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드르 코토프

Alexander Kotov
알렉산드르 코토프
Zevende IBM Schaaktoernooi geopend. De officiele loting A. Kotov USSR, Bestanddeelnr 920-5097.jpg
1967년 코토프
풀네임알렉산드로비치 코토프
나라소비에트 연방
태어난(1913-08-12)1913년 8월 12일
툴라, 러시아 제국
죽은1981년 1월 8일 (1981-01-08) (67세)
모스크바, 소비에트 연방
제목그랜드마스터
피크 등급2510년(1971년 7월)

알렉산드로비치 코토프(Alexanderovich Kotov, βенррррррррррррр;;;;;;;;;;;;;;; O.S. 30년 7월 12일 ~ 1981년 1월 8일)는 소련의 체스 대장이자 작가였다. 그는 소련의 체스 챔피언이었고, 두 번이나 세계 타이틀을 거머쥔 후보였으며, 체스를 주제로 한 다작의 작가였다. 코토프는 소비에트 체스 연맹에서 고위직을 역임했으며, 냉전 기간 동안 대부분의 책을 썼다. 코토프 작품의 중요성과 폭은 그를 이 분야에서 역대 최고로 손꼽는다.

초년기

코토프는 러시아 제국의 일부였던 툴라에서 대규모 노동자 계급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는 1939년 공학을 공부하기 위해 모스크바로 이주했고, 이 기간 동안 체스를 많이 공부했다.

체스 경력

오늘날 작가로서 가장 잘 기억되는 반면, 코토프 역시 선수로서 여러 가지 좋은 결과를 얻었다. 그의 가장 좋은 초기 결과 중 하나는 1939년 USSR 챔피언십에서 준우승한 것인데, 그는 마지막 라운드에서 미하일 보트비니크에게 막 패했다. 이 결과 그는 보트비니크, 그리고리 레벤피쉬에 이어 세 번째로 소련의 그랜드마스터 타이틀을 거머쥐게 됐다. 코토프는 1941년에 모스크바 챔피언이었다. 1948년 데이비드 브론스타인(David Bronstein)과 공동으로 소련 타이틀을 따냈고, 1950년 베니스에서 바실리 스미슬로프(Vasily Smyslov)에 앞서 우승했다.

부다페스트에서 세계 챔피언(당시, 보트비니크)에 도전할 사람을 가리는 1950년 최초의 후보 토너먼트가 열렸다. 코토프는 8.5/18을 득점했다. 그는 스톡홀름에서 열린 1948년 인터조날 토너먼트에서 11.5/19로 4위를 차지하며 이 대회에 출전할 자격을 얻었다. 1951년 세계 체스 연맹으로부터 국제 그랜드마스터라는 칭호를 받았으며, 당시 소비에트 체스 연맹의 직책을 맡고 있었다.

아마도 코토프의 최고 성적은 1952년 솔츠예바덴 인터조날로, 16.5/20으로 승리하여 티그란 페트로시안, 마크 타이마노프보다 3점 앞서 2위, 그리고 한 게임도 지지 않고 얻은 것이었다. 주리히에서 열린 다음 후보 토너먼트에서는 14/28을 기록했고, 이 대회 우승자인 스미슬로프를 상대로 한 경기에서 승리한 유일한 사람이었다.

코토프는 1952년과 1954년 체스 올림피아드에서 USSR에서 뛰며 팀의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그는 두 번 모두 두 번째 예비역 위원회였다; 헬싱키 1952년에는 2/3을 득점했고, 암스테르담에서는 1954년에 4/6을 득점했다. 1960년 이후 그가 출전한 모든 대회는 구소련 밖에서 열렸다. 이들은 스베토자르 글리가리치와 함께 스미슬로프보다 반점 앞선 1962년 헤이스팅스에서 공동 1위를 차지했다. 코토프는 말년에 아주 적은 수의 대회에 출전했다.

코토프는 저서에서 소련 체제를 자주 찬양했다. 예를 들어 1958년 저서 《소련 체스 대학》(미하일 유도비치와 공동 집필)에서는 "소련 학교가 세계 체스의 정상에 오른 것은 사회주의 문화 발전의 논리적 결과"라고 명시했다. 당시 이와 같은 진술은 너무나 논란이 되어 서구 출판사들은 영어권 시장을 위한 그의 책의 번역에 거부권을 포함시킬 것을 강요 받았다. 도버 출판사1961년판 소련 체스 학교는 주로 서양 국가들에 배포되었고, 부분적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읽은 서론을 포함했다.

이러한 유형의 문학은 게임에 대한 우리의 궁극적인 이해에 도움이 되기는 하지만, 왜곡으로 뒤범벅이 되는 경우가 많다. 이 도버판의 출판사들은 독자들이, 심지어 체스의 역사에서도, 소련이 채택한 선전 기법을 알고 있는 것을 매우 우려하고 있다.

코토프는 1978년 저서 《블라소프 장군에게 가는 의 길》에서 페디르 보하티르추크에 의해 KGB 요원이라고까지 묘사되었다.

