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런 골드스타인

Allan L. Goldstein
앨런 골드스타인
Allan L Goldstein.tif
태어난(1937-11-08)1937년 11월 8일
미국
모교바그너 대학교 (B.S.)
러트거스 대학교 (M.S.)
(박사)
로 알려져 있다.티모신의 발견
과학 경력
필드생화학, 면역학
기관조지 워싱턴 의과대학
박사학위 자문위원에이브러햄 화이트

앨런 골드스타인조지 워싱턴 의과대학 생화학과 분자학과의[1] 명예교수다. 1978년부터 2009년 3월까지 학과장을 맡았으며 2013년에는 명예직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흉선과 면역체계의 작용에 대한 권위자로 흉선에서 격리된 호르몬과 같은 펩타이드의 가족인 흉선의 공동 발견자(아브라함 화이트와 함께)이다.[2]

조기생활과 교육

골드스타인은 스태튼 섬에서 자랐고 1959년 바그너 대학에서 B.S 학위를 받았고, 1964년 러트거스 대학에서 M.S.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4년부터 1972년까지 알버트 아인슈타인 의과대학 교수진을 지냈고, 1972년부터 1978년까지 갤버스턴 소재 텍사스 의과대학 생화학부장을 거쳐 조지워싱턴대학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부장을 수락했다.가 31년간 재직했던 의학 및 보건 과학.

리서치

면역 증강 특성을 가진 분자인 티모신 α1(TA1)은 티모신 중 최초로 임상시험에 들어갔다.[3] 중국 등 30여개국에서 인가를 받았고 중증 [4]패혈증, , 낭포성 섬유증 치료 등 여러 질환 치료에 큰 가능성을 보였다.[5] 가장 최근에는 TA1이 체크포인트 억제제와 시너지 효과를 내고 이전에 TA1로 치료받았던 3단계/IV 흑색종 환자의 생존을 더욱 연장하는 것으로 밝혀졌다.[6] 티모신 중 두 번째로 병원에 도달한 티모신 β4(Tβ4)는 상처 치유와 손상된 조직의 리모델링을 가속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 Tβ4는 심근경색, 뇌졸중, 뇌외상과 같은 내부 적응증을 위해 주입 가능한 형태로 개발되었다. 압박성 궤양과 정맥성 궤양이 있는 환자들에게 초기 2단계 실험이 완료되었다.[8] 안구건조증과 신경성 각막병증을 가진 환자에 대한 2단계 2/3 실험이 미국에서 유망한 결과를 가지고 완료되었다.[9] 안구건조증 3단계 재판은 2019년부터 시작된다.[10] RegeneRx 바이오의약품은 심근경색, 뇌졸중, 다발성 경화증, 뇌외상, 말초신경병증 등의 내부 적응증을 위한 주입식 Tβ4를 개발하고 있다.[11] 골드스타인 박사의 연구는 건강과 질병에서 생물학적 반응 수식어의 역할을 규정하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면역 체계, 신경내분비계와 뇌 사이의 중요한 새로운 연관성을 발견하게 했다.[12]

학업성취도

골드스타인 박사는 450개 이상의 전문 학술지에 실린 과학 기사의 저자로, 25개 이상의 미국 및 세계 특허에 관한 발명가, 생화학,[13] 바이오의학,[14] 면역학[15],[16] 신경과학 분야의 여러 책과 모노그래프의 편집자다. 세월이 흐르면서 골드스타인 박사의 실험실은 대학원생, 의대생, 박사후 과정생들의 연수의 중심지가 되어 왔으며, 이들 중 다수는 현재 건강과 질병에서 흉선의 역할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고 확장하고 있다.[17] 골드스타인 박사는 또한 의학의 프론티어라는 제목의 독특한 일련의 원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면서 의학 교육의 선구자였다.[18] 이 일련의 강의와 선도적인 과학자들의 내셔널 타운 포럼은 최첨단 연구에 초점을 맞췄다. 조지워싱턴대에서 생중계된 이 방송은 1997년 시작돼 인터넷 의료교육을 지속한 첫 방송이었다. 프런티어 메디컬은 1997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미국 의료협회 건강의학 영화 대회에서 최고의 건강 사이트로 FREDDIE 상을 받았다.

프로페셔널 활동

골드스타인 박사는 연구와 교육 활동을 지원하는 비영리 연구기관인 노화의학연구소의 공동 설립자 겸 초대 회장 겸 과학부장이었다.[19] 또한 알버트 사빈 백신 연구소의[20] 이사회 이사, 리처드 B.와 린 5세의 이사회 이사로도 활동했다. 체니 심혈관 연구소.[20] 현재 그는 새로운 상처 치유와 리모델링 치료법을 개발하는 공기업인 RegeneRx 바이오의약품의 이사회 의장과 수석 과학 고문을 맡고 있다.[21]

명예

Dr. Goldstein is the recipient of several awards, including the Career Scientist Award of the Health Research Council, City of New York; the Van Dyke Memorial Award in Pharmacology from the Columbia University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the Copernicus Medal from the University of Kraków; a citation from the U.S. Department of Health, Educa티온복지 "생물학적 대응 수식어에 관한 국가 프로그램 수립에 기여한 탁월한 업적에 대한 인정과 감사"; 바그너 대학의 과학 박사(명예로운 인과); 파나마 최고 영예인 사령관 바스코 누녜즈발보아 훈장. 세계에서의 인간생활의 보존"; 조지 워싱턴 의과대학의 저명한 연구자상, 그리고 프랑스 최고 민간상인 체발리에 데 팔메스 아카데미크상. 2007년 전국 의료 명예회인 αΩα에 선출되었다.

