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프레드 뒤보셀
Alfred Duvaucel알프레드 뒤보셀 (1793년, 에브뢰, 유레 – 1824년, 인도 마드라스)은 프랑스의 박물학자이자 탐험가였다.그는 Georges Cuvier의 의붓아들이었다.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여행

1817년 12월, 뒤보셀은 프랑스를 떠나 영국 인도로 향했고 1818년 5월 캘커타에 도착했고 그곳에서 피에르 메다르 디아르를 만났다.이들은 함께 당시 프랑스 동인도 회사의 교역소였던 샹데르나고르로 이동해 파리 자연사 박물관을 위해 동식물을 수집하기 시작했다.그들은 그들이 묘사하고 그리고 분류한 살아있는 표본과 죽은 표본을 매일 그들에게 공급하는 사냥꾼들을 고용했다.그들은 또한 지역 왕들로부터 물건을 받고 직접 사냥을 나갔다.그들의 저택의 정원에서, 그들은 지역 식물들을 재배했고 물새들을 분지에 기르기도 했다.1818년 6월, 그들은 갠지스 강 돌고래의 해골, "티베탄 황소"의 머리, 알려지지 않은 다양한 종류의 새들, 광물 샘플, 그리고 그들이 헤이스팅스의 메나게리에서 연구했던 수마트라에서 온 태피르의 그림을 포함한 그들의 첫 번째 위탁품을 파리로 보냈다.이후 위탁품에는 살아있는 캐시미어 염소, 꿩, 그리고 다양한 [1][2]새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1818년 12월, 토마스 스탬포드 래플스는 그들을 그의 여행에 동행하도록 초대했고 그가 공식적으로 가야 할 장소에서 그들의 수집품을 추구했다.그는 그의 Bencoulen 저택에 메너리지 설립을 제안했다.12월 말, 그들은 수집한 동물들을 동등하게 공유한다는 조건으로 그와 함께 떠났다.풀로피낭에서는 두 종의 새로운 물고기와 몇 마리의 새를 채집했다.아켐에서는 식물, 곤충, 새, 뱀, 물고기, 사슴 두 마리만 채집했다.말라카에서 그들은 곰, 아르고스 그리고 다른 새들을 샀다.싱가포르에서 그들은 라플스가 왕립협회에 보낸 그림과 설명서를 준비한 듀공을 입수했다.이것들은 1820년 에버라드 홈에 의해 출판되었고 에티엔 조프로이 생힐레르와 프레데릭 쿠비에에 의해 자연에 의해 출판될 계획이었다.1819년 8월 벤쿨렌에 도착한 후, 래플스는 소장품 대부분을 징발하고 그림, 설명, 메모의 사본을 남겼다.두바우셀과 디아드는 휴가를 내고 캘커타에 그들의 몫을 보내고 [1]헤어졌다.

뒤바우셀은 파당으로 출발해 말레이 타피르, 수마트라 코뿔소, 몇몇 원숭이, 파충류, 사슴, 축 등의 표본을 수집했다.그는 여러 박제 동물, 뼈대, 가죽,[1] 그리고 살아있는 원숭이들을 가지고 캘커타로 돌아왔다.
그는 찬데르나고르로 돌아와 그곳에서 몇 차례 여행을 했다.1821년 7월, 그는 Houghly 강에 승선하여 Houghly와 Guptipara의 도시를 방문하고, 갠지스 강을 건너 Dacca로 이동했다.그곳에서 그는 실렛으로 가서 카시 왕의 허락을 받고 실렛 북쪽의 코시와 겐티아의 산을 탐험했다.그는 12월에 풍부한 동물학 수집품을 가지고 캘커타로 돌아왔지만, 그때부터 정글 열기에 시달렸다.그는 1822년 [3][4]9월에 티벳으로 출발할 작정이었다.그러나 정치적 상황 때문에 그는 벵골의 베네레스와 "네폴"의 카트만두 영토로 여행을 제한해야 했다.그러나 그가 [5]네팔을 여행했다는 기록은 없고, 1836년 두바우셀의 수집가 중 두 명이 [6]카트만두에서 브라이언 호튼슨과 1년 동안 살았다는 것을 벵골 아시아 협회 저널의 편집자는 지적했다.
뒤바우셀은 1824년 8월 마드라스에서 사망했지만, 그의 부고는 [7]1825년 4월까지 출판되지 않았다.10년 후, 프랑스에서 그가 몇 [8]분 안에 호랑이에게 상처를 입혔다는 소문이 떠돌았다.
