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리슨 애덤
Alison Adam앨리슨 애덤 | |
---|---|
시민권 | 영국의 |
과학 경력 | |
필드 | 페미니스트 기술, 컴퓨터 윤리, 중요한 정보 시스템, 온라인 프라이버시, 법의학의 역사 |
기관 | 랭커스터 대학교 살포드 대학교 맨체스터 과학기술 대학(2000-2012) 셰필드 홀람 대학교(2012-현재) |
앨리슨 아담은 영국 과학기술 연구원으로 정보시스템과 법의학의 역사에서 성별에 관한 연구로 특히 유명하다. 그녀는 영국 셰필드 한람 대학교의 과학 기술 사회 에메리타 교수다.
경력
아담은 랭커스터 대학교의 연구원이었으며 맨체스터 과학 기술 대학교의 계산학과에서 강사와 수석 강사를 지냈다.[1] 그녀는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정보 시스템 교수였고,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샐포드 대학교에서 과학기술 및 사회학 교수로 재직했으며, 2004–6년에 정보 시스템 연구소를 이끌고, 그 후, 정보 시스템, 조직 및 사회 연구 센터장을 역임했다.[1] 그녀는 2012년부터 셰필드 할람 대학에서 과학, 기술, 사회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2][3]
연구이익
아담의 연구는 주로 과학기술의 역사와 사회학을 포함한 과학기술 분야 내에 있었다. 그녀의 주된 관심사는 정보 시스템 분야였다. 그녀가 성별과 기술 연구에 기여한 주요 공로는 인공지능(AI)과 관련한 성별 연구, 특히 페미니스트 인식학이 AI의 인식론과 페미니스트 윤리에 대한 연구에 어떻게 도전할 수 있는지, 컴퓨터 윤리와 어떻게 관련되는지 등을 연구한 것이다. 이 분야의 주목할 만한 출판물로는 인공적인 지식: 성별과 생각 기계와[4] 성별, 윤리 및 정보 기술. 젠더, 윤리, 정보 기술이라는 책은 "첫째는 성별과 정보통신 기술, 두 번째로는 컴퓨터 윤리"라는 두 가지 분야를 탐구한다.[5] 2012년 그녀는 살포드, 로얄 할로웨이, 런던 대학교, 크랜필드 대학교의 연구자들과 협력하여 온라인 프라이버시에 관한 3년간의 공학 및 물리 과학 연구 위원회 기금 연구 프로젝트를 완료했다.[2][6] 그녀는 해킹,[7] 사이버스토킹, 포르노물의 성차별을 평가하는 온라인 행동에서 성(性)이 윤리에서 차지하는 부분을 평가해 온라인 경험에서 어떤 성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평가해왔다.[8]
2010년부터 아담은 법의학의 역사와 사회학을 연구해왔다. 그녀의 2015년 저서인 법의학의 역사: 20세기의 영국 시작은 20세기 전반 영국의 규율을 만드는 데 들어간 광범위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영국, 특히 영국에서의 법의학의 역사를 도표로 작성했다.[9] 이러한 영향들은 범죄학적이고, 범죄주의적이며, 과학적이고, 기술적이며 심지어 허구적인 것이었다. 그녀는 범죄 현장 관리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대륙에서 영국령 인도와 이집트를 거쳐 영국 해안에 도착했고, 1930년대의 '과학적 원조' 운동으로 연결되었다고 주장한다. 이 책은 새로운 법의학자들이 법정에서 권위 있는 목소리를 얻고 법의학, 과학적인 치안유지, 그리고 법의학자의 도덕적 목소리와 허구의 과학자의 문화적 권위를 함께 끌어내는 것을 목격하는 독립된 전문가 사이의 공간에서 전문적인 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한 전략을 도표화한다.탐정 그녀는 현재 20세기 스코틀랜드 법의학의 역사를 연구하고 있다.
섬유는 또 하나의 오랜 관심사다. 그녀는 "물리적 유물을 만드는 것만큼 좋은 것은 없다"고 말했다. 온라인에서 만드는 것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문화는 매혹적이다."[2]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수선문화에 대한 학제간 연구에 종사했다.[2]
교육 및 관리
살포드 대학에서 아담은 사이버 범죄, 정보격차, 연구방법론, 법의학 사회학을 가르쳤다.[2] 아담은 커뮤니케이션, 문화 및 미디어 연구, 라이브러리 및 정보 관리(UoA 36)[3]에 관한 REF(Research Excellence Framework) 2014 하위 패널의 부위원장을 역임했으며, 도서관 및 정보 관리(UoA 37)에 관한 연구 평가 연습(RAE) 2008 하위 패널의 일원으로 활동했다.[2]
선택한 게시물
책들
- 법의학의 역사: 20세기 영국의 시작, 루트리지; 2015
- 성별, 윤리 및 정보 기술, Palgrave Macmillan; 2005
- 인위적 지식: 성별과 생각의 기계, Routrege; 1998; 2006
참조
- ^ a b 인텔리전스 Ltd: Alison Adam Archives 2015-12-22, 웨이백 머신에 보관(2015년 12월 13일 액세스)
- ^ a b c d e f Adam, Alison. "Background". Sheffield Hallam Univers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12-22. Retrieved 9 December 2015.
- ^ a b REF2014 패널 D 웨이백머신에 2016-03-04 보관(2015년 12월 13일 액세스)
- ^ Hine C. (1999) 검토: 신기술 참여? JSTOR을 통해 작업, 고용 및 사회 13: 741–743 – (구독 필요)
- ^ Segell, Glen (2007). Gender, Ethics And Information Technology – By Alison Adam. Gender, Work & Organization. pp. 187–189.
- ^ VOME: VOME 팀(2015년 12월 14일 액세스)
- ^ Adam, A. E. (2003). "Hacking into Hacking: Gender and the Hacker Phenomenon". Computers and Society Newsletter. 33 (4): 3. doi:10.1145/968358.968360.
- ^ Adam, Alison (June 2002). "Cyberstalking and Internet pornography: Gender and the gaze". Ethics and Information Technology. 4 (2): 133–142. doi:10.1023/A:1019967504762.
- ^ 셰필드 할람 대학교: 연구자료실: 법의학의 역사: 20세기 영국의 시작 (2015년 12월 13일 접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