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리스 볼
Alice Ball앨리스 오거스타 볼 | |
---|---|
![]() | |
태어난 | |
죽은 | 1916년 12월 31일( 미국 시애틀, 워싱턴 | 24세)
시민권 | 아메리칸 |
모교 | |
로 알려져 있다 | 나병의 치료 |
과학 경력 | |
필드 | 화학 |
앨리스 오거스타 볼(Alice Augusta Ball, 1892년 7월 24일 ~ 1916년 12월 31일)은 20세기 초 [1]나병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인 "볼 방법"을 개발한 미국의 화학자이다.그녀는 하와이 대학에서 석사 학위를 받은 최초의 여성이자 최초의 흑인이었으며, 또한 하와이 대학의 최초의 여성 및 흑인 화학 [2]교수이기도 했다.
초기 생활과 교육
앨리스 오거스타 볼은 1892년 7월 24일 워싱턴주 시애틀에서 제임스 프레슬리와 로라 루이스 [3]볼 사이에서 태어났다.그녀는 윌리엄과 로버트, 그리고 여동생 [4]애디를 둔 네 명의 자녀 중 한 명이었다.볼의 아버지는 유색 시민 신문 편집자, 사진작가, [5][3]변호사였기 때문에 그녀의 가족은 중산층이었고 부유했다.그녀의 어머니 또한 사진작가로 [2]일했다.그녀의 할아버지 제임스 볼 시니어는 사진작가였고 사진을 금속판에 인쇄하는 과정인 다게레오타이프를 [6][7]사용한 최초의 흑인 미국인 중 한 명이었다.일부 연구원들은 사진을 [2]현상하기 위해 수은 증기와 요오드 감응 은판을 가지고 일했기 때문에 그녀의 부모님들과 할아버지의 사진에 대한 사랑이 화학에 대한 사랑에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다고 제안했다.아프리카계 미국인 공동체의 저명한 멤버이자 옹호자임에도 불구하고, 볼의 부모는 둘 다 그녀의 출생 증명서에 "백인"으로 기재되어 있다.이것은 그들의 딸이 직면하게 될 편견과 인종차별을 줄이고 그녀가 [3]백인 사회에서 "합격"하도록 돕기 위한 시도였을 수도 있다.
Alice Ball과 그녀의 가족은 1903년 따뜻한 날씨가 할아버지의 관절염을 완화시킬 것이라는 희망으로 시애틀에서 호놀룰루로 이사했다.그는 이사한 지 얼마 되지 않아 [8]죽었고 1905년 그들은 하와이에서 1년 만에 시애틀로 다시 이주했다.시애틀로 돌아온 후, 볼은 시애틀 고등학교에 다녔고 과학 분야에서 최고 성적을 올렸다.그녀는 [4]1910년에 시애틀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볼은 워싱턴 [2][9]대학에서 화학을 공부하기 위해 1912년 제약 화학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2년 후인 1914년 [1][4]약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그녀의 약학 강사 윌리엄스 딘과 함께, 그녀는 10페이지에 달하는 "Benzoylations in Ether Solution"이라는 기사를 미국 화학 [10]협회 저널에 실었습니다.존경받는 과학 저널에 기사를 게재한 것은 여성, 특히 이 [6]시기 흑인 여성에게는 드문 업적이었다.
졸업 후, 볼은 많은 장학금을 받았다.그녀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뿐만 아니라 하와이 대학으로부터 [11]화학 석사 학위를 공부하기로 결심한 제안을 받았다.하와이 대학에서, 그녀의 석사 논문은 카바 식물 종의 화학적 성질을 연구하는 것을 포함했습니다.이 연구와 식물의 화학적 구성에 대한 그녀의 이해 때문에, 그녀는 나중에 해리 T에 의해 접근되었다.하와이에 [12]있는 미국 공중 보건국 나병 조사 스테이션에서 보조 의사 권한 대행을 맡았던 홀먼은 차울무그라 기름과 그 화학적 성질을 연구했습니다.Chaulmoogra 오일은 수백 년 동안 나병 치료제 중 최고의 치료제였고, Ball은 훨씬 더 효과적인 주사 가능한 형태를 개발했다.1915년에 그녀는 하와이 [1]대학에서 석사 학위를 받고 졸업한 최초의 여성이자 최초의 흑인 미국인이 되었다.그녀는 또한 하와이 대학의 [13]화학과에서 최초의 "연구 화학자이자 강사"였다.
나병 치료
하와이 대학에서 볼은 석사학위 [14]논문을 위해 Piper methysticum(카바)의 화학적 구조와 활성 원리를 조사했다.이 일 때문에 그녀는 Dr. Harry T로부터 연락을 받았다.한센병 치료에 [11]대한 연구를 위해 조수가 필요했던 하와이 칼리 병원의 홀만 씨.
