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드리아 항

Alexandria Port
알렉산드리아 항
Alexandria Port Logo.jpg
위치
나라이집트
위치알렉산드리아
좌표31°12′16″N 29°52′48″E / 31.2045796°N 29.8800659°E / 31.2045796; 29.8800659
언/로코드에갈리[1]
세부 사항
운영자알렉산드리아 항만청
항구의 종류해안방파제
항만 크기16제곱 킬로미터(6.2제곱 mi)
토지 면적22.8 평방 킬로미터(8.8 평방 미)
이용 가능한 침대67
통계
연간화물톤수17,627,762 (2012)
연간 용기량1,442,712 (2012)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 Edit this at Wikidata

알렉산드리아 항지중해이집트 알렉산드리아마리우트 호수 사이 나일 삼각주 웨스트버지에 있으며, 이집트에서 두 번째로 중요한 도시이자 주요 항구로 꼽힌다. 알렉산드리아 항구는 T자 모양의 반도로 분리된 두 개의 항만(동서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동쪽 항구는 얕고 큰 선박으로는 항해를 할 수 없다. 서부 항구는 상업적 운송에 사용된다. 그 항구는 두 개의 방파제가 합쳐져서 형성된다.

역사

고대

알렉산드리아 항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항구 중 하나이다. 최초의 항만 시설은 기원전 1900년 당시 라코티스 마을에 건설되어, 파로스 섬(현재의 "Ras al-Tin" 쿼터의 일부)에 연안 선적과 공급을 제공하였다.

기원전 30년 알렉산드리아의 계획

수세기 동안 모래와 실트 퇴적물은 그 항구를 비굴하게 만들었다. 그것은 알렉산드리아 시가 그의 선단을 위한 해양 기지가 되기 위한 건설의 일환으로 기원전 331년 알렉산드르 대왕의 지휘를 받은 군대에 의한 것이었다. 알렉산드리아의 엔지니어 디노크라트는 알렉산드리아 항과 파로스 섬을 길이 1200m, 폭 200m의 다리로 연결시켜 상업적, 군사적으로 운송할 수 있는 두 개의 항만 분지를 만들었다. 북동쪽 분지(Portus Magnus, 현재 동부 항구)는 군사용 선박을 위해 설계되었고 남서쪽 분지(Portus Unostus, 현재 알렉산드리아의 주요 항구)는 상업용이었다. 프톨레마이오스 시대에 파로스에게 두 번째 다리가 건설되어 동부 항구를 두 개의 분리된 입구로 더 나누었다.

스트라보에 따르면 알렉산드리아는 마레오티스 호수에 내륙 항구와 지중해 항구를 가지고 있었다. 호수는 그것을 바다로 연결하는 입이 없었지만 대신 운하로 나일강과 연결되어 있었다. 스트라보는 그 호수 항구가 바다의 항만보다 더 바쁘다고 묘사한다.[2] 로마 이집트 시대에는 이 도시의 서부 항구에서 곡물이 대량으로 수출되어 '포르투스 마그누스'라는 이름을 얻었다. 이 곡물은 바지선에 의해 나일강을 내려와서 마레오티스호 해안 근처의 큰 곡창고에 보관한 뒤 선적했다. 로마 제국의 전성기에 알렉산드리아는 매년 8만 3천 톤의 곡물을 로마로 운송하고 있었다. 후기 제국이 되자 시는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연간 22만 톤의 곡물을 수송하고 있었다.[3]

근대

1932년 알렉산드리아 항구

이집트의 무함마드 알리는 그가 권력으로 승승장구하자 나일강에서 민물 운하를 복원하고 부분적으로 역추적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1820년에 완공되자 마흐무디야 운하로 명명되었다. 무하마드 알리의 통치하에 알렉산드리아 조선소가 설립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갈리폴리 캠페인참가한 영국 지중해 원정군은 기성 알렉산드리아 항구를 케이프 헬레스 상륙을 위한 병력과 물자를 주요 기지로 삼았다.[4]

20세기 후반까지 알렉산드리아 항을 통한 해상 무역은 그 능력을 초과하고 있었다. 1980년대에 엘데킬라에는 컨테이너 운송을 위한 시설과 인근 철강 공장을 위한 인프라가 있는 새로운 항구가 건설되었다. 데킬라 항과 알렉산드리아 서항 외에 아부키르와 시디 크레르의 항구들과 더 이상 화물 운송에 사용되지 않는 알렉산드리아의 옛 동부 항구가 도시의 항구들이다.[5]

알렉산드리아 조선소는 원래 1960년대에 소련 정부의 지원을 받아 개발되었으며, 2004년에 조선소 소유권이 국방부로 이관되었다.

이집트는 지중해 연안과 홍해 연안을 따라 총 15개의 상업항이 있다. 알렉산드리아 항만청이 관할하는 알렉산드리아 항만(Alexandria Port)은 이 나라에서 가장 큰 항구로 이집트 국제 무역의 약 55%를 담당하고 있다.[6] 알렉산드리아의 다양한 항구는 이집트 대외무역의 3/4 이상을 취급하고 있으며, 이집트 수출입의 거의 80%가 도시를 통과하고 있다.[7]

지리

서부 항구는 다음과 같은 여러 구역으로 나뉜다.

  1. 일반 화물 취급에 사용된다.
  2. 로로여객터미널을 포함한 통합화물, 박제된 벌크화물, 바지선 방류 등 4가지 활동을 다룬다.
  3. 일반 화물 및 바지선 방류를 처리할 때 사용한다.
  4. 컨테이너, 시멘트, 석탄, 바지선 방류, 비료 및 일반 화물을 취급하는 데 사용된다.
  5. 취급에 사용된다: 당밀, 목재, 일부 종류의 일반 화물, 바지선 방류, 곡물밀가루.
  6. (오일 도크): 항구의 서쪽 경계에 위치하며 식용유, 석유제품을 취급하고 벙커를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가축 취급에 사용되는 정박지도 포함한다. 항만에는 유류저장시설이 없지만 2㎞ 길이의 송유관을 통해 정유공장과 연결돼 있다.

참고 항목

참조

  1. ^ "UNLOCODE (EG) - EGYPT". service.unece.org. Retrieved 28 April 2020.
  2. ^ Cooper, John (2014). The Medieval Nile: Route, Navigation, and Landscape in Islamic Egypt. Th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p. 69. ISBN 9789774166143.
  3. ^ Haas, Christopher (2006). Alexandria in Late Antiquity: Topography and Social Conflict.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pp. 42–43. ISBN 9780801885419.
  4. ^ Crawley, Rhys (2014). Climax at Gallipoli: The Failure of the August Offensive. Campaigns and Commanders Series. Volume 42.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p. 128. ISBN 9780806145280. volume= 추가 텍스트(도움말)
  5. ^ Ibrahim, Fouad N.; Ibrahim, Barbara (2003). Egypt: An Economic Geography. International library of human geography. Volume 1. I.B.Tauris. p. 231. ISBN 9781860645471. volume= 추가 텍스트(도움말)
  6. ^ Jeffreys, Andrew, ed. (2011). The Report: Egypt 2011. Oxford Business Group. p. 103. ISBN 9781907065408.
  7. ^ Christopher, Paul J. (2006). Greatest Cities in the World You Should Visit. 50 Plus One Series. Encouragement Press. p. 10. ISBN 978193376601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