지 않고 배설된다.대부분의 약과 달리 두 인산염 모이에 강한 음전하가 경구 생체이용성을 제한하고, 나아가 뼈 이외의 조직에 대한 노출도 매우 낮다.알렌드론산염은 뼈에 흡수된 후 10년 정도로 추정되는 말단 제거 반감기를 갖게 된다.[17]

참조

  1. ^ "Alendronate Use During Pregnancy". Drugs.com. 22 August 2019. Retrieved 17 May 2020.
  2. ^ a b c d e f g h i j k "Fosamax Monograph for Professionals". Drugs.com.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Retrieved 2 February 2019.
  3. ^ British national formulary : BNF 76 (76 ed.). Pharmaceutical Press. 2018. pp. 710–711. ISBN 9780857113382.
  4. ^ Fischer, Jnos; Ganellin, C. Robin (2006). Analogue-based Drug Discovery. John Wiley & Sons. p. 523. ISBN 9783527607495.
  5. ^ "The Top 300 of 2019". ClinCalc. Retrieved 16 October 2021.
  6. ^ "Alendronate - Drug Usage Statistics". ClinCalc. Retrieved 16 October 2021.
  7. ^ Sun K, Liu JM, Sun HX, Lu N, Ning G (October 2012). "Bisphosphonate treatment and risk of esophageal cancer: a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Osteoporosis International. 24 (1): 279–86. doi:10.1007/s00198-012-2158-8. PMID 23052941. S2CID 12625687.
  8. ^ Haber SL, McNatty D (March 2012). "An evaluation of the use of oral bisphosphonates and risk of esophageal cancer". Ann Pharmacother. 46 (3): 419–23. doi:10.1345/aph.1Q482. PMID 22333262. S2CID 38417272.
  9. ^ FDA 환자 안전 뉴스, 2008년 3월
  10. ^ Fosamax 제품 설명, Merck & Co
  11. ^ Pazianas, M.; Miller P; Blumentals WA; Bernal M; Kothawala P (August 29, 2007).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osteonecrosis of the jaw in patients with osteoporosis treated with oral bisphosphonates: prevalence, risk factor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Clinical Therapy. 29 (8): 1548–58. doi:10.1016/j.clinthera.2007.08.008. PMID 17919538.
  12. ^ Carini, F.; Barbano L; Saggese V; Monai D; Porcaro G. (2012-04-03). "Multiple systemic diseases complicated by bisphosphonate osteonecrosis: a case report". Ann Stomatol (Roma). 3 (2 Suppl): 32–6. PMC 3512552. PMID 23285320.
  13. ^ Lenart BA, Lorich DG, Lane JM (March 2008). "Atypical fractures of the femoral diaphysis in postmenopausal women taking alendronate". N. Engl. J. Med. 358 (12): 1304–6. doi:10.1056/NEJMc0707493. PMID 18354114. S2CID 26968573.
    • 요약 레이아웃:
  14. ^ Weinstein RS, Roberson PK, Manolagas SC (January 2009). "Giant osteoclast formation and long-term oral bisphosphonate therapy". N. Engl. J. Med. 360 (1): 53–62. doi:10.1056/NEJMoa0802633. PMC 2866022. PMID 19118304.
    • 요약 레이아웃:
  15. ^ Kwek EB, Goh SK, Koh JS, Png MA, Howe TS (February 2008). "An emerging pattern of subtrochanteric stress fractures: a long-term complication of alendronate therapy?". Injury. 39 (2): 224–31. doi:10.1016/j.injury.2007.08.036. PMID 18222447.
  16. ^ D., Tripathi, K. (2013-09-30). Essentials of medical pharmacology (Seventh ed.). New Delhi. ISBN 9789350259375. OCLC 868299888.
  17. ^ Shinkai I, Ohta Y (January 1996). "New drugs--reports of new drugs recently approved by the FDA. Alendronate". Bioorg. Med. Chem. 4 (1): 3–4. doi:10.1016/0968-0896(96)00042-9. PMID 868923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