당시 나병이나 한센병은 회복될 가망이 거의 없는 낙인이 찍힌 병이었다.나병 진단을 받은 사람들은 하와이 몰로카이 섬에서 [8][15]죽을 것이라는 예상과 함께 추방되었다.사용 가능한 최고의 치료제는 인도 아대륙의 히드노카르푸스 와이티아누스 나무의 씨앗에서 추출한 차울무그라 기름이었는데, 이것은 1300년대부터 의학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하지만 치료 효과가 별로 없었고, 모든 적용 방법에 문제가 있었습니다.국소적으로 효과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너무 끈적끈적하고, 주입 시 기름의 끈적끈적한 농도가 흡수되기보다는 피부 밑에 뭉쳐 물집이 형성되었습니다.이 물집들은 완벽한 열을 이루어 "환자의 피부가 버블 [16]랩으로 대체된 것"처럼 보이게 했다.기름을 섭취하는 것 또한 효과적이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것은 보통 환자들이 기름을 [8]토하게 만들 정도로 매운 맛이 났기 때문이다.
23세 때, 볼은 기름을 몸에 주입하고 흡수할 수 있게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그녀의 기술은 에스테르 화합물을 기름으로부터 분리하여 화학적으로 수정하는 것을 포함했고, 기름의 치료 특성을 유지하고 [17]주입되었을 때 몸에 흡수되는 물질을 생산했습니다.볼은 때아닌 [18]사망 전에 그녀의 혁명적인 발견을 발표할 수 없었다.화학자이자 볼의 대학원 연구 고문이자 대학의 학장이자 나중에 총장이었던 Arthur L. Dean은 그녀가 개발한 과정의 세부 사항을 알고 있었다.Ball이 죽은 후, Dean은 더 많은 실험을 했고 1919년까지 대학 화학 실험실에서 주사 가능한 Chaulmoogra [6][3]추출물을 대량으로 생산했습니다.Dean은 Ball을 창작자로 인정하거나 그녀의 작품을 신뢰하지 않고 작품의 세부사항과 조사결과를 발표했다.그녀의 이름은 Chaulmoogra 추출물에 관한 Dean의 어떤 출판물에도 언급되지 않고,[3] "The Dean method"라는 이름이 기술에 추가되었다.2004년 하와이 대학의 한 학자인 폴 웨마거는 1921년 딘과의 신문 인터뷰를 인용하면서 추출물 개발에 있어 전임자들의 작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Wermager에 따르면, 태평양의 파라다이스 보고서는 Hollmann과 다른 동료들에 대해 언급하고 있지만,[3]: 174 Ball은 언급하고 있지 않다.
1920년 하와이의 한 의사는 78명의 환자가 Ball의 변형된 Chaulmoogra [6][14][15]오일을 주사한 후 건강 검진 위원회에 의해 칼리 병원에서 퇴원했다고 미국 의학 협회 저널에 보고했습니다.Ball's Method에서는 Chaulmoogra 오일에서 발견되는 지방산의 에틸에스테르를 [12]순환주입 및 흡수에 적합한 형태로 조제하였다.병의 진행을 완치하거나 무기한 멈출 수는 없었지만, 분리된 에틸에스테르는 1940년대에 [6]술폰아미드 약물이 개발되기 전까지 나병에 대한 유일한 사용 가능한 효과적인 치료제로 남아 있었다.
볼의 동료인 홀만은 추출물의 발달에 대한 잘못된 인상을 바로잡으려고 시도했다.그는 1922년 발에게 공을 돌리는 논문을 발표했는데,[19] 기사 전반에 걸쳐 주입 가능한 기름의 형태를 "볼 방식"이라고 불렀다.Hollmann은 다른 곳에서 개발된 기술에 대해 논의하고 관련된 나병 치료의 진척을 보고한다.딘은 그의 후기 연구가 "고급 스펙"을 만들어 내는 볼의 방법을 개량한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홀만은 "콜무그라 기름 지방산의 에틸 에스테르를 만드는 볼의 방법"이라는 제목의 섹션에서 딘과 볼의 기술을 비교하고 이를 [3]거부한다.그는 Dean의 방법을 설명하고 [20]다음과 같이 기술합니다.
Miss Ball이 고안한 오리지널 테크닉보다 전혀 개선되지 않았습니다.원래의 방법은 세계의 나병 환자 수용소에 있는 의사라면 누구나 약간의 연구를 통해 차울무그라 지방산의 에틸에스테르를 분리하여 환자 치료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vacuo에서의 복잡한 증류에는 매우 섬세하지만 항상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볼은 과학 [21]기록에서 대부분 잊혀진 채로 남아 있었다.1970년대 하와이 대학의 캐스린 타카라 교수와 스탠리 알리 교수는 볼의 연구 기록을 찾아 그녀의 업적을 인정받기 위해 노력했다.
