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보이즈
All Boys![]() | ||||
풀네임 | 클럽 아틀레티코 올 보이즈 | |||
---|---|---|---|---|
닉네임 | 알보 | |||
설립됨 | 1913년 3월 15일; | 전|||
그라운드 |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플로레스타의 이슬라스 말비나스 스타디움 | |||
역량 | 12,148[1] | |||
회장 | 니콜라스 캄비아소 | |||
코치 | 아니발 비기 | |||
리그 | 프리메라 나시오날 | |||
2021 | 프리메라내시오날 B구역 12번지 | |||
웹사이트 | 클럽 웹사이트 | |||
|
클럽 아틀레티코 올 보이즈(스페인어 발음: [ˈkluβ aˈtletiko ˈol ˈbojs])는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플로레스타에 본사를 둔 아르헨티나의 스포츠 클럽이다. 이 기관은 현재 아르헨티나 축구 리그 시스템의 2부 리그인 프리메라 B 나시오날에서 뛰고 있는 축구 팀에 의해 대부분 알려져 있다.
그 밖에 농구, 체스, 풋살, 핸드볼, 킥복싱, 롤러스케이트, 태권도, 프리스타일 레슬링, 주짓수, 시팔키 등이 이 클럽에서 연습되고 있다.[2]
역사
1913년 3월 15일, 그 클럽은 한 무리의 친구들에 의해 설립되었다.[3] '올 보이즈'라는 이름은 설립자들의 젊음을 반영했고, 뉴웰의 올드 보이즈, 보카 주니어스, 리버 플레이트, 레이싱 클럽 등 축구 클럽을 영어로 명명하는 아르헨티나의 전통을 따랐다.
1914년 올보이스는 아르헨티나 축구협회에 등록하고 '디비시온 인터미디어'(현 2부 리그)에서 뛰기 시작했는데, 그곳에서 코파 컨테첸시아 경기 출전 자격을 얻었다. 1922년 프리메라 디비시온으로 승격해 1923년 3월 11일 템플리전에서 1대 0으로 패하며 톱 디비시온에 데뷔했다. 프리메라리가 첫 공식 골은 포르테뇨를 상대로 1 대 1 무승부를 기록했다. '알보'는 프리메라리가 3차전에서 프로그레시스타를 상대로 3-1로 승리하며 첫 승을 거뒀다.
올보이스는 1926년 협회에서 탈퇴했지만 1년 뒤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복귀하면서 두 협회가 하나로 통합됐다. 1931년 올보이스는 두 번째로 승격되어 아마추어 협회가 프로리그에 합류한 1934년까지 프리메라리가에 남아 모든 팀이 강등되었다.
1945년 이 팀은 처음으로 2부 리그로 내려갔지만 이듬해 올보이스가 저스토 호세 데 우르퀴자를 2-1로 꺾고 테르세라 데 아센소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그 시즌 올보이스는 24경기를 뛰었고 91골을 넣었다.
1950년 아르헨티나 축구에서 많은 팀들을 하부리그로 보내 프리메라 디비시온 경기를 개최하기 위해 열악한 환경에서 경기장을 운영했다고 주장하는 구조조정이 있었다. 강등된 팀들 중 하나는 올 보이즈였다. 이듬해 올보이스는 '알보'를 프리메라리가로 데려온 티로 연방에 승리하며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1972년 올보이스는 호세 팔라디노를 코치로 영입했다. 그의 지휘 아래 11경기 연속 우승(하위 부문 최다승 기록 보유)하며 29/30점을 얻었다. 이에 따라 1972년 10월 14일 올보이스는 베니테스의 골로 엑소시오니스타를 1-0으로 꺾고 프리메라 B 챔피언이 되었다.
발렌틴 산체스(최고득점자), 호세 로메로(이상 '최고의 선수'), 앙헬 맘베르토(이상 대표팀) 등이 대표적이다. 프리메라리가 승격 후 올보이스는 1980년 프리메라리가 B로 강등되기 전까지 8년간 그 부문을 지켰다.
1982년 시즌에는 리그 최하위로 끝난 뒤 3부 리그인 프리메라 C 메트로폴리탄(오늘 4부리그)으로 강등될 뻔했으나 탈레레스(RE)와의 페널티킥 강등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했다.[4] 1986년 아르헨티나 축구 시스템이 새로운 2부 리그가 될 프리메라 B 나시오날의 가세로 개편되었을 때 올보이스는 상위 8개 팀 중 새로운 2부 리그를 뛸 자격을 얻지 못했고, 그 결과 3부 리그가 된 프리메라 B 메트로폴리탄으로 강등되었다.