출판물
1820년 2월, 아시아틱 협회(인도 캘커타)는 Duvaucel과 Diard가 공동으로 쓴 "Sur unnouvelle espéce de Sorex - Sorex Glis"라는 제목의 기사를 발표했는데, 여기에는 일반적인 [9]나무그루의 그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822년 봄, 아시아틱 협회는 그가 벵골, 수마트라, [10]실렛 북쪽 산에서 관찰한 사슴 종의 그림을 포함한 그의 기사 "벵골의 검은 사슴에 대하여"를 발표했다.
레거시
파리 자연사 박물관에는 그레이터 순다 제도에 1년 이상 머무는 동안 뒤보셀과 디아드가 공동으로 수집한 2000여 마리의 동물이 전시됐다.이들의 위탁물에는 88종의 포유동물, 630종의 조류, 59종의 파충류, 말레이타피르, 수마트라코뿔소, 자바코뿔소, 긴팔원숭이, 잎원숭이,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과일박쥐, 나무쥐, 스컹크, 빈투롱, 태양 등의 박제, 가죽, 골격, 그림과 설명이 들어 있었다.곰.[11] 이 종들 중 몇 개는 박물관에서 일하는 프랑스 동물학자들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안셀메 가에탄 데스마레스트는 1819년 말레이 태피르, 1820년 아시아 야자 사향고양이의 아종인 순다 악취 오소리와 패러독수루스 헤르마프로디투스 본다르, 1822년 순다 판골린, 말레이 족제비, 셈노피테쿠스속 등을 기술했다.
1821년, 래플스는 태양곰, 빈투롱, 게를 먹는 마카크, 수마트라수리, 시아망긴팔원숭이, 은빛루퉁, 큰 대나무쥐, 큰 나무다람쥐,[12] 그리고 크림색 거대 다람쥐에 대한 첫 기술을 포함하여 수마트라에서 두바우셀과 디아드가 공동으로 수집한 종에 대한 설명을 발표했다.
뒤바우셀이 파리 자연사 박물관에 보낸 많은 그림, 뼈, 가죽 그리고 다른 동물 부분들은 그의 의붓아버지의 동생 프레데릭 쿠비에르가 1825년에 [13][14]아일루르스 팽귄이라고 묘사한 인도 북쪽 산에서 온 종의 머리, 피부, 발들을 포함합니다.
Alfred Duvaucel은 여러 종의 학명으로 기념됩니다.
- 바라세하 세르부스 뒤바우셀리 - [15]1823년 그의 의붓아버지 조르주 쿠비에에 의해 묘사되었다.
- 코엔라드 제이콥 템민크가 1824년에 기술한 주홍빛 주름 트로곤 하팍테스 뒤바우셀리.
- 1826년 Rene Primevere Lesson에 의해 기술된 바넬루스 뒤보셀리 강(lapwing Vanellus duvaucelii)
- 1827년 찰스 해밀턴 스미스에 의해 기술된 히말라야 고랄 내모헤더스 뒤바우셀리는 1825년 토마스 하드위케에 [16]의해 기술된 내모헤더스 고랄과 동의어이다.
- 1828년 Isidore Geoffroy Saint-Hilaire에 의해 기술된 작은코과일박쥐의 아종인 Pachysoma duvaucelii.
- 나방 [17]Psichotoe duvauceli - 1829년 Jean Besticte Boisduval에 의해 기술되었다.
- — 먼저 Bucco로 르네 Primevère과. 1831년에 수마트라에 사는 것으로 duvauceli 설명한 Duvaucel의 오색조 Megalaima australis duvaucelii,[18];[19]latter 프레드에 의해 Megalaima duvaucelii으로 변경되었다 Xantholæma의 아종 duvaucelii 토마스 호스 필드와 프레드릭 무어가 1856년 말레이 반도와 수마트라 섬 남부에 거주하는으로 설명되어 맡겼다.에릭의 울음1859년에 다시[20] 태어나 1891년에 조지 [21]어니스트 셸리에 의해 메소부코 뒤바우셀리에 종속되었다.이 새는 현재 푸른귀갈매기의 [22]유효한 아종이다.
- 듀바우셀의 뻐꾸기 부부투스 듀바우셀리 - 1831년 레슨에 의해 [23]수마트라에 사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며, 1891년 셸리에 의해 라플스말코하의 [24]일종으로서 라이노르타속에 종속되었다.