죽음과 인식
볼은 1916년 12월 31일 2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그녀는 연구 중에 병에 걸렸고 죽기 [1]몇 달 전에 치료를 받기 위해 시애틀로 돌아왔다.1917년 Pacific Commercial Advertiser 기사에 따르면 [11]실험실에서 가르치는 동안 노출로 인한 염소 중독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유럽에서 1차 세계대전이 [22]한창일 때 그녀는 공격에 대비해 방독면을 제대로 사용하는 방법을 시연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그러나 사망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왜냐하면 그녀의 원래 사망 진단서가 결핵을 [3]인용하도록 바뀌었기 때문이다.
볼의 업적이 처음으로 인정된 것은 1922년 그녀가 사망한 지 6년 후, 그녀의 방법이 "볼 방법"[23]이라고 불리는 의학 [19]저널에 잠깐 언급되었을 때였다.캐스린 타카라, 스탠리 알리 등 하와이 대학의 많은 역사학자들의 연구 후에, 하와이 대학은 마침내 2000년 바흐만 [11]홀 뒤에 있는 학교의 유일한 차울무그라 나무에 그녀에게 명패를 헌정함으로써 발에게 경의를 표했다.같은 날, 마지 히로노 전 하와이 부지사는 2월 29일을 현재 [2][21]4년마다 기념되는 앨리스 볼 데이로 선포했다.2007년, University Board of Regents는 Ball에게 학교의 최고 [2]영예인 훈장을 수여했다.2016년 3월 하와이 매거진은 볼을 [24]하와이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으로 선정했다.2018년에 시애틀 그린우드 지역에 있는 새로운 공원은 Ball의 [25][26]이름을 따서 지어졌다.2019년 런던 위생 및 열대 의과대학은 과학과 세계 보건 연구에 [27]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마리 퀴리와 함께 본관 꼭대기에 그녀의 이름을 추가했다.2020년 2월, 단편 영화 '볼 메서드'가 팬 아프리카 [28]영화제에서 초연될 것이다.하와이 대학생들은 딘 홀의 이름을 [29]볼의 이름을 딴 제안을 포함하여 딘 전 대통령의 잘못된 행동을 해결하기 위해 더 많은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 물었다.2020년 11월 6일, 그녀의 이름을 딴 인공위성(YuSat 9 또는 "Alice", COSPAR 2020-079A)이 우주로 발사되었다.
2022년 2월 28일 하와이 주지사 데이비드 이지는 마노아 캠퍼스의 하와이 대학에서 열린 특별 표창식에서 하와이에서 2월 28일을 "앨리스 아우구스타 무도회 날"로 선포하는 포고에 서명했다.이날 시상식은 볼을 기리기 위해 심어진 차울무그라 나무 그늘에 있는 바흐만 홀 옆에서 열렸다.그녀의 기억 속에 청동 명판이 전시되어 있다.여명 이지 여사와 데이비드 라스너 [30]UH 대통령 등 100명 이상이 참석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a b c d Jackson, Miles (2007-09-20). "Ball, Alice Augusta". Black Past. Retrieved 15 May 2013.
- ^ a b c d e f Brown, Jeannette (2012). African American Women Chemist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 19–24. ISBN 978-0-19-974288-2.
- ^ a b c d e f g h Wermager, Paul (2004). "Healing the sick". In Jackson, Miles M.; Ikeda, Kiyoshi; et al. (eds.). They Followed the Trade Winds: African Americans in Hawai'i (PDF). Social Process in Hawai'i. Vol. XLIII. Honolulu, Hawaii, USA: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partment of Sociology of the University of Hawai'i at Mānoa. pp. 162–188. ISBN 9780824847326. ISSN 0737-6871. OCLC 423672598. Retrieved 22 June 2021 – via ScholarSpace (Hamilton Library,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 ^ a b c Collins, Sibrina Nichelle (5 December 2016). Zeller Jr., Tom; Roberts, Jane; Borel, Brooke; Blum, Deborah (eds.). "Alice Augusta Ball: Chemical Drug Pioneer". Undark. Knight Science Journalism Program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March 2020. Retrieved 22 June 2021.
- ^ "Newspapers". Montana’s African American Heritage Resources.
- ^ a b c d e Wermager, Paul; Carl, Heltzel (1 February 2007). Heltzel, Carl; Tinnesand, Michael; et al. (eds.). "Alice A. Ball: Young Chemist Gave Hope to Millions" (PDF). ChemMatters Magazine American Chemical Society (ACS). Washington, D.C., United States of America. 25 (1): 17–19. ISSN 0736-4687. OCLC 9135366.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3 July 2014. Retrieved 22 June 2021.
- ^ "What is a daguerreotype?". Daguerreobase. Retrieved December 3, 2017.