코토프의 정치적 영역으로의 진출에도 불구하고, 그의 책들은 통찰력이 있고 유익했으며, 마음에 맞는 문체로 쓰여졌다. 그는 종종 유명한 대장이 관련된 사건들의 직접 이야기를 인용하며 자신의 주장을 내세웠는데, 그들 중 대부분은 그가 개인적으로 알고 있었다. 게다가 좀 더 생생하게 지적할 수 있다면 자기비하하는 것도 서슴지 않았다. 그랜드마스터처럼 생각하는 것은 그의 상대편이 그에게 유리하게 된 몇 가지 상황을 보여준다; 한 경우, 그의 치명적인 실책이 어떤 승리를 순간적인 패배로 바꾸어 놓았다. 이렇게 재미있고 계몽적인 개인적인 이야기는 그의 책이 매우 다양한 국적을 가진 체스 선수들 사이에서 인기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코토프는 세계 챔피언 알렉산더 알레킨의 열렬한 팬이었고, 샤흐마트노예 나슬레디 A.A.라는 제목의 그의 생애와 경력에 관한 포괄적인 전기 시리즈를 저술했다. 1953년과 1958년 사이에 출판되어 체코어, 독일어, 세르비아어, 스페인어로 번역된 알레키나.[1] 이 작품은 알레킨이 소련에서 재활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의 3부작인 Think Like a Grandmaster, Play Like a Grandmaster, Train Like a Grandmaster는 그의 가장 잘 알려져 있는데, 이 책은 Bernard Cafferty에 의해 러시아어로 번역되어 1971년에 Batsford에 의해 출판되어 특히 유명하다. 이 책은 어디에 조각을 붙여야 하는지, 혹은 전술적 모티브를 두어야 하는지 조언하는 것이 아니라, 경기 중에 활용해야 할 사고방식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다. 후보 움직임을 파악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검토해 '분석 나무'를 쌓자는 코토프의 조언은 오늘날에도 잘 알려져 있다.

코토프는 1974년 시작된 유고슬라비아 시리즈 체스 오프닝 백과사전(ECO)과 관련 게임 시리즈 체스 정보원에 애널리스트로 기고했다.

플레이 스타일

코토프는 날카로운 스타일을 발전시켰고, 체스판의 합병증을 두려워하지 않았으며, 아무리 위대한 상대라도 기꺼이 그것들에 뛰어들었다. 그는 화이트와의 비공개 개회사를 선호했고, 시칠리아 디펜스에서는 블랙으로 매우 성공적이었다.[2]

"코토프 증후군"

코토프의 1971년 저서 '그랜드마스터처럼 생각하라'에서 그는 선수가 복잡한 포지션에서 오랜 시간 동안 매우 열심히 생각하면서도 뚜렷한 길을 찾지 못하다가 제시간에 달려서 재빨리 서투른 움직임을 보이며 종종 실수를 범하는 상황을 묘사했다.[3]

주목할 만한 체스 게임

1953년 Averbakh vs Kotov.
hgfedcba
1
Chessboard480.svg
f1 white rook
h2 white king
g2 white rook
f2 white bishop
e2 white knight
d2 white queen
b2 white pawn
a2 white pawn
h3 white pawn
f3 white pawn
f4 black pawn
e4 white pawn
c4 white pawn
e5 black pawn
d5 white pawn
c5 black pawn
a5 black pawn
f6 black rook
d6 black pawn
h7 black pawn
e7 black bishop
d7 black queen
b7 black pawn
h8 black king
g8 black knight
b8 black rook
1
22
33
44
55
66
77
88
hgfedcba
30분 뒤에 위치. Ne2
코토프는 30...Qxh3+는 여왕 제물로써.

참고 문헌 목록

  • 알렉산더 코토프(Alexander Kotov)의 알렉산더 알레킨(Alexander Alekhine), 4권, 1953–1958년 모스크바.
  • 1962년 런던 도버, 1962년 폴 케레스와 알렉산더 코토프가 쓴 미들게임의 예술 ISBN0-486-26154-9
  • 그랜드마스터처럼 생각하라 알렉산더 코토프(Bernard Cafferty에 의해 러시아어로 번역됨), 런던, Batsford 1971 (Algebraic Edition 2003) ISBN 0-7134-7885-3
  • 그랜드마스터처럼 연주하기, 알렉산더 코토프(버나드 카퍼티 러시아어 번역), 런던, 배트포드 1973, {알제브라치판 2003} ISBN 0-7134-1807-9
  • 월드 챔피언십 인터조널스: 레닌그라드—페트로폴리스 1973, R.G. 웨이드, L.S. 블랙스톡, 뉴욕, 알렉산더 코토프, RHM 체스 출판 1974, ISBN 0-213-42851-2
  • Train Like a Grandmaster, 알렉산더 코토프(Bernard Cafferty에 의해 러시아에서 번역됨), 1981년 런던, ISBN 0-7134-3609-3
  • 체스 전술(Alexander Kotov, 러시아어 번역, John Littlewood 편집), 런던(Batsford 1983), ISBN 0-7134-2562-8
  • 알렉산더 코토프(영어 첫판), 마콘, 아메리칸 체스 프로모션 1990, ISBN 0-939298-86-4
  • 알렉산더 코토프와 미하일 유도비치가 쓴 소련 체스전문학교, 로스앤젤레스, 2001년 태평양 대학 출판부, ISBN 0-89875-415-1

참조

  1. ^ "Books about Capablanca and Alekhine (Edward Winter)". www.chesshistory.com. Retrieved 21 December 2017.
  2. ^ 체스베이스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체스베이스게임즈는 시칠리아 디펜스(B20-B99)를 활용한 코토프가 블랙피스로 치른 82경기 중 34승(41.46%), 21패(25.61%), 27무(32.93%)로 총 82경기(05~2015년 1월 기준). 총 61경기(74.39%)를 이기거나 그렸다.
  3. ^ Hooper, David; Whyld, Kenneth (1992). The Oxford Companion to Chess (second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 210. ISBN 0-19-280049-3.

원천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