- 인도 오징어 Loligo duvauceli - 1835년 Alcide d'Orbigny가 기술한 인도 오징어 Loligo duvauceli는 Urothis duvauceli의 [25]동의어이다.
- 듀바우셀의 도마뱀붙이 Hoplodactylus duvauceli - 앙드레 마리 콘스탄트 뒤메릴과 가브리엘 비브론이 [26]1836년에 기술했다.
- 1842년 Amédée Louis Michel Lefeletier에 의해 기술된 인도 벌의 종인 Macrocera duvaucelii는 [27]Tetralonia duvaucellii와 동의어이다.
- 민물고기 Rohita duvaucelii - 1842년 Achille Valenciennes에 의해 기술된 민물고기는 [28]인도 고유의 Osteobrama vigorsii의 하위 동의어이다.
- 1842년 발렌시엔에 의해 기술된 올리브 바부스 뒤바우셀라이는 펀티우스 사라나의 [29]하위 동의어이다.
- Pool barb Leuciscus duvaucelii - 1844년 Valencienes에 의해 기술된 Puntius sopore의 [30]하위 동의어.
- 마드라스 부근에서 발견된 나세 콘드로스토마 뒤보셀리 - [31]1844년 발렌시엔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
- 1852년 브라이언 호튼 호지슨이 기술한 Felis Duvaucelli는 [32]1856년 토마스 호스필드에 의해 Felis charltoni로 개명되었고,[33] 1932년 Reginald Innes Pocock에 의해 Pardofelis marmorata의 아종으로 분류되었다.
- 1918년 에드워드 찰스 스튜어트 베이커에 의해 말레이 반도, 태국,[34] 미얀마에 서식하는 것으로 명명된 시아놉스 뒤바우셀리 로빈슨이는 푸른귀 바베트의 다른 이름이다.
레퍼런스
- ^ a b c Cuvier, G. (1821). "Notice sur les voyages de MM Diard et Duvaucel, naturalistes français, dans les Indes orientales et dans les îles de la Sonde". Revue encyclopédique. X (Juin 1821): 472–482.
- ^ Anonymous (1824). "Notice sur le voyage de M. A. Duvaucel, dans l'Inde". Journal Asiatique. Société Asiatique. IV (Mars 1824): 137–145.
- ^ Cuvier, F. (1824). "Notices sur les voyages de M. Duvaucel". Revue encyclopédique. XXI (Février 1824): 257–267.
- ^ Anonymous (1824). "Notice sur le voyage de M. A. Duvaucel, dans l'Inde". Journal Asiatique. Société Asiatique. IV (Avril 1824): 200–213.
- ^ Weiss, C. (1841). Biographie universelle, ou Dictionnaire historique contenant la nécrologie des hommes célèbres de tous les pays. Volume 2. Paris: Furne. p. 469.
- ^ Anonymous (1836). "Note on the Cervus Duvaucelii of Cuvier, or C. Elaphoides and Bahraiya of Hodgson". Journal of the Asiatic Society of Bengal. 5: 240–242.
- ^ Anonymous (1825). "Nécrologie: Duvaucel". Revue encyclopédique. XXVI (Avril 1825): 274.
- ^ Eyriès, J. B.; Malte-Brun, C. (1835). Nouvelles annales des voyages, de la géographie et de l'histoire. Volume 66, Troisième série. Gide fils, Arthus Bertrand. Paris. p. 376.
- ^ Diard, PM, Duvaucel, A. (1820) "Sur ununnele espéce de Sorex - Sorex Glis"아시아의 역사와 유물, 예술, 과학, 문학을 탐구하기 위해 벵골에 설립된 아시아인 연구 또는 사회의 거래, 제14권.벵골 군사 고아 프레스, 1822
- ^ Duvaucel, A. (1822년) "벵골의 검은 사슴에 대하여"아시아의 역사와 유물, 예술, 과학, 문학을 탐구하기 위해 벵골에 설립된 아시아인 연구 또는 사회의 거래, 제15권.벵골 군사 고아 프레스, 1825
- ^ Anonymous (1824). "Troisieme Notice sur le voyage de M. A. Duvaucel, dans l'Inde, ayant pour objet plus particulier, l'histoire naturelle". Journal Asiatique. Société Asiatique. IV (Novembre 1824): 277–285.