- ^ a b c Swaby, Rachel (2015). Headstrong: 52 Women Who Changed Science—and the World. New York: Broadway Books. pp. 11–13. ISBN 9780553446791.
- ^ Guttman, D. Molentia; Ernest Golden (2011). African Americans in Hawaii. Charleston, South Carolina: Arcadia Publishing. p. 15. ISBN 978-0-7385-8116-3. Retrieved 15 May 2013.
- ^ Dehn, William M.; Ball, Alice A. (1914). "Benzoylations in Ether Solution".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36 (10): 2091–2101. doi:10.1021/ja02187a015.
- ^ a b c d Mendheim, Beverly (September 2007). "Lost and Found: Alice Augusta Ball, an Extraordinary Woman of Hawai'i Nei". Northwest Hawaii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March 2016. Retrieved 17 May 2013.
- ^ a b 파라칸돌라, 존"차울무그라 오일과 나병 치료"역사 약국 45.2(2003) : 47-57.
- ^ "Ball, Alice Augusta". Scholar Space. hdl:10125/1837. Retrieved November 20, 2017.
- ^ a b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Ball, Alice Augusta". Scholar Space. hdl:10125/1837. Retrieved 15 May 2013.
- ^ a b "Alice Ball and the Fight against Leprosy". Bluestocking Oxford. 2016-02-29. Retrieved 2018-11-04.
- ^ Inglis-Arkell, Esther (8 May 2015). "We Had A Cure For Leprosy For Centuries, But Couldn't Get It To Work". io9. Retrieved 20 November 2017.
- ^ Ignotofsky, Rachel (2016)."과학의 여성: 세상을 바꾼 50명의 겁 없는 개척자" 10 스피드 프레스: 페이지 45
- ^ Maggs, Sam (2016)."역사를 바꾼 25명의 혁신가, 발명가, 개척자"퀴크북스: 36-39페이지
- ^ a b Hollmann, Harry T. (1922). "The Fatty Acids of Chaulmoogra Oil in the Treatment of Leprosy and Other Diseases". Archives of Dermatology and Syphilology. 5: 94–101. doi:10.1001/archderm.1922.02350260097010 – via Google books.
- ^ Hollmann, Harry T. (January 1922). "The Fatty Acids of Chaulmoogra Oil in the Treatment of Leprosy and Other Diseases: Ball's Method of Making Ethyl Esters of the Fatty Acids of Chaulmoogra Oil". Archives of dermatology and syphilology. Chicago: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5 (1): 95–97. Retrieved 21 March 2022.
- ^ a b Cederlind, Erika (29 February 2008). "A tribute to Alice Bell: A Scientist whose Work with Leprosy was Overshadowed by a White Successor". The Daily of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Note: Headline has: Alice Bell [sic]; rest of article correctly names "Alice Bal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08-06. Retrieved 19 May 2013.
- ^ UWSOP 졸업생 전설 앨리스 볼, 1914년 클래스, 나병 치료 수수께끼 풀기
- ^ "How the Woman Who Found a Leprosy Treatment Was Almost Lost to History". National Geographic News. 2018-02-28. Retrieved 2019-03-16.
- ^ Dekneef, Matthew (March 9, 2016). "14 extraordinary women in Hawaii history everyone should know". Hawai'i Magazine. Honolulu. Retrieved March 9, 2016.
- ^ "Alice Ball Park". Seattle Parks and Recreation. Retrieved February 22, 2019.
- ^ Lambert, Ken (August 18, 2019). "Seattle's new Alice Ball Park named for a pioneering medical researcher". Seattle Times. Seattle. Retrieved August 18, 2019.
- ^ "Women health pioneers honoured on LSHTM's iconic London building for the first time". Retrieved September 9, 2019.
- ^ Epstein, Sonia Shechet (January 28, 2020). "A new film tells the story of Alice Ball, chemist and inventor of a treatment for leprosy". massivesci.com. Retrieved 2020-01-29.
- ^ Kreifels, Susan (March 1, 2000). "Ground breaking African-American UH chemist finally recognized". archives.starbulletin.com. Retrieved 2020-01-31.
- ^ "UH celebrates Alice Augusta Ball Day in Hawai'i, February 28". University of Hawai'i News. 28 February 2022. Retrieved 3 March 2022.
외부 링크
- 에피소드 7: Babes of Science 팟캐스트의 앨리스 볼
- 과학 금요일 방송에서 나병 치료의 불성급 선구자 앨리스 볼을 만나다
- Lawrence Technical University에서 STEM의 3명의 유색인종을 대상으로 한 Women Untald 비디오에 등장 (볼은 12시 14분부터 20시 45분까지 논의)
- 프로젝트 구텐베르크의 앨리스 오거스타 볼의 파이퍼 메티스티쿰의 화학적 성분
- LibriVox의 Alice Ball 작품 (공용 도메인 오디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