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렌테 FC

Amarante F.C.
아마란테
Amarante FC.png
풀네임아마란테 푸트볼 클럽
설립됨1923년; 99년 전 (1998년)
그라운드시티 드 아마란테
아마란테
포르투갈
역량7,500
회장안토니오 두아르테
수석 코치페드로 핀토
리그포르투갈의 캄페오나토
2015–16강등 C조, 4위

아마란테 푸테볼 클럽테(Amarante Futebol Clube, 약칭 아마란테 FC)포르토 구에 있는 아마란테에 본부를 둔 포르투갈축구 클럽이다.[1]

배경

아마란테 FC는 현재 포르투갈 축구 3단인 캄페오나토 나시오날 세니오레스 세리 센트로에서 뛰고 있다.이 클럽은 1923년에 설립되었고, 그들은 아마란테의 시네티 드 아마란테에서 홈 경기를 한다.이 경기장은 16,800명의 관중을 수용할 수 있으며 1978년에 건설되었다.[1]

이 클럽은 아소니아상푸테볼포르투에 소속되어 있으며, AF 포르토 타사에 출전하였다.이 클럽은 또한 여러 번 타사포르투갈로 알려진 전국 컵 대회에 출전했다.[1][2]

시즌 투 시즌

계절 레벨 나누기 단면 장소 동작
1963–64 4계급 오크티타이스 AF 포르투 – 2 2 디비상 첫 번째 승격됨
1965–66 계층 3 테르세이라 디비상 1ª 세리 첫 번째 플레이오프(QF)
1976–77 4계급 오크티타이스 AF 포르토 – 혼라 승격됨
1977–78 계층 3 테르세이라 디비상 세리 B 7일
1978–79 계층 3 테르세이라 디비상 세리 B 두 번째 승격됨
1979–80 계층 2 세군다 디비상 세리 노르트 12일
1980–81 계층 2 세군다 디비상 세리 노르트 11일
1981–82 계층 2 세군다 디비상 세리 노르트 15일 강등됨
1982–83 계층 3 테르세이라 디비상 세리 B 12일
1983–84 계층 3 테르세이라 디비상 세리 B 9일
1984–85 계층 3 테르세이라 디비상 세리 B 첫 번째 승격됨
1985–86 계층 2 세군다 디비상 세리 노르트 15일 강등됨
1986–87 계층 3 테르세이라 디비상 세리 B 7일
1987–88 계층 3 테르세이라 디비상 세리 B 두 번째 승격됨
1988–89 계층 2 세군다 디비상 세리 노르트 17일 강등됨
1989–90 계층 3 테르세이라 디비상 세리 B 17일
1990–91 계층 3 세군다 디비상 세리 노르트 14일 강등됨
1991–92 4계급 테르세이라 디비상 세리 B 4일
1992–93 4계급 테르세이라 디비상 세리 B 5일
1993–94 4계급 테르세이라 디비상 세리 B 두 번째
1994–95 계층 3 세군다 디비상 세리 노르트 13일
1995–96 계층 3 세군다 디비상 세리 노르트 15일 강등됨
1996–97 4계급 테르세이라 디비상 세리 B 17일
1997–98 5계급 오크티타이스 AF 포르토 – 혼라 두 번째 승격됨
1998–99 4계급 테르세이라 디비상 세리 B 13일
1999–2000 4계급 테르세이라 디비상 세리 B 14일
2000–01 4계급 테르세이라 디비상 세리 B 11일
2001–02 4계급 테르세이라 디비상 세리 B 14일 강등됨
2002–03 5계급 오크티타이스 AF 포르토 – 혼라 10일
2003–04 5계급 오크티타이스 AF 포르토 – 혼라 4일
2004–05 5계급 오크티타이스 AF 포르토 – 혼라 4일
2005–06 5계급 오크티타이스 AF 포르토 – 혼라 첫 번째 승격됨
2006–07 4계급 테르세이라 디비상 세리 B 9일
2007–08 4계급 테르세이라 디비상 세리 B – 1˚ 페이즈 두 번째
4계급 테르세이라 디비상 세리 B 페이즈 파이널 첫 번째 승격됨
2008–09 계층 3 세군다 디비상 세리 B – 1˚ 페이즈 9일 강등 그룹
계층 3 세군다 디비상 세리 B 울티모스 5일 강등됨
2009–10 4계급 테르세이라 디비상 세리 B – 1˚ 페이즈 두 번째 프로모션 그룹
4계급 테르세이라 디비상 세리 B 페이즈 파이널 6일
2010–11 4계급 테르세이라 디비상 세리 B – 1˚ 페이즈 두 번째 프로모션 그룹
4계급 테르세이라 디비상 세리 B 페이즈 파이널 첫 번째 승격됨
2011–12 계층 3 세군다 디비상 세리 센트로 5일
2012–13 계층 3 세군다 디비상 세리 노르트 11일

[3][4][5][6]

현 분대

2017년 4월 5일 기준

참고: 국기는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정의된 국가 대표팀을 나타낸다.선수들은 둘 이상의 비FIFA 국적을 보유할 수 있다.

No. Pos. 나라 플레이어
2 DF Portugal POR 카를로스 실바
3 DF Portugal POR 다니 페레이라
4 DF Portugal POR 세자르
6 MF Portugal POR 모레라
7 MF Portugal POR 티아고 실바
8 MF Portugal POR 넬슨 피케
9 FW Portugal POR 주앙 케이로스
10 FW Portugal POR 티아고 안드레
11 FW Portugal POR 로드리고
17 MF Portugal POR 라피냐
18 MF Portugal POR 헬더 페드로
19 FW Portugal POR 라파
No. Pos. 나라 플레이어
20 DF Portugal POR 아르만도 실바
21 MF Portugal POR 제 로페스
25 GK Portugal POR 네네
26 DF Portugal POR 파울리뉴
64 DF Portugal POR 디오고 빌라
70 MF Portugal POR 루이 마갈량스
74 GK Portugal POR 파울루 호르헤
77 DF Portugal POR 주앙 카르네이로
89 FW Senegal 바다라
90 FW Ghana GHA 폴 아용고
98 GK Portugal POR 페드로 리바이루

명예

  • 포르투갈 3부 리그: 2007/08, 2010/11
  • AF 포르투 디비상혼라: 2005/06

주목할 만한 전직 관리자

참조

  1. ^ a b c "Amarante Futebol Clube - ForaDeJogo - foradejogo.net". ForaDeJogo. Retrieved 18 June 2012.
  2. ^ "Amarante Futebol Clube – Portugal – footballzz.co.uk". ZeroZero. Retrieved 18 June 2012.
  3. ^ "Portugal – Table of Honor – soccerlibrary.free.fr" (PDF). Soccer Library. Retrieved 18 June 2012.
  4. ^ "Competitions – Portugal – footballzz.co.uk". ZeroZer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October 2013. Retrieved 11 June 2012.
  5. ^ "Competitions - ForaDeJogo - foradejogo.net". ForaDeJogo. Retrieved 18 June 2012.
  6. ^ "AF Porto – Futebol Total". Futebol Total. Retrieved 18 June 2012.

외부 링크