- ^ Raffles, T. S. (1821). "Descriptive Catalogue of a Zoological Collection made on account of the Honourable East India Company, in the Island of Sumatra and its Vicinity, under the Direction of Sir Thomas Stamford Raffles, Lieutenant-Governor of Fort Marlborough; with additional Notices illustrative of the Natural History of those Countries". The Transactions of the Linnean Society of London. Linnean Society of London. XIII: 239–340.
- ^ 쿠비에, F. (1825년) "에일루우스. 아일루우스펭겐스 판다.(2013년 1월 13일 원본에서 보관) 3페이지, 1플레이트.입력: Geofroy Saint-Hilaire, E.; Cuvier, F. (eds)Mammifér의 자연사, avec des pigurales, coloriées, dessinées d'aprés d'animaux vivans: publié sou l'autorité de l'administration du Muséum d'Naturalle (50).A. 벨린, 파리
- ^ Cuvier, Georges (1829) Le régne animal distributué d'aprés son organization, Tome 1 Chez Déterville, 파리 도서 프리뷰 페이지 138: Le Panda elatant
- ^ 큐비에, G. (1823)사분오열된 서치들.누벨레 디앙, 토메 콰트리에엠Dufour & d'Ocagne, 파리, 암스테르담.
- ^ Wilson, D.E., D.M. (2005) 세계 포유류 종: 분류학적, 지리적 참조, 제1권 706호: Naemorhedus goral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년
- ^ Boisduval, J. P. (1829). "Psichotoe duvaucelii". Essai sur une Monographie des Zygénides, suivi du tableau méthodique, des Lépidoptéres d'Europe. Bruxelles: Méquignon-Marvis, Crochard. p. 129, plate 8.
- ^ 레슨, R.P. (1831) Taileté d'ornithologie, ou, Tableau méthodique des Ordres, sous-ordre, familles, tribus, 장르, sou-generes et races d'oiseauxaux page 164: Barbu de Du cel Bucco d'voccel, 파리, Levaltraultraultraultra.
- ^ Horsfield, T. (1856) 혼 박물관의 조류 카탈로그. 동인도 회사, Vol.II, 647페이지WM H. Allen & Co, 런던
- ^ 무어, F. (1859) 런던동물학회의 테오도르 칸토르 메갈라이마 뒤바우셀리에 의해 수집된 말레이 조류 목록 (제185권).런던 동물학회
- ^ 대영박물관의 새 목록 제19권 85쪽.대영박물관(자연사), 런던
- ^ 통합분류정보시스템 Megalaima australis duvaucelii
- ^ 레슨, R.P. (1831) Taileté d'ornithologie, ou, Tableau méthodique des Ordres, sous-ordre, familles, trivus, 장르, sou-generes et races d'oiseaux page 143 : Boudou de Duvaccel Bou devutus d'cel d'cel D're, Levulf.
- ^ Shelley, G.E. (1891) 대영박물관 라이노르타 제19권 393쪽의 조류 카탈로그.대영박물관(자연사), 런던
- ^ 세계생물다양성정보시설 Urotuthis duvauceli
- ^ Beolens, Bo; Watkins, Michael; Grayson, Michael (2011).파충류 에포니움 사전.볼티모어: 존스 홉킨스 대학 출판부.13 + 296 페이지ISBN 978-1-4214-0135-5.("Duvaucel", 페이지 79).
- ^ 그레이, J. E. (1853) 대영박물관 소장품 청록곤충 목록.제2부 아피데 302쪽: 테트라로니아 두바우셀라이.런던 대영박물관
- ^ FishBase 2010 Rohita duvaucellii Valencienes, 1842
- ^ FishBase 2010 Barbus duvaucellii Valencienes, 1842
- ^ FishBase 2010 Leuciscus duvauceli Valencienes, 1844
- ^ 어류 카탈로그 2011 연골동토마 뒤바우셀라이 2012-10-18 웨이백 머신 캘리포니아 과학아카데미 연구소에 보관
- ^ Horsfield, T. (1856) 네팔, 시킴, 티베트에서 온 맘마리아 수집품 카탈로그, Hon에게 제공. B사의 동인도 회사. H. Hodgson, Esq. 1853년런던동물학회 절차 제X부IV: 396
- ^ 포콕, R. I. (1939년)실론과 버마를 포함한 영국령 인도의 동물군. 젖꼭지아. – 제1권테일러와 프란시스, 런던.
- ^ 스튜어트 베이커, E.C.(1918) 시아놉스 뒤바셀리 로빈슨.영국 조류학회 회보 제XXIX권 제20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