참고 항목

참조

  1. ^ "The Expanding Role of Thymosins The School of Medicine & Health Sciences".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Retrieved February 1, 2019.
  2. ^ Goldstein A.L. (2007). "History of the Discovery of the Thymosins". Ann. N.Y. Acad. Sci. 1112 (1): 1–13. Bibcode:2007NYASA1112....1G. doi:10.1196/annals.1415.045. PMID 17600284. S2CID 3177237.
  3. ^ Goldstein AL, Goldstein AL (May 2009). "From lab to bedside: emerging clinical applications of thymosin alpha 1". Expert Opin Biol Ther. 9 (5): 593–608. doi:10.1517/14712590902911412. PMID 19392576. S2CID 71893579.
  4. ^ Tuthill, Cynthia; Rios, Israel; McBeath, Randy (May 2010). "Thymosin alpha 1: past clinical experience and future promise".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194 (1): 130–135. Bibcode:2010NYASA1194..130T. doi:10.1111/j.1749-6632.2010.05482.x. ISSN 0077-8923. OCLC 57215385. PMID 20536460. S2CID 20597852.
  5. ^ Garaci, Enrico (2018). "From thymus to cystic fibrosis: the amazing life of thymosin alpha 1". Expert Opinion on Biological Therapy. 18 (sup1): 9–11. doi:10.1080/14712598.2018.1484447. ISSN 1471-2598. OCLC 644930062. PMID 30063868.
  6. ^ Danielli, Riccardo; Cisternino, Filomena; Giannarelli, Diana; Calabrò, Luana; Camerini, Roberto; Savelli, Vinno; Bova, Giovanni; Dragonetti, Rosella; Di Giacomo, Anna Maria (July 2018). "Long-term follow up of metastatic melanoma patients treated with Thymosin alpha-1: investigating immune checkpoints synergy". Expert Opinion on Biological Therapy. 18 (sup1): 77–83. doi:10.1080/14712598.2018.1494717. ISSN 1744-7682. OCLC 768086347. PMID 30063847. S2CID 51890800.
  7. ^ Goldstein A.L., Hannappel E., Sosne G., Kleinman H.K. (2012). "Thymosin β4: a multi-functional regenerative peptide. Basic properties and clinical applications". Expert Opin. Biol. Ther. 12 (1): 37–51. doi:10.1517/14712598.2012.634793. PMID 22074294. S2CID 5237443.{{cite journal}}: CS1 maint : 복수이름 : 작성자 목록(링크)
  8. ^ "RegeneRx Reports Phase II Venous Stasis Trial Results". March 26, 2009. Retrieved February 1, 2019.
  9. ^ "RGN-259 (Tβ4) Improves Clinically Important Dry Eye Efficacies in Comparison with Prescription Drugs in Dry Eye Model". RegeneRx. July 16, 2018. Retrieved February 1, 2019.
  10. ^ "RegeneRx Partner Updates on Clinical Trials". RegeneRx. October 29, 2018. Retrieved February 1, 2019.
  11. ^ "RGN-352 RegeneRx". RegeneRx. Retrieved February 1, 2019.
  12. ^ Hall N.R., McGillis J.P., Spangelo B.L., Goldstein A.L. (1985). "Evidence that thymosins and other biological response modifiers can function as neuroactive immunotransmitters". Journal of Immunology. 135 (2 Suppl): 806s–811s. PMID 2861235.{{cite journal}}: CS1 maint : 복수이름 : 작성자 목록(링크)
  13. ^ 골드스타인, A.L.(에드), 흉선호르몬 및 림포카인: 화학 및 임상 애플리케이션. 1984년 뉴욕의 플레넘 프레스
  14. ^ 골드스타인, A.L. (ed) 바이오의학의 프론티어, 플레넘 프레스 2000.
  15. ^ 골드스타인, A.L., 가라시, E. 콤비네이션 치료법: 암 및 전염병 치료에 있어서의 생물학적 반응 수식어. 1992년 뉴욕의 플레넘 프레스
  16. ^ Bergsma, D.와 Goldstein, A.L. (eds), 신경화학 및 면역학적 정신분열증 성분. 선천적 결점: Original Series, Vol XIV. 국립 재단, 앨런 R. 1978년 뉴욕 리스 주식회사.
  17. ^ "Bloomberg - Javier Paino". Bloomberg. Retrieved February 1, 2019.
  18. ^ "Frontiers in Medic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25, 2008. Retrieved November 28, 2018.
  19. ^ "Institute for Advanced Studies in Aging and Geriatric Medicine, IASIA". www.iasia.org. Retrieved February 1, 2019.
  20. ^ a b "Bloomberg - Allan Goldstein, Chairman/Chief Scientific Officer, Regenerx Biopharmaceuticals Inc". Bloomberg. Retrieved February 1, 2019.
  21. ^ "Bloomberg - Allan L. Goldstein: Executive Profile". Bloomberg. Retrieved February 1, 201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