1989-90시즌 올보이스는 2부 리그로의 복귀 승격을 달성하는 데 매우 근접했으나 데포르티보 라페레르와의 플레이오프 결승전에서 패했다.[5]
1992-93 시즌에 마리오 리지가 팀 코치로 영입되었고 마르셀로 블랑코, 마르셀로 야니노, 루벤 우르퀴자 등 일부 선수들을 영입하였다. 이러한 이적행위의 도움으로, 그 팀은 훌륭한 캠페인을 벌였고 프리메라 B 나시오날로 승격되었다. 결정전은 2만5000명의 올 보이즈 서포터즈가 참석한 데펜소레스 데 벨그라노와의 원정경기에서 2-1로 승리해 아르헨티나 축구 하위권 관중 기록을 새로 세웠다. 이 승리로 구단은 리그 타이틀을 얻었고, 이 또한 플레이오프를 거치지 않고도 프리메라 B 나시오날로 직접 승격시켰다.[6]
2000-01시즌 말에 그 팀은 다시 프리메라 B 메트로폴리탄으로 강등되었다. 2002-03시즌을 위해 그 구단은 리카르도 카루소 롬바르디를 코치로 영입했다. 8연승을 거두며 구단이 우승한 토르네오 리듀시도 출전 자격을 얻었지만 골인 끝에 스포츠 강점으로 엘 포레브레스의 손에 밀려 승격을 잃었다. 2007-08 시즌 동안 구단은 다른 구단의 선수들 중 아리엘 자레이트, 에르난 그라나, 구스타보 바텔트를 영입했다. 전 선수 호세 로메로가 코치로 지명되었다. 올보이스는 2008년 5월 6일 프리메라 B 나시오날로 '엘 알보'를 복귀시킨 애틀랜타와의 경기에서 2-0으로 승리한 뒤 다시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2009-10년 프리메라 B 나시오날 시즌을 끝으로 올보이스는 4위를 기록, 프리메라 디비시온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승격 플레이오프를 치를 자격을 얻었다. 올보이스는 플로레스타전에서 1-1로 비긴 뒤 에스타디오 기간테 데 아로이토에서 열린 2차전에서 로사리오 센트럴을 3-0으로 완파해 모두를 놀라게 했다.[7][3] 이에 따라 구단은 30년 동안 하위리그에서 뛰다 아르헨티나 축구 1부리그로 복귀했다.[8] 2010년 프로푸라에서 올보이스는 시즌 성적이 좋은 성적을 거두며 리그 8위를 기록했고, 인디펜던트, 에스투디안테스 드 라플라타, 리버 플레이트 등 '빅 클럽'을 제치고 우승을 달성했다.
올보이스는 2012년 로수라에서 챔피언 아스날 드 사란디에게 5점 뒤진 리그 3위로 결승선을 통과하며 최고의 1부리그 캠페인을 펼쳤다. 이 구단은 13골만 내주며 수비 기록도 최고였다. 주목할 만한 승리는 에스타디오 리베르타도레스 데 아메리카와 보카 주니어스에서 에마뉘엘 페레아의 해트트릭으로 3-0으로 승리하는 것이었다.[9]
2014년 5월, 그 클럽은 프리메라 B 나시오날로 강등되었다. 2018년에는 3부 리그인 프리메라 B 메트로폴리탄으로 강등되었다. 그것은 1년 후에 다시 B 나시오날로 승격되었다.[10]
라이벌
올보이즈의 가장 잘 알려진 라이벌 관계는 "슈퍼클라시코 델 아센소"[11]로 불리는 누에바 시카고와의 경쟁이다. 많은 사람들은 이러한 경쟁은 1사단의 경쟁자들 밖에서 가장 매력적인 것 중 하나로 간주된다. 1919년 이 두 팀이 첫 경기를 치렀을 때 탄생했는데 누에바 시카고의 승리로 끝났다. 올보이스는 1924년 라이벌과의 첫 경기에서 2 대 1로 승리했다. 다음 경기는 1941년까지 기다려야 했는데, 1937년 도리토(누에바 시카고의 별명)가 프리메라 C에 떨어져 3년 만에 복귀했기 때문이다. "알보"는 누에바 시카고의 집 마타데로스에서 3 대 1로 승리했다. 그 때부터 올보이스는 누에바 시카고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는 데 있어 우위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우위에 있다. 이 라이벌전은 90경기 이상 공식 경기를 치렀다.[12]
올보이스의 원래 라이벌은 아르헨티나 주니어스인데, 그 이유는 각각의 이웃이 가깝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다른 카테고리에서 경기를 했기 때문에, 경쟁은 누에바 시카고만큼 치열하지 않다. 이 두 기관은 60여 차례에 걸쳐 공식적으로 충돌했다.
올 보이즈 역시 애틀랜타와의 경쟁이 치열하다. 두 동네는 비교적 가깝고, 그것은 두 클럽이 수년 동안 같은 리그에 있을 것이기 때문에 꽤 흔한 시설이었다.[13] 이 두 사람이 치른 첫 공식 경기는 1914년이었는데, 올보이스가 2-1로 승리했다. 흔히들 이 라이벌은 아틀란타의 이웃인 빌라 크레스포(Villa Crespo) 때문에 생겨났다고 하는데, 오늘날까지도 많은 아틀란타 팬들이 이러한 집단성에 속하고 있는 반면 플로레스타는 아랍 민족을 차례로 더 많이 가지고 있었고, 후자가 사실인 것 같지 않은데도 올 보이즈 팬들은 분산시킨다.초승달과 별에 깃발을 꽂다
상대적으로 새로운 경쟁은 벨레스 사스필드와의 경쟁이다. 두 구단 모두 비교적 거리가 가깝지만, 베레즈는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주로 뛰었고 올보이스는 역대 대부분 하위권에서 뛰며 오랜 세월 동안 멀고도 사소한 라이벌 구단으로 자리 잡고 있어 좀처럼 맞붙지 않고 있다. 2010년 올보이스가 프리메라리가 디비시온으로 승격하면서 비로소 라이벌 관계에 불을 지폈고, 최근 몇 년 사이 양 구단 팬들 간의 폭력은 경기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이었다.[14]
크레스트
첫 번째 볏은 1913-1919년부터 사용되었으며 원 안에 "AB"가 서로 겹쳐져 있었다. 두 번째 볏은 여러 번 사용되었는데, 처음에는 1922–1930년, 그 다음으로는 1937–47년, 1958–60년, 그리고 마지막으로 1973년에 사용되었다. 이 볏에는 글자를 원형 여백에 맞게 크게 만들어 겹치지 않고 나란히 배치하였다.
그 클럽의 세 번째 볏에는 네 글자가 들어 있었다, "C.A.A.A.새로운 스페인어 접두사 '아틀레틱 클럽' 대신 '클럽 아틀레티코'를 지칭하는 B. 1944-1960년, 1982-1989년, 그리고 1994-2002년 마지막으로 사용되었다.
1967년, 그 클럽은 오늘날 가지고 있는 볏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 클럽은 그 해 동안 이 볏을 사용했고 1989년까지 그것을 재사용하지 않았다. 1989-1994년에 이어 2002년부터 현재까지 두 번째로 사용되었다.[15]
스타디움
클럽의 첫 번째 경기장 건설은 레오폴도 리골리가 가오나, 세구롤라, 모론, 사나브리아 거리 사이에 위치한 부동산을 올 보이즈에게 주었을 때 시작되었다. 그 클럽은 선수들을 위해 지붕으로 된 연단과 다섯 개의 방을 만들었다. 1924년 그들은 세구롤라 에비뉴에 정착하여 새 경기장을 개장하여 템플리와 친선경기를 치렀다.
프로페셔널리즘이 시작된 1937년, 올보이스는 1959년까지 활약했던 거리, 세구롤라, 인디오(현 엘피디오 곤잘레스), 사나브리아, 미란다에 의해 형성된 도시 블록에 새로운 경기장을 갖게 되었다.
1959년, 국가 정부는 에이브에 위치한 이 땅을 기증했다. 시빌코이와 메르세데스 사이의 알바레즈 존테는 클럽으로 갔다. 그해 새 구장에 대한 공사가 시작되었고, 1963년 9월 28일 올보이스가 설득력 있게 승리한 데포르티보 리에스트라와의 경기에서 경기장이 공식 출범했다.
원래 경기장 측면에는 스탠드가 2개밖에 없었지만 지금은 사방이 스탠드가 있다. 그 경기장의 수용 능력은 12,199명이다.
현 분대
2020년 1월 18일 현재 All Boys 선수단(
출처: 공식 웹사이트
|
|
관리자: 호세 로메로
이전 선수
마리우스 힐러
마르틴 로마놀리(1994-98년)
세르히오 바티스타(1997-99년)
니콜라스 캄비아소(2007-14)
아리엘 자레이트(2007–11)
아리엘 오르테가(2011년)
호르헤 비앙코 (1976년)
가브리엘 첼라 루게리(1999-2000)
산티아고 몬토야 무뇨즈(2012-13)
오스카 아후마다(2012-14년)
카를로스 테베즈 (청년 경력 1992-96년)
네스토르 팹브리(1984-85), (2004-05)
조너선 콜레리(2012-14년)
전 매니저
호세 마누엘 모레노
아돌포 페데르네라
호세 라모스 델가도
실비오 마르졸리니(1975-76년)
리카르도 파보니 (1982년)
호세 산토스 로메로 (interim) (1986년)
후안 카를로스 카데나스(1986)
호세 산토스 로메로(1988-89년)
프란시스코 사 (1991년
마리오 리지 (1992년 7월 1일 ~ 1993년 6월 30일)
리카르도 로드리게스(1997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세르히오 바티스타 (1999년 1월 1일~1999년 6월 30일)
알베르토 파스커티(2001년 1월 1일~2001년 6월 30일)
리카르도 카루소 롬바르디(2002년 7월 1일 ~ 2003년 6월 30일)
리카르도 지엘린스키(2004)
호세 산투스 로메로 (2005년 1월 1일~2005년 6월 30일)
네스토르 페라레시(2006년 7월 1일 ~ 2007년 4월 1일)
호세 산투스 로메로(2007년 4월 2일 – 2013년 6월 23일)
훌리오 세자르 팔시오니 (2013년 6월 24일 ~ 2013년 11월 16일)
리카르도 로드리게스(2013년 11월 19일~2014년 6월 14일)
앙헬 베르눈시오(2014년)
가브리엘 페론 (2015년)
호세 산토스 로메로 (2015년 5월 26일-현재)
프리메라 디비시온의 통계
계절 | 파이널 포스. | 팀 | 포맷 |
---|---|---|---|
1923년 AAF | 10 | 23 | 리그 |
1924년 AAF | 4 | 22 | 리그 |
1925년 AAF | 16 | 23 | 리그 |
1926년 AAF | – | 18 | 리그 |
1932 | 5 | 17 | 리그 |
1933 | 7 | 20 | 리그 |
1934 | 16 | 23 | 리그 |
1973년 메트 | 16 | 17 | 리그 |
1973년 나크 | 14 | 15 | 그룹 |
1974년 메트 | 5 | 9 | 그룹 |
1974년 나크 | 8 | 9 | 그룹 |
1975년 메트 | 18 | 20 | 리그 |
1975년 나크 | 5 | 8 | 그룹 |
1976년 메트 | 11 | 11 | 그룹 |
1976년 나크 | 9 | 9 | 그룹 |
1977년 메트 | 19 | 23 | 리그 |
1977년 나크 | 8 | 8 | 그룹 |
1978년 메트 | 17 | 21 | 리그 |
1978년 나크 | 7 | 8 | 그룹 |
1979년 메트 | 8 | 10 | 그룹 |
1979년 나크 | 5 | 7 | 그룹 |
1980년 메트 | 18 | 19 | 리그 |
2010년 AP | 8 | 20 | 리그 |
2011년 클 | 12 | 20 | 리그 |
2011년 AP | 16 | 20 | 리그 |
2012년 클 | 5 | 20 | 리그 |
2012년 I | 12 | 20 | 리그 |
F 2013년 | 16 | 20 | 리그 |
2013년 I | 16 | 22 | 리그 |
2014 F | 20 | 15 | 리그 |
명예
메모들
참조
- ^ ":: ALL BOYS LOCURA :: CLUB - Estadio Islas Malvina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November 2014.
- ^ "Deportes". CA All Boys (in European Spanis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February 2016. Retrieved 9 November 2021.
- ^ a b "Historia" (in Spanish). CA All Boy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December 2013. Retrieved 5 November 2015.
- ^ "Argentina Second Level 1982". RSSSF.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January 2007. Retrieved 9 November 2021.
- ^ "Argentina Third Level 1989/90". RSSSF.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November 2012. Retrieved 9 November 2021.
- ^ "Argentina Third Level 1992/93". RSSSF.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uly 2014. Retrieved 9 November 2021.
- ^ RSSSF에서 아르헨티나 2단계 2010
- ^ "All Boys sorprendió a Central y vuelve a Primera después de 30 años". Laprensa.com. 23 May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May 2010. Retrieved 9 November 2021.
- ^ "A cinco años de la mejor campaña de All Boys en Primera División". C.A. All Boys (in European Spanish). 23 June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August 2020. Retrieved 3 November 2021.
- ^ "Resumen de la historia de All Boys". Club Atletico All Boys (in European Spanish). 18 March 202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April 2020.
- ^ "'El superclásico del Ascenso'". Ole.com (in Spanish). 23 March 2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February 2019.
- ^ "All Boys vs Nueva Chicago: La historia del superclásico del ascenso". C.A. All Boys. 4 May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September 2017.
- ^ "All Boys, Atlanta y un rico historial". C.A. All Boys (in European Spanish). 20 November 201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February 2021. Retrieved 3 November 2021.
- ^ "Se suspendió el partido entre Vélez y All Boys por incidentes en las tribunas". La Nación (in Spanish). 9 June 2013. ISSN 0325-0946. Retrieved 10 December 2021.
- ^ "Historia de la insigna de All Boys". C.A. All Boys. 17 March 20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April 2021.
- ^ RSSSF 1926년 아르헨티나 선수단
- ^ RSSSF에서 아르헨티나 1934년(아마추어)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클럽 아틀레티코 올 보이즈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